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yl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한국 특산식물 미선나무의 이화주성(Distyly) 및 개체군 크기 (Distyly and Population Size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an Endemic Plant in Korea)

  • 김소담;문애라;권신영;윤석민;김휘민;이동형;손성원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39-650
    • /
    • 2022
  •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는 오직 한반도 일부 지역에 제한적으로 자생하는 특산식물이며, 지구범위 인 IUCN Red List Endangered로 평가·등재되어 있는 이화주성(distyly, 二花柱性) 특성을 가진 희귀식물이다. 본 연구는 미선나무 자생 개체군 8개 지역과 천연기념물 개체군 6개 지역 등 총 14개 지역의 정량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미선나무 이화주성에 따른 개화 특성과 개체군 크기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미선나무 개체군에 적합한 현지 내 보전관리방안 정립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개체군별 출현 개체는 전수조사하였으며, 각 개체의 화기 형태로 장주화·단주화 개체를 식별해 개화 개체를 현장에서 조사·기록 후 분석하였다. 미선나무 전체 출현 개체 수는 총 13,130개체(개화 7,003개체, 미성숙 6,127개체)로 각 개체군의 장주화·단주화 개화 개체 수 적정 균형 상태가 유의적(P<0.05)이지 않고, 불균형한 상태를 나타냈다. 특히, 영동 개체군은 타 개체군 대비 매우 불균형적 형태를 나타내 타 개체군과 비교했을 때 유전다양성이 낮고, 근친교배 가능성이 클 것으로 추정된다. 관리 단위별 평균 개화·결실률은 각각 자생 개체군 39.0%, 8.5%, 천연기념물 개체군 89.2%, 55.3%로 천연기념물 개체군이 자생 개체군 대비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는 상층 수관 울폐 차이에 따른 임내 광유입 변화와 관계된 생식 생장 크기 차이로 사료된다. 한반도 내 미선나무 전체 점유면적은 23,224.5m2이었고, 천연기념물 개체군이 자생 개체군 대비 개체군 점유 면적은 작으나 밀도는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정 면적에 대한 보호시설 설치로 개체군 확산에 제약이 있는 천연기념물 개체군 내 주기적인 관리가 천연기념물 개체군 밀도를 높인 주된 요인일 것으로 추정된다. 미선나무 보전을 위해서는 현재 인위적·유전적 교란이 의심되는 천연기념물 집단을 해제하고, 새로운 보호구역을 신규로 지정함으로써 보전 우선 개체군의 확대가 필요하다. 천연기념물 개체군의 경우 문화재청과 지자체에서 자생지 관리가 이뤄지고 있으나 자생 개체군의 경우 관리 주체가 전무한 실정으로 미선나무 전반적 관리에 대한 제도적 개선이 우선적으로 이뤄져야 할 것이다.

식물형태학에서 사용하는 피자식물의 꽃 구조에 관한 한글 용어의 분석 (Analysis of Some Korean Terminologies on the Flower Structures of Angiosperms in Plant Morphology)

  • 이규배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2권2호
    • /
    • pp.86-100
    • /
    • 2009
  • Korean terminologies on flower structures of angiosperms in plant morphology, written incorrectly in many books, were analysed to suggest accurately expressed terminologies. 24 books in areas such as general biology, plant biology, plant morphology, and biological dictionaries and glossaries were selected to analyse the accuracy of the terminologies for seed structures, e.g., crassinucellate (ovule), tenuinucellate (ovule), placentation, free cental placentation, herkogamy or hercogamy, heterostyly or heterostylous, distyly or distylous, tristyly or tristylous, and hypanthium. The definition and etymology of the terminologies were traced in 4 textbooks of plant anatomy and 2 dictionaries of biology and botany written in English. On the basis of the definition, etymology, and principles for terminology formation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704:2000), accurately and reasonably expressed Korean terminologies were proposed. The 9 terminologies examined in this study were found in the glossary of biological terminologies, publish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Biological Sciences in 2005, and designated as an editorial source for science and biology textbooks for middle and high schools by Ministry of Education in 2007. However, none of the 9 terminologies described in the glossary were consistent with those proposed in the present study. The inconsistencies indicated the need for a reassessment of this glossary of biological terminologies. The new, proposed terminologies would facilitat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of plant biology.

  • PDF

Heterostyly and pollen dimorphism of Menyanthes trifoliata

  • Hye-Rin KIM;Kweon HEO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9-13
    • /
    • 2023
  • Menyanthes trifoliata L., a heterostyly plant, is an endangered species in Korea. Floral morphology has been published for M. trifoliata, but few works have concentrated on pollen dimorphism differences accompanied by floral dimorphism. Here, we conducted a comparative morphological study of two morphs to investigate a dimorphism system with Korean populations. Polle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with a light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or the pin type, pollen size is 36.01 ± 2.01 ㎛, whereas for the thrum type it is 41.28 ± 2.58 ㎛ in terms of the equatorial diameter. The two morphs have a small apocolpium field at 5.62 ± 0.30 for the pin type and 6.24 ± 0.70 for the thrum type. The configuration of the aperture was tricolpate with a striate ridge in the two morphs. However, they have different pollen shapes and sizes, stigma shapes, and apocolpium sizes. M. trifoliata only has different pollen sizes and shapes between European populations and Korean populations. Nevertheless, Korean populations also show pollen dimorphism correlated with their floral dimorph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