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uretic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29초

소아의 폐렴과 중추신경계 감염에서 급성 저나트륨혈증의 발생 양상 (Acute Hyponatremia in Pneumonia and CNS Infections of Children)

  • 신성현;엄태민;이윤진;손승국;김성헌;김수영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6권2호
    • /
    • pp.89-94
    • /
    • 2012
  • 목적: 소아 입원 환자에서 유지용액을 기존의 저장성 수액 대신 등장성 수액으로 대체해야 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왔다. 소아에서의 폐렴과 중추신경계 감염은 항이뇨 호르몬의 분비 자극으로 인해 저나트륨혈증이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임상적인 상황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에서 폐렴과 중추신경계 감염질환에서 저나트륨혈증의 발생률을 확인하고 유지용액 선택의 중요성과 관련 인자들에 대해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방법: 부산대학교 어린이병원에 2008년 11월부터 2011년 8월까지 폐렴과 중추신경계 감염질환진단하에 입원하여 유지용액을 투여받고 혈장 나트륨 농도가 측정된 1992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하였다. 저나트륨혈증은 혈장 나트륨 농도가 135 mEq/L 미만일 때로 정의하였다. 검사결과를 포함한 임상적 자료는 후향적으로 분석되었다. 결과: 연구기간 동안 1,992명 중 218명의 환아가 급성 저나트륨혈증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총 발생률은 10.9%였다. 저나트륨혈증의 발생률은 뇌염에서 가장 높았고 세균성 뇌수막염, 바이러스성 뇌수막염, 세균성 폐렴, mycoplasma성 폐렴, 바이러스성 폐렴 순으로 발생률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세균성 폐렴에서의 발생률은 바이러스성 폐렴의 발생률에 비해 의미있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또한 뇌염에서의 발생률은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의 발생률에 비해 의미있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 평균발생연령은 저나트륨혈증 환아군이 정상나트륨혈증 환아군에 비해 의미있게 높았다. 저나트륨혈증의 발생률은 D5 0.18% NS 투여군이 D5 1/2NS 투여군에 비해 의미있게 높았다. 입원기간 중 저나트륨혈증이 발생한 82명의 환아 중 78명이 SIADH의 진단에 필요한 모든 검사를 시행하였고, 이중 20.5%에서 진단되었다. 결론: 저나트륨혈증의 발생률은 폐렴과 중추신경계 감염질환에서 높게 나타나며 저장성 수액의 투여는 입원 후에 발생하는 저나트륨혈증의 중요한 원인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폐렴과 중추신경계 질환이 있는 환아에서 유지용액으로 D5 0.18% NS 보다 D5 1/2NS의 투여를 권장하는 바이다.

노인(老人) 저혈압(低血壓)에 대(對)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A Literature Review of The Senile Hypotension)

  • 곽익훈;김종대;정지천
    • 동국한의학연구소논문집
    • /
    • 제4권
    • /
    • pp.161-187
    • /
    • 1995
  • This study was perfomed to investigate causes of the senile hypotension, pathogenic mechanism, symptoms, and therapies through medical literatures, recent chinese medical literatures and chinese medical journ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senile hypotension has major symptoms of dizziness, weakness, syncope, palpitation, shortness of breath, and deficiency of Qi. Additionally, it has minor symtoms of letharhy, isomnia, tinnitus, amnesia etc... 2. The prodromal symptoms of Kwul and Kwul are relating to the symptoms of tachycardia, facial pallor, sweating, anxietas, ambiguous consciousness, and fainting. Weakness and dizziness due to deficiency make the symptoms of exhaustion, fatigue, vertigo, lethargy, and brachycardia. 3. The most principal cause of the senile hypotension is deficiency of Shen due to aging, congenital deficiency, and chronic illness. The rest of causes are defciency of Qi and blood, phlegm of retention, stagnation of Qi, blood stasis, blood prostration etc... In the view of the occidental meicine, the causes of the senile hypotension came from the reduction of cardiac output, the decretion of cardiovascular system's extention due to aging, hereditary factor, secondary factor due to exsanguination, diabetes mellitus, C.V.A etc..., and factor of neurogenic system's degeneration. 4. The principal pathogenic mechanisms are the insufficiency of Xing-Yang, the deficiency of Qi in middle jiao, and deficiency of Shen-Qi. The rest of mechanisms are the deficiency of both Qi and blood, stagnation of the Gan-Qi, and the deficiency of Gan and Shen. Zang-Pu Organs have something to do with Xing, Bi, and Shen. 5. As principal therapies, there are warming and recuperation the Xing-Yang, strengthing the middle-jiao and replenishing Qi, replenishing vital essence to tonify the Shen, and warming and recuperation the Shen-Yang. Additionally, the therapies of invigorating the Bi and relieving mental stress, strengthning the Bi and tonifing the Shen, invigorating Qi and nourishing Yin, soothing the Gan and regulating the circulation of Qi, and tonifing the Shen and nourishing the Gan help the cure of the senile hypotension. In prescriptions there are Baohe Yuan Tang, Buzhong Yigi Tang, Zuoguei Yin, Yougui Yin, Guipi Tang, Zhu Fu Tang, Shengmai San, Sini San, and Qi Ju Dihuang Wan. The medical herbs of Astragali Radix, Codonopsitis Pilosulae Radix, Ginseng Radix, Aconiti Tuber, Ephedrae Herba, Cinnamomi Ramulus, Cinnamomi Corfex Spissus, Zingiberis Rhizoma, Polygalae Radix, Liriopis Tuber, Polygonati Sibirici Rhifoma, Lycii Fructus, Schizandrae Fructus, and Glycyrrhizae Radix can be treated. 6. According to the clinical report, the principal causes are the deficiency of Qi, and insufficiency of Yang which symptoms are dizziness, vitality fatigue and acratia, amnesia, body cold and alger of extremity, spontaneous perspiration, and therady and weak pulse. It was improved by taking WenYang YiQi Tang, Zhu Fu Tang about 20-30 days. The improvement was shown on disappearance of subjective symptoms or the ascending of blood pressure to normal figure, and the rate of improvement was over 70%. 7. As regimens, taking warming and recuperating food(a sheep mutton, juglans regia, chiness date, longan aril etc...) and pungent food(chinese green onion, fress ginger, pipers fructns etc...), doing physical training, not being ill in bed at a long time, and preventing descent of blood pressure coming from sudden change of posture are needed. Additionally, the usage of diuretic, abirritant, and depressor needs to be extra cautious.

  • PDF

산전 초음파로 진단된 태아 수신증의 생후 경과 관찰 (Post-natal Outcome of Fetal Hydronephrosis Detected with Prenatal Ultrasonography)

  • 박연진;문순정;배종우;이범하;김진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0호
    • /
    • pp.1213-1218
    • /
    • 2002
  • 목 적: 산전초음파 검사로 진단되는 태아기 기형 중 수신증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나, 출생 후 대부분이 무증상이나 이에 대한 예후의 판단에 자연 경과의 관찰은 중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산전 초음파로 진단된 신생아 수신증의 추적 관찰을 통하여, 그 원인 질환의 빈도와 그에 따른 자연 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2년 4월부터 11월까지 경희대학교병원에서 산전 초음파 검사로 수신증으로 진단 받고 출생 후 3-7일 내에 실시한 초음파 검사에서 수신증으로 진단된 23명의 신생아(36 renal units)를 대상으로 수신증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중 신우요관이행부 폐색과 기질적 병변이 없었던 경우의 수신증은 12-24개월 동안 추적 관찰하여 경과를 관찰하였다. 결 과 : 23명의 신생아 중 수신증은 양측인 경우가 12명, 우측 4명, 좌측 7명이었으며, 그 원인 질환으로는 기질적 병변이 없는 경우가 16례(44%), 신우요관 이행부 폐색이 14례(39%), 방광요관역류가 3례(8%) 였으며, 다낭성이형성신, 방광요관 역류와 요관협착을 동반한 신우요관이행부 폐색, 방광요관역류를 동반한 요관방광이행부 폐색이 각각 1례씩이었다. 추적 관찰한 출생 후 수신증의 정도는 이환 된 30개의 신장 중 경증인 경우가 26례(87%), 중등증인 경우가 4례(13%)로 대부분이 경증으로 나타났으며, 추적 관찰기간 12-24개월 동안 수신증이 자연 소실된 예는 6례(20%), 수신증이 호전중인 경우는 15례(50%), 수신증이 악화되어 기저 질환 수술 후 호전된 경우는 2례(7%), 추적 관찰 실패한 경우는 7례(23%)였다. 자연 소실되거나 호전 중인 수신증은 처음 진단 시 경증 19례, 중등증 2례였으며, 악화되어 수술을 시행한 경우는 처음진단 시 경증 1례, 중등증 1례였다. 결 론 : 산전 초음파 진단으로 수신증을 보인 경우, 기질적 원인으로 가장 많은 원인은 신우요관이행부 폐색 이었으며, 출생 시 경증으로 진단된 수신증은 자연 호전되거나 소실되는 경우가 많으나, 추적 관찰 시 악화되어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으므로 장기간에 걸친 주의 깊은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Ethanol 급성투여(急性投與)가 흰쥐의 혈압(血壓)과 신기능(腎機能)에 미치는 영향(影響) (Acute Effects of Ethanol on Blood Pressure and Renal Function in Rat)

  • 배귀숙;박재식;이원정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15권2호
    • /
    • pp.103-109
    • /
    • 1981
  • Ethanol 투여(投與) 용량(容量)에 따른 혈압(血壓)과 신기능(腎機能)의 변화(變化)를 알아보고자 흰쥐의 복부대동맥(腹部大動脈)에 catheter 를 삽입(揷入)하고 그 다른 끝을 목뒤로 끌어낸 후(後) 1주일(週日)이상 수술(手術)에서 회복(恢復)시킨 다음 실험(實驗)에 사용(使用)하였다. 실험직전(實驗直前)에 방광(膀胱)을 비운 뒤 metabolism cage에 넣어 안정(安靜)시킨 후(後) 60분(分)에 복부대동맥(腹部大動脈)의 catheter를 통(通)하여 평균동맥혈압(平均動脈血壓)(MAP)을 직접(直接) 측정(測定)하고 동맥혈액(動脈血液)과 뇨(尿)를 채취(採取)하였다. 곧 이어 ethanol 은 10 g% (저농도(低濃度)), 또는 30 g% (고농도(高濃度)) 용액(溶液)을, 대조실험(對照實驗)으로는 물을, 체중(體重) 100 g 당(當) 1 ml 씩 각각(各各) 경구(經口) 투여(投與)하였다. 용액투여후(溶液投與後) 3시간(時間)동안 MAP를 측정(測定)하고, 혈액(血液)은 매(每) 시간(時間)마다, 뇨(尿)는 90분(分) 간격(間隔)으로 채취(採取)하여 다음의 결과(結果)를 얻었다. 혈중(血中) ethanol 농도(濃度)는 ethanol 투여후(投與後) 1시간(時間)에 최고치(最高値)를 나타내고 (저농도(低濃度); $105.0{\pm}7.5,$ 고농도(高濃度); $214.7{\pm}20.2\;mg%$), 그후 직선적(直線的)으로 감소(減少)하였다. MAP는 물투여군(投與群)에서는 변화(變化)가 없었으나 ethanol 투여군(投與群)에서는 15분(分)부터 감소(減少)하기 시작(始作)하여 3시간(時間)동안 계속유의(繼續有意)하게 감소(減少)된 상웅(狀熊)를 나타내었다. 뇨량(尿量)은 ethanol 투여군(投與群)에서는 90분(分)동안에 유의(有意)한 증가(增加)를 보여주었고 (저농도(低濃度); $0.88{\pm}0.20{\rightarrow}1.04{\pm}0.22,$ 고농도(高濃度); $0.56{\pm}0.11{\rightarrow}1.35{\pm}0.18\;ml/1.5\;hr$), 180분(分)동안에는 뇨량(尿量)이 ethanol 투여전(投與前)보다 더 낮았다(저농도(低濃度); $0.25{\pm}0.06$, 고농도(高濃度); $0.22{\pm}0.06\;ml/1.5\;hr$). 물투여군(投與群)에서는 뇨량(尿量)이 계속(繼續) 감소(減少)하였다$(0.88{\pm}0.10{\rightarrow}0.59{\pm}0.09{\rightarrow}0.45{\pm}0.09\;ml/1.5\;hr)$.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는 ethanol의 혈중농도(血中濃度)가 높을수록 더 심(甚)한 혈압강하작용(血壓降下作用)을 나타내며, ethanol 로 인(因)한 이뇨작용(利尿作用)도 ethanol 량(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뇨량(尿量)도 증가(增加)함을 보여 주었다.

  • PDF

소금 섭취량을 달리한 정상 및 고혈압쥐에서 Atrial Natriuretic Peptide가 혈압, Renin-Aldosterone 및 신배설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dium Intake on Responses of Blood Pressure, Renin-Aldosterone and Renal Excretions to Atrial Natriuretic Peptide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 전제량;이원정;박재식;주영은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4권2호
    • /
    • pp.319-329
    • /
    • 1990
  • 장기적으로 소금 섭취량을 달리 한 정상 및 고혈압쥐에서 atrial natriurectic peptide (ANP) 가 혈압, renin-aldosterone 및 신배설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생후 6주된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e (SHR)와 Wistar 숫쥐를 각각 저염, 정상염 및 고염 (2, 10, 25 mmol NaCl/100g diet) 군으로 나누어 실험 식이를 6주동안 먹었다. 실험 당일 아침에 쥐를 ether로 마취시킨 상태에서 대퇴 동맥과 정맥 및 방광에 catheter를 삽입한 다음에 쥐를 restraining cage에 넣어 고정시켰다. 마취가 깨고 혈압이 안정된 후에 정맥관으로 0.9% saline을 0.02ml/min의 속도로 80분간 주입하고 안정시 뇨와 혈액을 채취하였다. 그후 ANP를 380 ng/kg/min의 속도로 20분간 주입하였으며 그동안 10분 간격으로 요를 채취한 다음 채혈하였다. 혈장 aldosterone 농도와 renin 활성도 (PRA)를 방사면역법으로 측정하였다. ANP를 주입하기 전에 SHR 고염군의 평균동맥압은 정사염이나 저염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나, Wistar의 혈압은 소금군 사이에서 차이가 없었다. ANP 주입전의 혈장 aldosterone 농도는 소금 섭취량이 많을수록 유의하게 낮았으며, Wistal 군이 SHR 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혈장 renin 활성도는 소금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Wistar와 SHR 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요량이나 Na, K 배설률은 소금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SHR이 Wistar 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Hematocrit 값도 소금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SHR의 값이 Wistar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ANP를 주입하는 동안 혈압이 점진적으로 감소하여 20분후에는 $20{\sim}30\;mmHg$ 정도 감소하였으나, 각 소금군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ANP에 의한 혈압 강하 정도는 SHR이 Wistar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ANP 주입 후에는 모든 군에서 aldosterone과 혈장 renin 활성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는데, aldosterone의 감소 정도는 저염군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ANP의 이뇨 및 Na 배설 항진효과는 Wistar에서는 소금군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SHR 에서는 고염군의 Na 배설률이 저염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ANP의 혈압강하 효과나 Na 배설 항진효과가 SHR에서 Wistar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이뇨반응, renin 및 hematocrit의 변화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장기적으로 소금 섭취량이 다름에 따라 ANP의 효과 중에서 특히 aldosterone 분비나 SHR의 Na 배설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그 작용 기전은 확실치 않다.

  • PDF

신장기능의 중추 Dopamine성 조절에 미치는 Yohimbine의 영향 (Influence of Yohimbine on the Central Dopaminergic Regulation of Renal Function)

  • 국영종;김경근;조강선;민병갑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79-87
    • /
    • 1986
  • 중추 dopamine(DA)계가 신장기능 조절에 관여하고 있으며 뇌실내로 DA를 투여하면 norepinephrine(NE)처럼 항이뇨와 항Na 배설을 초래함이 보고된 바 있고, 중추 DA작용에 있어서 adrenergic system이 관여한다는 많은 시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alpha-2 adrenocopter 차단제인 yohimbine이 측뇌실내 DA의 신장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관찰하였다. Yohimbine $100\;{\mu}g/kg$을 가토측뇌실내로 투여시(icv) 신혈류 및 사구체 여과율의 감소와 함께 현저한 항이뇨 및 Na 배설감소를 초래하였으며, DA $15\;{\mu}g/kg$ icv 역시 항이뇨를 초래하였으나 yohimbine 전 처치후에는 뇨량 및 Na배설의 증가를 초래하였다. 양을 더올려 $150\;{\mu}g/kg$의 DA를 yohimbine 전처치 가토에 투여하면 3배 이상의 Na배설 증가와 함께 현저한 이뇨작용이 나타났으며 이 작용은 약 20분간 지속되었다. 이때 신혈류 역학은 일부 개선되었다. 다른 DA agonist인 apomorphine은 $100\;{\mu}g/kg$ icv로 현저한 이뇨와 Na 배설증가를 나타내며 신혈류역학도 개선하였으나, yohimbine은 이같은 apomoiphine작용을 차단하지 못하였다. NE $10\;{\mu}g/kg$ icv도 항이뇨 작용을 나타냈으나 yohimbine 전처치에 의하여 차단되지 아니하였다. 이 연구결과로, 중추 DA의 신장작용은 NE처럼 단순하지 않고, 이뇨작용은 신혈류역학의 감퇴에 기인한 항이노작용에 의해 은폐되어 있으며, yohimbine은 DA의 항이뇨작용은 차단하나 이뇨작용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며, DA의 항이뇨작용이 지양될때에만 이뇨작용이 발현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추를 통한 DA의 신장작용에는 adrenergic system이 관여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