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urnal amplitude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2초

우리 나라의 바람 일변동 특성 (Characteristics of Diurnal Variation of Wind over the South Korean)

  • 송봉근;김영섭;이동인;한영호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475-482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diurnal wind variation between coastal and inland areas using the hourly wind data of 58 AWS-stations in the South Korea which are collected during the 10 years from 1980. Diurnal variation is investigated by using the Fast Fourier Transform(FFT), and the wind direction in investigated by comparing C(sub)r with C(sub)v represented the constancy of wind. For the scalar wind speed, the maximum wind speed occurs in the daytime 14h to 16h. The maximum diurnal amplitude at coastal areas occurs from 12h to 16h, and is about 2 hours faster than that at inland areas. Vector mean wind speed is strong at coastal areas and Chupungnyong, Kumi, Taegu of inland areas. The diurnal variation ellipses make a right angle with coastline show that the land and sea breezes are prevailing. The constancy of wind is strong at all observations in Januar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_r and C_v, C_v is higher than C_r$.

  • PDF

지위고도장의 일주기 및 반일주기 조석의 시공간적 구조 (Spatio-temporal Structure of Diurnal and Semidiurnal Tides in Geopotential Height Field)

  • 조형오;손석우;이용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465-47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전구에 걸쳐 나타나는 대기의 일주기 및 반일주기 조석을 최신의 3시간 간격 재분석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조석의 공간구조 및 계절성에 대한 분석이 표면으로부터 성층권에 걸쳐 수행되었다. 대부분의 층에서 일주기 조석은 중위도 지역에서 강한 반면, 반일주기 조석은 열대 지역에서 지배적으로 나타난다. 일주기 조석은 각 반구의 겨울철보다 여름철에 그 크기가 강하게 나타나는 강한 계절적 변동성을 보인다. 반면에 반일주기 조석은 계절적 변동성을 보이지 않는다. 반일주기 조석은 연직구조를 거의 가지지 않으나, 일주기 조석은 높이에 따라 그 크기가 증가하는 뚜렷한 연직구조를 가진다. 특히 열대지역 일주기 조석은 표면과 자유 대류권, 상층 성층권에서 거의 반대의 위상을 보인다. 그 크기 역시 고도에 따라 비선형적으로 변화하여 수증기, 오존, 중력파 그리고 태양복사에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GMS-IR 자료를 이용한 서태평양에서의 운량 일변동에 관한 연구 (On the Diurnal Variation of Cloudiness over the Weatern Pacific by Using GMS-IR Data)

  • 김영섭;한경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12
    • /
    • 1997
  • 지구상에서 가장 따뜻한 해수면 온도를 가지고 있는 열대 서태평양은 많은 대류 시스템 과 큰 연강수략에 의해 특징지워진다. GMS-IR 자료로부터 얻어진 운량자료를 이용하여 이 지역 에서의 운량 일변동을 조사하였다. 구름의 시공간적인 분포에 관한 특징은 주로 운량의 일주기 및 반일주기 성분의 진폭과 주기를 통해 조사되었다. 대기-해양의 상호작용에 의해 운량 변동에는 다양한 주기들이 나타났는데, 특히 30-60일, 17-20 일, 7-8일, 일주기와 반일주긱가 탁월하였다. 북반구 겨울(남반구 여름) 기간 동안 뉴기니아, 호주 북부에 인접한 해양 그리고 160도E 동쪽에서 큰 운량이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육지와 인 접 해성에서의 운량 일변동은 외양의 경우에 비해 약 2배 정도 크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주로 해 양과 육지의 전형적인 비열차에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운량의 최대치와 최소치는 육상의 경우 18:00시와 09:00시에 나타났고, 외양에서는 정오와 21:00시에 나타났다. 1일주기 성분의 진폭은 반 일주기 성분에 비해 육상에서 4.7배, 외양에서 1.5배 정도 크게 나타났다.

DIURNAL HEATING IN THE OKHOTSK SEA UNDER ANTICYCLONIC CONDITIONS: MULTISENSOR STUDY

  • Mitnik, Leonid;Alexanin, Anatoly;Mitnik, Maia;Alexanina, Marina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1027-1030
    • /
    • 2006
  • Development of diurnal warming in the open Okhotsk Sea during the daytime and calm conditions was studied using sea surface temperature (SST) fields retrieved from NOAA AVHRR, Terra and Aqua MODIS, Aqua AMSR-E and ADEOS-II AMSR data. Sea surface wind fields were estimated from AMSR-E/AMSR measurements as well as were obtained from QuikSCAT scatterometer. Weak winds and cloudless conditions were observed in the central area of anticyclone, which moved slowly on 28-30 June 2003 east off Sakhalin. The area where the amplitude of the diurnal SST signal ${\Delta}T$ was significant also shifted slowly and had or circular or elongated shape. The ${\Delta}T$ was estimated relative to the SST values in the areas surrounding the centre of anticyclone where wind speed W exceeded 5- 6 m/s. The diurnal variations of SST, day-night differences were computed using NOAA-12 and NOAA-16 AVHRRderived data. Analysis of simultaneous SST and W fields showed that the increase of W from 0 to 5-6 m/s causes the decrease of ${\Delta}T$ to zero. Maximum warming exceeded $8^{\circ}C$ and was observed in the centre of anticyclone where W = 0 m/s. So strong heating was likely due to the increased chlorophyll a concentration in the area under study that follows from analysis of satellite ocean colour data.

  • PDF

백서 뇌내 Opiate 수용체의 일주기 변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ircadian Rhythm of Opiate Receptor in Rat Brain)

  • 이무석;김기원;조규박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3-34
    • /
    • 1984
  • 실험적으로 명암주기 또는 암주기에 적응시킨 백서의 간뇌 homogenate에서 opiate receptor의 일중변동 유무를 검토하고, circadian rhythm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수종 중추작용약물의 영향을 보고 저 7 group에서 4시간 간격으로 1일 6회 maximum $^3H-morphine$ binding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L : D, 12 : 12에 적응시킨 대조군에서 maximum $^3H-morphine$ binding은 22시에 최고에 달하는 매우 유의한 일중변동을 보였고, 24시간 평균 $^3H-morphine$ binding치는 $0.45{\pm}0.03\;pmole/mg Protein이었다. 2) 지속적인 암적응을 시킨 D : D, 12 :12군에서 $^3H-morphine$ binding의 일중변동은 14시에 최하, 그리고 2시에 최고의 binding치를 보이는 만상성의 일주변동은 보였으며 대조군의 곡선과는 그 shape, Phase, 진폭, 최고 또는 최하 binding시기 및 24시간평균 opiate수용체의 수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3) 지속적인 암적응, reserpine, pargyline, imipramine, amphetamine 또는 chlorpromazine 처리는 opiate receptor의 일중변동을 변화시켰다. 4) 그러나 전 실험군에서 Kd치는 변동되지 않았다. 이상 실험성적으로 백서뇌내 opiate수용체의 일중변동은 수용체의 질적변동이 아닌 수적인변동에 의하고, 지속적인 암적응이나 circadian rhythm을 변동시키는 중추성 약물들이 opiate receptor의 일중변동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또한 동통을 포함하여 제종 진통제의 효과가 일중변동을 일으키는 것은 opiate receptor의 일중변동과 일정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추측하였다.

  • PDF

일과 중 조절기능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urnal Variations of Accommodation)

  • 이정윤;유동식;손정식;문병연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73-78
    • /
    • 2010
  • 목적: 조절능력의 변화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35세 이상 50세 미만을 대상으로 l차시기(08:00~10:00), 2차시기(13:00~15:00), 3차시기(18:00~20:00에 걸쳐 조정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104명의 피검사자를 비노안과 초기노안으로 분류하여 조절력과 조절용이성, 상대조절력을 검사하였다. 결과: 좌우안과 양안의 조절력을 비노안과 초기노안 모두 2차시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초기노안용 일일변화에 유의성을 보였다. 조절용이성에서 비노안용 3차시기가, 초기노안용 2차시기가 가장 높았고, 변화에 대한 유의성이 모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허성상대 조절에 대한 일일변화에서 비노안, 초기노안 모두 l차시기가 가장 높았으며, 실성상대조절용 비노안, 초기노안 모두 2차시기가 가장 높았다. 결론: 초기노안에서 허성상대조절을 제외한 조절력, 조절용이성, 실성상대조절은 2차시기가 가장 높았다.

Tidal and Nontidal Fluctuations of Currents in the Western Channel of the Korea Strait

  • Park, Moon-Jin;Lee, Sang-Ryong;Lee, Jae-CHul;Byun, Sang-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제34권3호
    • /
    • pp.133-143
    • /
    • 1999
  • We carried out simultaneous and long-time observations of currents across the western channel of the Korea Strait during the period of May, 1994 to September, 1996 in order to understand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tidal and nontidal currents in the Strait. Results show that currents in the Strait are quite variable in space and time, and they largely consist of mean current and diurnal and semidiurnal tidal currents of about equal magnitudes. The mean currents include the Tsushima Current and the Korea Strait Undercurrent at the center of the channel. The former occupies the upper two-thirds and the latter the lower one-third of the water column. The semidiurnal and diurnal currents are largely rectilinear in the direction of NE-SW and their amplitude variation across the channel appears to be small. However, the diurnal currents at some locations show rotational characteristics with significant nontidal effects. The station close to the Korean coast leads the phase and the phase difference of the semidiurnal current across the channel appears to be less than half an hour while that of the diurnal current is over five hours.

  • PDF

Chandler Wobble and Free Core Nutation: Theory and Features

  • Na, Sung-Ho;Roh, Kyoung-Min;Cho, Jungho;Yoo, Sung-Moon;Choi, Byungkyu;Yoon, Hasu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6권1호
    • /
    • pp.11-20
    • /
    • 2019
  • Being a torque free motion of the rotating Earth, Chandler wobble is the major component in the Earth's polar motion with amplitude about 0.05-0.2 arcsec and period about 430-435 days. Free core nutation, also called nearly diurnal free wobble, exists due to the elliptical core-mantle boundary in the Earth and takes almost the whole part of un-modelled variation of the Earth's pole in the celestial sphere beside precession and nutation. We hereby present a brief summary of their theories and report their recent features acquired from updated datasets (EOP C04 and ECMWF) by using Fourier transform, modelling, and wavelet analysis. Our new findings include (1) period-instability of free core nutation between 420 and 450 days as well as its large amplitude-variation, (2) re-determined Chandler period and its quality factor, (3) fast decrease in Chandler amplitude after 2010.

공기역학적 저항 모수화에 따른 오존의 건성침적속도 비교 (A Comparison of Dry Deposition Velocity of Ozone to Aerodynamic Resistance Parameterization)

  • 이화운;문난경;노순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7호
    • /
    • pp.663-667
    • /
    • 2002
  • The aerodynamic resistance($R_a$) to vertical transfer in the surface boundary layer can be formulated in terms of the friction velocity, height of observation, vertical heat flux and surface roughness. Unlike previous studies which focused on the role of $R_c$, present study perform additional tests using a variety of $R_a$ formulae. Several $R_a$ formulations available in the literature, suitable for unstable conditions, were tested for their influence on the dry deposition velocity. The canopy resistance($R_c$) determines the shape of the diurnal pattern, while a small amplitude diurnal cycle in $V_d$ was attributed to the aerodynamic resistance. The aerodynamic resistance is the major contributor to the formation of spikes in nighttime and $R_a$ is relatively important at night because the canopy resistance is smaller. All formulations show similar diurnal cycle and yield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ations. Although present $V_d$ formulations are suitable for numerical air qualify models, the research must continue for further improvements in resistance parametrizations.

GPS관측 데이터를 이용한 해양의 조석성분 결정 (Determination of Ocean Tidal components by GPS Observations)

  • 윤홍식;이동하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5-54
    • /
    • 2003
  • This paper deal with the GPS performance for determining the ocean tidal loading components(M$_2$, N$_2$, S$_2$, K$_2$) and the availability of permanent GPS stations(CHJU, KANR) established in Korea. We determined the ocean tidal loading components from GPS observation by spectrum analysis and compared to that from global ocean tidal models(GOT00.2, FES99, CRS4.0, NAO99). Through this study, we have a sense that amplitude and phase lags of ocean tidal loading components from observed GPS data was almost equal to value calculated in ocean tide models. The diurnal ocean tide loading constituents are not considered, because unmodeled troposhere effects increase the noise level near the diurnal frequency band and prevent us from obtaining significant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