• 제목/요약/키워드: diurnal tide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7초

득량만에서의 $M_2$조에 대한 수온장 및 유속장의 응답 (The Response of Temperature and Velocity Fields to $M_2$ Tide in Deukryang Bay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홍철훈;최용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67-678
    • /
    • 1997
  • [ $M_2$ ] 조에 의해 구동되는 원시방정시을 이용한 수치모델이 득량만에서 수온장 및 유속장에 미치는 조석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이용된다. 모델결과는 관측된 수온장의 여러 가지 특징을 재현하였다. 즉 등온선이 만내의 연안선과 평행한 점, 냉수가 만의 우측에 나타나는 점 등이었다. 특히 실험결과로 볼 때 수평 수온장 및 유속장은 해저지형효과를 크게 받고 있으며 만내의 표층냉수는 고저시의 유입되는 흐름에 수반된다. 경압성을 조사하기 위한 부가적인 수치실험결과는 유속장내의 경압성이 매우 약함을 보여준다. 그러나 실험결과는 관측에서 보여준 밀도성층구조를 재현하지 못했다. 이를 재현하기 위해서는 $M_2$ 조 이외에 $S_2,\;O_2$ 또는 $K_2$ 조를 외력에 포함시켜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GPS관측 데이터를 이용한 해양의 조석성분 결정 (Determination of Ocean Tidal components by GPS Observations)

  • 윤홍식;이동하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5-54
    • /
    • 2003
  • This paper deal with the GPS performance for determining the ocean tidal loading components(M$_2$, N$_2$, S$_2$, K$_2$) and the availability of permanent GPS stations(CHJU, KANR) established in Korea. We determined the ocean tidal loading components from GPS observation by spectrum analysis and compared to that from global ocean tidal models(GOT00.2, FES99, CRS4.0, NAO99). Through this study, we have a sense that amplitude and phase lags of ocean tidal loading components from observed GPS data was almost equal to value calculated in ocean tide models. The diurnal ocean tide loading constituents are not considered, because unmodeled troposhere effects increase the noise level near the diurnal frequency band and prevent us from obtaining significant results.

  • PDF

수영만의 조류, 염분 및 부유물질의 분포 (Distributions of Tidal Current, Salinity and Suspended Sediment in Suyoung Bay)

  • 김차겸;이종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59-370
    • /
    • 1992
  • To investigate the flow pattern and mixing process in Suyoung Bay, field observations and data analyses of tidal current, salinity and suspended sediment (SS) were carried out. Ebb flow is stronger than flood flow, and duration of ebb tide is longer than that of flood tide. Semi-diurnal component of tidal current is predominant, and current rotating clockwise occurs in the central part of the bay. The direction of the residual currents in the central part of the bay and offshore is almost N to WNW, and the speed is 4-14cm/s. Eulerian diffusion coefficients estimated from the current data have the range of $6.2\times10^4-4.2\times10^6\;cm^2/s,$ Salinity structure in Suyoung River estuary during flood tide is of partially mixed type, but is of stratified type during ebb tide. Salinity fluctuation is large at the surface, and the fluctuation decreases with depth. SS concentration in Suyoung River estuary has a higher value during ebb tide than that during flood tide. Salinity and 55 concentrations in the estuary appeared to be very sensitive to the change of river flow.

  • PDF

바지락 치패의 폐사에 관한 연구-I 간척지의 간출시에 있어서의 온도, 염분변화와 유입하천수의 지하염분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Natural Mortality of the Young Short Necked Clam, Tapes japonica-I. Seaonal Variation of the tidal Temperature, Sainity , and the Effect of Overflowing Fresh Water on the Subterranean Salinity of the Tidal Flat at Low Tide)

  • 최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6
    • /
    • 1966
  • Frequently , large masses of the young short necked clam, Tapes japonica , die at their tidal flats in summer and this phenomenon has not been explained clear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is to study the thermal condition and the chlorinity level of tidal flats in which the young clam appears to be injured. A study is also mad efor the burrowing organism in the lower layer of the esturay over which the fresh water flow during the low tide. Observation are made at five places of the tidal flat near Ikawazu Fixheries Laboratory of Tokyo University during the ebb and flow tide period of the spring tide. The diurnal and monthly changes of tidal temperatures and chlorinities are measured. Results of the study are ; 1.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tidal flat increases with the ebb tide, reaches the highest between 12-14PM, and gradually decreases thereafter. The temperatures of tidal flat below 5 and 10 cm increase gradually until the flow tide reaches the surface. 2. At the spring tide in summer , the diurnal change of surface of the tidal flat temperature is very extensive ; it reaches 37-39$^{\circ}C$ in August. At the depths of 5 and 10 cm the temperature remains at 33 $^{\circ}C$ and 31$^{\circ}C$ , respectively. 3. The chlorinity of the tidal flat is higher during May through June and lower July through August, and this seems to be related to the amount of rainfall. 4. The chlorinity of the surface of tidal flat increases slightly during the ebb and flow tide periods. The observed higher chlorinity of surface of the tidal flat was 18.82% Cl. 5. At near the esturay, the fresh water that overflows the tidal flat affects the chlorinity of the surface but no such influence to the depth of the flat. 6. From above observations, it is assumed that the young short necked clam in the tidal flat could be exposed to the severe change of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high temperature of the tidal flat in summer and the low chlorinity of it at flood period may be considered as the change in environment.

  • PDF

연안해역에서 비선형 조석으로 인한 해수면 변화 (Sea Level Change due to Nonlinear Tides in Coastal Region)

  • 정태성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5호
    • /
    • pp.228-238
    • /
    • 2017
  • 우리나라 연안해역에서 조사된 조위 조화상수를 수집하여 조석 분포와 비선형 조석특성의 분포를 조사하고,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관측한 목포항과 군산외항의 조위자료를 조화분석하여 비선형 조석의 경년변화와 비조화상수(고조위, 저조위, 조차)의 경년변화의 관련성을 검토하였다. 비선형 조석의 발생과 조석형태수가 관련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선형 분조의 변화는 고조위와 저조위의 변화에 큰 영향을 주었다. 목포항에서는 해안개발로 인해서 비선형 분조의 진폭과 위상이 크게 변화하고, 이로 인해서 고조위가 상승하고, 저조위는 하강하여 조차가 증가하였다. 군산외항에서는 새만금방조제 준공이후에 비선형 조석의 영향으로 고조위는 하강하고, 저조위는 상승하여 조차가 감소하였다.

Diurnal Modification of a Red-Tide Causing Organism, Chattonella antiqua (Raphidophyceae) from Korea

  • Kim, So-Young;Seo, Kyung-Suk;Lee, Chang-Gyu;Lee, Yoon
    • ALGAE
    • /
    • 제22권2호
    • /
    • pp.95-106
    • /
    • 2007
  • Blooms of Chattonella species are normally during summer in inland seas with high nutrients from the land and inflowing water. These blooms cause mass fish kills worldwide. We isolated a Chattonella strain from the south coast of Korea and identified it as C. antiqua. It is known that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phytoplankton correspond to the diurnal vertical migrations that follow an intrinsic biological clock and a nutrient acquisition mechanism during the day and night. In electron micrographs, C. antiqua clearly showed a radial distribution of lipid bodies in subcellular regions and plastids composed in which thylakoid layers were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A single pyrenoid was present in each plastid and it was found at the end of the plastid towards the center of the cell. Throughout the day, plastids of C. antiqua cells appeared as an expanded net-like recticulum. During the night, however, the plastids changed their shape and contracted toward the cell periphery. The electron density of pyrenoids was increased in cells harvested during the night.

All Sky Camera and Fabry-Perot Interferometer Observations in the Northern Polar Cap

  • Wu Qian;Killeen Timothy L.;Solomon Stanley C.;McEwen Donald J.;Guo, Weiji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3호
    • /
    • pp.237-247
    • /
    • 2002
  • We report all sky camera and Fabry-Perot interferometer (FPI) observations of mesospheric gravity waves and a 12-hour wave at Resolute $(75^{\circ}N)$ and a joint observation of 10-hour wave with Eureka $(80^{\circ}N)$. All sky camera observations showed a low occurrence of mesosphere gravity waves during equinoxes, which is similar to the mid-latitude region. A slightly higher occurrence near solstice appears to indicate that gravity waves are not filtered out by the neutral wind in the winter. The FPI observation of a 12-hour wave showed amplitude variations from day to day. The phase of the wave is mostly stable and consistent with the GSWM prediction in the winter. The phase shifts with season as predicted by the GSWM. Four events of the 12-hour wave were found in spring with amplitudes larger than the GSW predictions. The FPls at Resolute and Eureka also observed a wave with period close to 10 hours. The 10-hour wave maybe the result of the non-linear interaction between the semi-diurnal tide and the quasi-two day wave. Further studies are under way. Overall, the combined Resolute and Eureka observation have revealed some new fractures about the mesospheric gravity wave, tidal wave, and other oscillations.

만구를 통한 해수유출입과 만내수괴의 해수교환성 (Cross-Sectional Velocity Variability and Tidal Exchanger in a Bay)

  • 김종화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6권4호
    • /
    • pp.353-359
    • /
    • 1990
  • 물리적, 지형적 특성으로 구성되고 있는 만내수괴의 유출입 구조와 해수의 교환능력을 정량적으로 구하기 위해, 진해만과 그 부속 내만을 대상으로 하여 현지관측에 근거해서 다음과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가덕수도 단면의 유출입 특성은 유출수괴의 유축은 1조석주기동안 남북으로 2회 왕복운동을 진행하며, 대체로 하층에 존재한다. 유입수괴의 유축은 남부와 북부에 양분되어 존재하는 경향이다. 전 시간에 걸쳐 반류현상으로 보이는 유출입 수괴가 동시에 존재한다. 2. 양 수도를 통한 해수유출입량의 비율은 가덕수도에서 대조기 약 86~90% 소조기 61~80%유출입된다. 따라서, 가덕수도를 통한 수괴의 유출입이 만의 해수교류.교환을 지배한다. 3. 하계만의 해수교환율은 양 수도에서 대조기 12~13%, 소조기 20%이상이나, 마산만 입구에서는 대조기 9%, 소조기 2%정도에 불과하다. 4. 하구역 특성으로 본 해수교환기구는, 가덕수도가 흐름은 깊이에 따라 방향이 변하고 약간 성층되나, 잘 혼합된 염분분포를 나타내어 salt flux는 주로 이류에 의존한다. 마산만은 sill의 해저지형가 만 입구에서 tidal trapping 현상으로, 고도의 성층된 상태를 보이고 있다.

  • PDF

바지락의 산소비율 및 여수율의 생리적 리듬 (Physiological rhythms in the Oxygen Consumption and Filtration Rates of th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 정의영;신윤경;허성범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7-131
    • /
    • 1999
  • 전북 곰소만에 서식하는 바지락의 생리적 리듬을 알아보기 위하여 24시간 동안 1시간 간격으로 산소소비율 및 여수율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바지락의 호흡율 및 여수율에 의한 생리적 리듬은 15$^{\circ}C$$25^{\circ}C$에서 두 가지 모두 24시간 동안 2번의 peak를 보이는데, 밤-만조시에 최대를 나타내었으며, 낮-간조시에 최소를 나타내어 조석에 의한 일주리듬 현상을 보였다. 24시간 동안 산소소비율 및 여수율의 변화는 수온별로 급격한 특수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스펙트럼 분석을 통한 2016년 하계 한국연안의 수온변동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ummer Water Temperature Fluctuations by Spectral Analysis in Coast of Korea in 2016)

  • 서호산;정용현;김동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86-19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동해, 서해 및 남해안에서 하계 수온의 단기적인 변화에 영향을 주는 환경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는 2016년 하계 조위관측소의 수온, 기온, 조위 및 바람자료를 이용하여 스펙트럼 분석을 실시하였다. Power spectrum 분석 결과, 평균조차가 100 cm 이상인 서해안(인천, 평택, 군산 및 목포)과 남해안(완도, 고흥, 여수, 통영 및 마산)에서는 수온, 조위가 동일한 주기에서 peak가 나타났다. 반면에 서해안과 남해안에 비해 평균조차가 상대적으로 작은 동해안(묵호, 포항 및 울산)과 부산에서는 수온의 주기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Coherence 분석에서 서해안과 남해안의 3개 정점(완도, 고흥, 통영)은 수온과 조위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완도와 통영에서 수온과 조위의 상관성은 반일주기에서 0.96으로 높았다. 여수는 조석과 담수의 유입이 수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마산의 수온은 남풍의 바람 영향이 가장 크지만 조석과 담수의 영향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동해안은 조차가 작고 해류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수온에 대한 조석의 영향이 작은 것으로 사료된다. 환경 요인의 시계열그래프를 비교한 결과, 수온과 조위가 상관성이 높게 나타난 정점은 창조 시 비교적 저수온의 외해수가 유입되고 낙조 시 빠져나가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주기의 수온 변화는 조석의 영향이 크지만 전체적인 수온의 상승과 하강은 기온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