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tinction bia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A Study on the Media Consumers' Behavior Related to Online Communications: Behavioral Economics Perspective

  • Ma, Alice Kyoungran;Kim, Takhun;Ahn, Jongch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5호
    • /
    • pp.2491-2508
    • /
    • 2019
  •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media consumers' behavior with behavioral economics perspective, especially regarding TV content viewers' behavior; how do online communications influence TV viewers' decision when choosing a new TV content among options. We focus on quantity and attribute of comments or reactions on the online news articles. We analyze that online communications data, which were generated before the first broadcast, affect the TV content consumers' choice for a new TV series. Here we identify a predicted utility, experienced utility and distinction bias in TV media consumption to find the effectiveness of the first viewing choice on whole TV series' episodes. To avoid the crucial influence by exogenous factors, such as season and social issue, the test was done with specific conditions. This research found that the total number of reactions to the comments by itself positively affects the audiences' decision-making behavior for a new TV content choice. This influence was regardless of favor/ non-flavor reaction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media economics and management by exploring the media content users' consuming behavior and making a first step for finding an important influencer on the media content consumption.

음절신호의 음소 분리와 시간-주파수 판별 패턴의 설정 (Phoneme Separation and Establishment of Time-Frequency Discriminative Pattern on Korean Syllables)

  • 류광열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1324-1335
    • /
    • 1991
  • 본 논문은 음절을 음소로 분리하고 각각의 특징을 추출하여 음소를 판별할 수 있는 패턴을 설정하는 실험에 관한 연구이다. 음소분리는 피치검출, 각 성문피크펄스의 폭, 포락실, 진폭의 바이어스, 발성시간 등의 파라메타를 적용한다. 최초의 피치는 성문펄스의 폭, 에너지, 정규화와 성문피크의 가변바이어스 등의 변화에 따라 모음 포라선의 봉우리 부분에서 검출, 이를 기준으로 전체의 피치구간을 추적한다. 모음은 포만트 패턴의 유동을 감소시키는 방법과 제2포만트만으로 모음의 판별이 가능함을 제시하며, 피치 고저에 무관한 압축파형을 추정한다. 자음은 포락실, 스펙트럼, 압추파형, 분석방법 등을 발음방법과 음소 상호 영향에서 패턴을 추출한다. 실험결과 모음음소 90%, 초성자음80%, 종성자음 60% 판별된다.

  • PDF

시판중인 유아용 땅콩기저귀의 형태와 구성에 관한 실태조사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Shape and Make-up of Peanut-Shaped Cloth Diaper for Baby on Market)

  • 이정순;한경희;구미란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4호
    • /
    • pp.122-134
    • /
    • 2011
  • The peanut-shaped cloth diaper has cut uncomfortable crotch region off the square-shaped cloth diaper into a peanut-shape, and finished the edge by bias with multi-layers of fabric. This study has the purpose on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designing the peanut-shaped cloth diaper. For this purpose, the peanut-shaped cloth diapers on market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their shape and size, and also the patterns and differences in making were compared. 26 products from 17 brands were collected as samples. The analysis factors are the shape and size of the peanut-shaped cloth diaper, and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in making. Among the samples, only 3 diapers were straight-shaped; the rest of them were peanut-shaped. The size difference between the big and small peanut-shaped cloth diapers was very large; the total length of the small one was 36.5cm-39cm which was very common, and the total length of the big one was more than 44cm. All diapers had longer width in the back than the front. The width of the front and back was different for each sample, therefore, it seemed to have some difficulties to set the standard. The peanut-shaped cloth diaper had different make-up depending on its characteristics including. absorbance, washing and drying. It was usually made by cotton woven of diamond jacquard or knit, and finished the edge by woven bias or knit bias. The peanut-shaped cloth diapers were various including a sheet of diaper, two sheets of diapers fixed with velcro, three sheets of diapers, and etc. For the patterns of the diapers, only two samples out of all had three dimensional shape, and the rest were produced using flat shape. There were no distinction between the diapers of girls and boy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the product based on scientific data about the peanut-shaped cloth diaper.

3D 어패럴 캐드 시스템으로 제작된 가상의복의 소재물성별 실물 재현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xpressivity of Virtual Clothing made of 3D Apparel CAD System according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Fabric)

  • 오송윤;유은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613-625
    • /
    • 2015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to improve expressivity required for virtual clothing to replace actual clothing. For the experiment, 6 materials were selected and 12(2 kinds of length) actual flared skirts were made. At the same time, simulations were carried out on OptiTex Runway 12.0 for 36(12 kinds of skirts $\times$ KES, FTU, KES weight/10) kinds of virtual flared skirts, which were applied with the measured property values (thickness, weight, bending, shear, friction, and stretch). Also, the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wearing images, silhouette overlapping images, and skirt length measurements of the actual and virtual skirts put on a dummy. As a result, the actual skirts showed clear distinction for each material. In contrast, virtual 1 and 2 expressed fabric 3 in the most similar way, but could not recreate the uniform, soft, and natural flare shape of the actual skirts in general. Virtual 3 formed natural flares as those of the actual skirts, and expressed fabric 1, 5, and 6 in a similar way. However, virtual 3 had too much volume and barely showed any distinction for each material. All of virtual 1, 2, and 3 expressed different flare shapes on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skirt similarly to the actual skirts, and had a good visual expression for the color and texture of the materials. However, they could not effectively express the elasticity and fabric sagging in the bias direction.

신경질환의 진단을 위한 탈신경 전위와 종판 전위의 구별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Distinction between Denervation Potentials and Endplate Spikes for the Diagnosis of Neuropathy)

  • 임재중;김남균;황윤성;박인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51-459
    • /
    • 1999
  • 신경질환의 진단에 있어서 근육군에서의 세동전위나 양성예각파와 같은 탈신경전위를 관찰함으로써 신경의 이상유무와 손상부위를 예측할수 있는데 이는 임상의의 주관적인 경험에만 의존하여 구별되고 있으며 검사과정 중 정상인에게서도 나타날 수 있는 종판전위가 탈신경전위로 오인되어 진단에 혼선을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탈신경전위와 종판전위를 정량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매개변수들을 추출함으로써 신경손상의 진단과 병변의 국소화에 정확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종류의 신경손상을 보이는 10명의 환자들에 대한 근전도 검사를 실시하여 탈신경전위인 양성예각파나 세동전위, 그리고 종판전위를 검출하였다. 이들 신호로부터 지속시간, 면적, 기울기, 첨두시간 진폭, 양첨두지 진폭, 음첨두치 진폭 및 첨두치 비율 그리고 상(phase)의 여덟가지 매개변수를 구하고 각 파형에서의 값들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종류의 탈신경전위와 종판전위의 구분에 공통적으로 좋은 결과를 제공하는 매개변수는 기울기, 첨두치간 진폭, 양첨두치 진폭 그리고 첨두치간의 비율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구해진 매개변수들의 특성은 근전도 분석의 자동화를 위한 알고리듬의 수립에 응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며 보다 정량화된 근전도 분석을 통해 진단의 정확성을 향상시켜 줄 것이다.

  • PDF

현행 세법상 영업권 평가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formation of Evaluation System for Goodwill under the Current Tax Law)

  • 곽영민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1호
    • /
    • pp.195-216
    • /
    • 2013
  • 본 연구는 현행 세법상 영업권 평가규정을 고찰하여 해당 규정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한 후 이에 대한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착수되었다. 이는 무형자산에 대한 인식 비중이 최근 급속히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무체재산권 특히 영업권 평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여 이와 관련한 분쟁이 판례와 심판례 등에서 자주 나타나고 있음에 기인한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현행 세법 규정에 따른 영업권 평가 문제를 진단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향을 점검하는 것은 납제사의 납세순응비용을 축소하고 불필요한 관세관청의 정세비용 축소에 기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한 논의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법인세법 및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 제시되고 있는 현행 매수영업권 관련 규정은 매수영업권의 과대평가를 초래할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는 사업결합일 현재 피취득자의 재무제표에 표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사업결합 과정에서 추가적으로 인식될 수 있는 무형의 재산권이 존재하는 경우 현행 세법은 이를 구분하지 못하고 모두 매수영업권의 취득가액에 포함하여 평가하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현행 매수영업권 관련 규정을 개선하여 사업결합과정에서 추가적으로 인식되는 식별가능한 무체재산권을 매수영업권에서 구분할 필요가 존재한다. 둘째, 현행 상속세 및 증여세법상 보충적 평가기법으로 제시하고 있는 내부창출영업권의 평가규정을 살펴본 결과 현행 규정이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별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모든 기업에 일률적으로 적용됨에 따라 동 규정에 따른 영업권의 평가가액이 산업효과(industry effect)에 따라 편의를 지닐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관찰된다. 이는 특히 같은 규정을 준용하여 초과이익을 구하는 과정에서 10%의 정상이익률을 모든 기업에 일률적으로 적용함에 따라 정상이익이 산업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며 이로 인해 초과이익의 평가가 왜곡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해당 기업이 속한 산업의 특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정상이익률에 관한 현행 규정을 기존 일률적 10%에서 해당 동종 산업의 평균이익률 등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뇌종양의 재발과 방사선 괴사의 감별을 위한 탈륨 SPECT의 역할 (The Role of T1-201 Brain SPECT in the Differentiating Recurrent Tumor from Radiation Necrosis)

  • 원경숙;류진숙;문대혁;양승오;이희경;이정교;권병덕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76-483
    • /
    • 1996
  • 임상적으로 뇌종양과 방사선 치료 후 발생한 괴사의 감별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임상 증상이나 방사선학적 소견으로 양자를 감별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에 저자 등은 방사선 치료 후 재발과 괴사를 감별하는데 있어 T1-201 SPECT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뇌종양으로 진단 받고 개두술 및 방사선 치료나 감마 나이프 수술을 받은 후 증상의 악화로 내원하여 T1-201 SPECT를 시행한 환자 중 조직학적으로 확진된 20명으로 하였다. T1-201 SPECT는 일단 육안적으로 비정상적 탈륨 섭취 여부를 판별한 다음 비정상적 탈륨 섭취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탈륨 섭취 지수를 구하여 2.5이상인 경우를 종양의 재발로 간주하였으며, 병리조직 소견과 비교하였다. 재수술 또는 조직검사상 20명중 16명이 재발 또는 양성종양의 악성전환으로 나타났으며, T1-201 SPECT 상에서는 18명에서 2.5이상의 높은 탈륨 섭취 지수로 종양 양성이었다. 17예에서 일치를 보였는데 진양성 15예, 진음성 2예였고, 3예에서 불일치를 보였는데 모두 위양성이었다. 조직소견을 기준으로한 예민도, 특이도, 양성 예측율 및 음성 예측율은 각각 100%, 40%, 83%, 100%였다. 결론적으로 뇌종양의 방사선 치료 후 재발과 괴사를 감별하는데 있어 T1-201 SPECT는 높은 예민도와 음성 예측율을 갖는 유용한 검사이다. 상대적으로 낮은 특이도는 조직병리 검사를 시행함에 있어 표본선택오차와 임상가의 검사의뢰 편견이 있을 수 있음을 고려하여 좀 더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