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placed person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Invisible Empire in Flannery O'Connor's "The Displaced Person": Southern Dynamics of Race, Miscegenation and Anti-Catholicism

  • Jin, Seongeun
    • 영어영문학
    • /
    • 제60권2호
    • /
    • pp.295-314
    • /
    • 2014
  • Flannery O'Connor's stories have garnered critical attention for her religious views. Thus, the interpretation of violence in her fiction has been mainly associated with salvation in her characters. Nonetheless, O'Connor was aware of the historical facts surrounding white supremacist activities in the American South. In its revenge narrative, O'Connor's story "The Displaced Person" (1955) unveils subtle layers of politics from the Ku Klux Klan as well as her white characters' views of race and immigrants. O'Connor used a voice of reserve due to her minority position as woman and Catholic. Although she was a white female, she lived within repressive Southern religiosity. Racism prevailed beneath Southern chauvinism and patriotism. The conflicts in the South display the violent aspects of the "Invisible White Supreme Empire." After the World Wars, devalued whiteness elicited atrocities against socially upward mobile African Americans, foreigners and Catholics. This article explores the convoluted issues of racial hierarchy, miscegenation, and xenophobic reactions in the South.

실향민의 고향의식 - 우숙자 시집을 중심으로 - (Displaced People's Consciousness of Hometown: based on the works of Poet Wu Suk-ja)

  • 김민정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4집
    • /
    • pp.87-111
    • /
    • 2006
  • <실향민의 고향의식>은 북한 개성을 고향으로 두고 있는 우숙자시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고향과 이산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통일에 대한 염원 및 의지의 시조를 살펴본 논문이다. 우숙자 시인만큼 실향의 아픔과 분단에의 고통과 통일에의 열망을 줄기차게 쓴 시인도 드물다. 분단의 문제는 이제 세계에서 유일하게 한반도만이 안고 있는 문제이며, 이러한 문제가 한 실향민의 시조 속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곧 우리민족이 안고 있는 문제를 조명해 보는 것이기도 하다. 통일 문제는 그 누구도 희망을 저버려서는 안 될 우리민족의 절대명제인 만큼 우리 모두가 통일을 모색해야 한다. 이러한 현실 앞에서 한 실향민의 시조를 통해, 반세기가 넘는 분단의 오랜 역사에서 실향민이 느껴야 하는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이산가족에 대한 아픔과 고통, 통일에의 간절한 염원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민족이 당면해 있는 문제를 인식하고 통일에의 의지를 키우는 데 이 논문의 의의가 있다. 그의 시조집을 통해 살펴본 고향의식 속에는 첫째는 실향에 대한 아픔과 그리움이며, 둘째는 이산가족에 대한 아픔과 그리움, 셋째는 통일에 대한 염원 및 의지이다.

  • PDF

가정학 교육과 직업 (Home Economics: Potentials for Professionalism)

  • 윤복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3-68
    • /
    • 1980
  • In a rapidly changing Korean society, the role of home economics in ideological education and practical professionalism is faced to be reset. In this article the author reviews home economics and career opportunities. the following issues were discussed in detail : 1. Home Economics and Occupation ; a) As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home economics, job applicants must carry their message in person to potential employers. Employers must be taught that persons with home economics degrees have the capabilities and qualifications to fill a variety of positions. b) In may of 1977, Vocational Education Coalition was established by Americ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AHEA), American Vocational Association,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This coalition defined the vocational education as occupation of homemaking and paid employment in home economics occupations for women and men. 2. Home Economics in business: Twelve percent of the total membership of the AHEA is affiliated with the home economics in business section. A professional management consultant, Dr. strain's viewpoint and corning Glass Work's case about business value in the home economics were summarized; a) Why a business employs a home economist. b) Why a business does not employ a home economist. c) Enhancing the home economist's value. d) Home economist's roles in corning Glass works. 3. Creating a Career: a) Mrs. Maineri's story. b) Family financial counselors. c) Home economist and displaced homemaker. d) Job opportunities in international services. Since the role of home economics in Korea has had little perception in professionalism, the following issues require immediate and serious attention to enhance career opportunities for home economists: Employers and government's recognition of home economist's value, Home economist's attitude to enhance their value, Fair employment and sex discrimination, Curricula adjustment, and Support from women's organization for employment opportunities, fair treatment, top jobs, etc.

  • PDF

노회찬 아카이브 기초 연구 (A Pre-study on Roh Hoe-chan Archives)

  • 주현미
    • 기록학연구
    • /
    • 제68호
    • /
    • pp.243-279
    • /
    • 2021
  • 고(故) 노회찬 의원은 한국 진보정치의 대표적인 정치인이다. 노동운동, 노동자 정치조직화 운동, 진보정당 건설 운동에 매진하였으며, 17, 19, 20대 국회의원으로 의정활동을 수행했다. 그가 남긴 기록은 노동자 정치세력화의 기록이고, 진보정당의 기록이며 고뇌하고 실천하는 정치인의 기록이다. 또 실향민의 아들로써, 유신시기 고민하는 학생운동가로, 그러면서도 첼로를 켰던 문화적 소양의 한 인간의 기록이기도 하다. 이 연구는 노회찬이 남긴 기록의 수집, 관리 현황과 기록을 둘러싼 맥락과 기록의 내용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를 통해 노회찬 아카이브 구축의 과제를 생각해보는 연구이다. 아키비스트의 이러한 기초적인 연구는 아카이브를 구조화하고 이용자들에게 다양한 접근점을 제시함으로써 이후보다 다양한 콘텐츠 개발 및 연구에 이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카이브 운영의 선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조선시대(朝鮮時代) '향화(向化)'개념에 대한 연구(硏究) -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Concept of 'Hyanghwa' of Chosun Dynasty)

  • 서근식
    • 동양고전연구
    • /
    • 제37호
    • /
    • pp.7-31
    • /
    • 2009
  • '향화(向化)'라는 말을 우리에게 낯선 단어이지만, 다문화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한번쯤 음미해볼 가치가 있는 단어이다. 현행 국어사전에서는 유교(儒敎) 덕치주의(德治主義)의 교화(敎化)와 관계있는 단어로 정의되었으며, 향화(向化)라는 말자체도 이미 교화(敎化)의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향화인(向化人)은 덕치주의(德治主義)라는 명분(名分)보다는 경제적 정치적 이익이라는 실질적인 이유 때문에 조선으로 이주해 온 경우도 많다. 따라서, 향화인(向化人)을 올바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덕치주의(德治主義)라는 명분(名分)과 경제적 정치적 이익이라는 실상(實狀)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 황조인(皇朝人)이라는 말도 '향화(向化)'를 이해하는데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황조인(皇朝人)은 멸망한 명(明)나라의 유민으로 북방민족(北方民族)이나 왜(倭)로 이루어진 향화인(向化人)과는 대비된다. 실상(實狀)에 있어서 향화인(向化人)과 황조인(皇朝人) 모두 국제정세의 변화 때문에 조선으로 이주해 온 것이지만, 이들은 '화이(華夷)'라고 하는 명분상(名分上)의 이유 때문에 다른 대우를 받았다. 조선을 '아(我)'라고 한다면 향화인(向化人)과 황조인(皇朝人)은 모두 '타자(他者)'이다. 조선은 '타자(他者)'와 올바른 '관계'를 맺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인가? 향화인(向化人)이라는 '타자(他者)'와 황조인(皇朝人)이라는 '또 다른 타자(他者)'가 생겨난 것으로 보아 둘 사이의 '관계'는 올바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향화인(向化人)과 황조인(皇朝人)이라는 명칭은 '타자(他者)'가 원한 것이 아니라 조선에서 일방적으로 규정한 것이다. 향화인(向化人)이라는 '타자(他者)'와 황조인(皇朝人)이라는 '또 다른 타자(他者)'가 생겨난 것은 '화이(華夷)'라는 이념 때문이다. 이념이라는 색안경을 걷어내야만 '아(我)'와 '타자(他者)'의 '관계'를 바르게 정립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이념이라는 색안경을 걷어내는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Spatiotemporal Trends of Malaria in Relation to Economic Development and Cross-Border Movement along the China-Myanmar Border in Yunnan Province

  • Zhao, Xiaotao;Thanapongtharm, Weerapong;Lawawirojwong, Siam;Wei, Chun;Tang, Yerong;Zhou, Yaowu;Sun, Xiaodong;Sattabongkot, Jestumon;Kaewkungwal, Jaranit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8권3호
    • /
    • pp.267-278
    • /
    • 2020
  • The heterogeneity and complexity of malaria involves political and natural environments, socioeconomic development, cross-border movement, and vector biology; factors that cannot be changed in a short tim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impact of economic growth and cross-border movement, toward elimination of malaria in Yunnan Province during its pre-elimination phase. Malaria data during 2011-2016 were extracted from 18 counties of Yunnan and from 7 villages, 11 displaced person camps of the Kachin Special Region II of Myanmar. Data of per-capita gross domestic product (GDP) were obtained from Yunnan Bureau of Statistics. Data were analyzed and mapped to determine spatiotemporal heterogeneity at county and village levels. There were a total 2,117 malaria cases with 85.2% imported cases; most imported cases came from Myanmar (78.5%). Along the demarcation line, malaria incidence rates in villages/camps in Myanmar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neighboring villages in China. The spatial and temporal trends suggested that increasing per-capita GDP may have an indirect effect on the reduction of malaria cases when observed at macro level; however, malaria persists owing to complex, multi-faceted factors including poverty at individual level and cross-border movement of the workforce. In moving toward malaria elimination, despite economic growth, cooperative efforts with neighboring countries are critical to interrupt local transmission and prevent reintroduction of malaria via imported cases. Cross-border workers should be educated in preventive measures through effective behavior change communication, and investment is needed in active surveillance systems and novel diagnostic and treatment services during the elimination ph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