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vulnerable population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8초

재난약자시설의 화재사례 분석을 통한 피난대책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Evacuation Measures through the Analysis of Fire Incident in the Facility of People Vulnerable to Disaster)

  • 진승현;김혜원;이병흔;권영진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78-79
    • /
    • 2018
  • The facilities of domestic elderly people are getting higher in the facility due to the rapid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Elderly people ability to evacuate the facility such as cognition and walking ability is very lo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safety of evacuation in case of fire, but the evacuation safety measures in case of domestic fire accidents are insufficient.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the safety of evacuation through the fire case analysis and to propose the measures against it.

  • PDF

사회적 취약계층을 고려한 재난방송문자 서비스 영향 요인 분석 - 고령자와 일반인 그룹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Analyzing the Impact Factors of Cell Broadcast Service Considering Socially Vulnerable Groups - Focus on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Elderly and the General Population)

  • 박근오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383-394
    • /
    • 2023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사회적 취약계층을 고려한 재난문자방송 서비스의 개선에 초점을 맞추고, 특히 고령자에게 필요한 서비스 요인을 일반인과 비교분석을 통하여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종속변수로 재난문자방송 서비스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사용하였고, 독립변수로 각각의 서비스 요인들을 선정하여 2개 그룹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고령자와 일반인 두 그룹 모두 재난문자방송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요인은 신속한 전달인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요인으로는 고령자의 경우 충분한 내용 전달로 나타났으며, 일반인의 경우 시스템 품질로 나타났다. 두 그룹 간의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고령자는 내용적인 측면을 좀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일반인은 시스템 품질, 송출기준 등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고령자들은 신속한 전달과 함께 충분한 내용 전달을 중요시하고 있는데, 이는 고령자가 일반인에 비해 이해력과 사고력이 떨어지게 된다는 점에서 고령자 특성을 고려한 재난문자 송출이 필요하다.

생활인구를 고려한 대피시설 접근성 분석: 서울 중구지역 지진 옥외 대피장소를 사례로 (Analyzing Accessibility of Emergency Shelters Based on Service Population: The Case of Outdoor Evacuation Places for Earthquake in Jung-gu, Seoul)

  • 김상균;신상영;남현정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51-62
    • /
    • 2022
  • 연구목적: 이 연구는 지진 옥외 대피장소를 대상으로 생활인구(유동인구)를 측면에서 공간적 접근성을 분석한 후, 접근성 취약지역에 추가 신규 대피장소를 확충할 경우의 모의분석을 하여 개선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GIS 네트워크분석 기반의 최적화 모형인 입지배분모형을 적용하여 접근성을 분석하고 취약지역을 식별하였다. 입지배분방법은 일정한 시간 내에 신속한 이동이 중요한 대피시설의 성격에 비추어 'Maximize Coverage(수요영역 최대화)' 방법을 적용하였고, 대피를 위한 한계 거리 및 시간기준은 보행속도를 고려하여 500m(7.5분), 1,000m(15분), 1,500m(22.5분)의 세 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사례분석 대상지역은 지진 발생 시 신속한 대피와 일시적인 체류를 위한 옥외 대피장소의 기능을 고려하여 거주인구에 비해 생활인구가 월등히 많고 대피장소로 활용할 수 있는 가용공간이 크게 부족한 고밀 도심지역으로서 서울 중구지역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거주 인구에 비해 생활인구 기준으로 볼 때 접근성이 취약한 집계구 수와 인구 수가 훨씬 많고 비율도 높았으며, 접근성 취약지역에 가용한 신규 대피장소를 확충할 경우의 모의분석에서 접근성이 크게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고밀 도심지역으로서 가용지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대상지역의 특성상 잠재적인 대피인구 전체의 접근성을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하였다. 결론: 유동인구로 인해 주·야간 인구 차이가 심한 서울 도심의 지역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생활인구 첨두시간대를 적용하여 실제 대피수요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입지배분모형을 이용하여 접근성이 불리한 취약지역을 식별하고 신규 대피장소 설치의 우선순위를 부여함으로써 과학적 근거 기반의 의사결정이 필요하다.

Effect of Earthquake Disruptions of Freight Transportation in A Megacity: Case Study for The Los Angeles Area

  • Abadi, Afshin;Ioannou, Petros;Moore, James E. II;Bardet, Jean-Pierre;Park, Jiyoung;Cho, Sungbi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1권1호
    • /
    • pp.110-147
    • /
    • 2022
  • Many megacities are exposed to natural hazards such as earthquakes, and when located in coastal regions, are also vulnerable to hurricanes and tsunamis. The physical infrastructures of transportation systems in megacities have become so complicated that very few organizations can understand their response to extreme events such as earthquakes and can effectively mitigate subsequent economic downfalls. The technological advances made in recent years to support these complex systems have not grown as fast as the rapid demand on these systems burdened by population shift toward megacitie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isks imposed on and recoveries of transportation systems in megacities as the result of extreme events such as an earthquake. First, the physical damage to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loss of the transportation system performance, and the corresponding economic loss from disruptions to passenger and freight traffic is evaluated. Then, traffic flows are re-routed to reduce vehicles' delay due to earthquakes using a microscopic traffic flow simulator with an optimization model and macroscopic terminal simulator. Finally, the economic impact of the earthquake is estimated nationwide. Southern California is regarded as the region of study. The results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grated model and provide what and how to prepare innovative resilience policies of urban infrastructure for a natural disaster occurrence.

백두산 분화 Worst-case로 인한 우리나라 초미세먼지(PM2.5) 영향분석 및 노출평가 (Analysis of PM2.5 Impact and Human Exposure from Worst-Case of Mt. Baekdu Volcanic Eruption)

  • 박재은;김혜림;선우영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5_4호
    • /
    • pp.1267-1276
    • /
    • 2020
  • 백두산 화산의 대규모 분화로 인한 우리나라 PM2.5 영향 및 피해범위를 정량적으로 예측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 직접 피해를 주는 worst-case 기상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3차원 대기화학모델링 시스템 WRF-SMOKE-CMAQ(Weather Research & Forecasting - Sparse Matrix Operation Kernel Emission - Comunity Multi-scale Air Quality)을 구동하였다. 과거 10년(2005~2014년)간 백두산 분화 worst-case 우선순위 중 우리나라에 가장 큰 직접 피해를 주는 대표 worst-case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대상 사례일(2012.5.16)에 VEI 4의 대규모 화산 분화를 가정하여 화산 분화로 인한 초미세먼지(PM2.5)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지역별(시군구) PM2.5의 영향을 예측하고 취약계층 등을 반영한 노출평가를 실시하여 취약지역을 도출하였다. 또한, 시군구의 영향을 보다 상세규모(9 km × 9 km)로 분석하여 시군구 지역 내 취약지역을 도출하였다. 백두산 분화 대표 worst-case(2012.5.16.) 분석결과, 국내 PM2.5 피크농도는 24,547 ㎍/㎥로 낙하 화산재(5억 4천만톤) 처리가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었던 미국 세인트헬렌스 화산 분화(1980년) 사례보다 더 극한 상황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PM2.5 고농도 지역의 분석결과, 파주, 김포, 고양, 강화, 산청, 하동에서 고농도가 나타났다. 반면, 인구 노출분석 결과 인구 밀집지역인 파주가 특히 취약지역으로 나타났고, 취약계층 노출분석 결과 또한, 취약계층 인구가 많은 파주, 남양주, 화성이 취약지역으로 나타났다. 시군구 지역을 상세규모로 분석함으로써 하동 북부 등 시군구 지역 내에서의 고농도 지역을 도출할 수 있었다. 화산재해 발생 시 대기오염물질의 고농도 지역도 중요하지만 인구 및 민감군, 취약계층 밀집지역 등을 고려한 대응 및 대책 마련이 필요하겠으며 시군구에 대한 일률적인 대책보다 시군구 지역 내 고농도 지역 등의 선별을 통한 취약 지역별 대책 마련이 필요하겠다. 본 연구는 화산재해의 재난선포 기준 개발 및 선제적 대응체계 개발의 초석 마련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사회적 평가 지표를 반영한 도시 홍수취약성 평가 (A Study on Urban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Considering Social Impact)

  • 이규민;최진원;전경수
    • 토지주택연구
    • /
    • 제11권1호
    • /
    • pp.109-116
    • /
    • 2020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n approach to assess urban flood vulnerability by identifying soci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road transportation and the vulnerable groups. Assessment procedures comprise three steps as: (1) composing the assessment criteria to reflect the urban characteristics; (2) calculating the weight; and (3) evaluating the vulnerability. The criteria were adopted by Delphi survey technique. Four criteria as land cover, residents, vulnerable areas, and disaster response were adopted in the current study. To determine the weight set of criteria, subjective and objective methods were combined. The weight set was determined using the combined method which reflects the Delphi method and Entropy analysis. In the process of data-based construction, GIS tools wwere used to extract administrative unit materials such as land cover, road status, and slope. Data on population and other social criteria were collected through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the Seoul Metropolitan statistical data. TOPSIS (Technique for Order of Preference by Similarity to Ideal Solution) technique, which uses materials from cell units in order to rank the closest distance to the best case and the farthest distance from the worst case by calculating the distances to the area of assessment, was applied to assess. The study area was the Dorimcheon basin, a flood special treatment area of Seoul city. The results from the current study indicates that the established urban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approach is able to predict the inherent vulnerable factors in urban regions and to propose the area of priority control.

Children's Mental Health in the Area Affected by the Hebei Spirit Oil Spill Accident

  • Ha, Mina;Jeong, Woo-Chul;Lim, Myungho;Kwon, Hojang;Choi, Yeyong;Yoo, Seung-Jin;Noh, Su Ryun;Cheong, Hae-Kwan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8권
    • /
    • pp.10.1-10.4
    • /
    • 2013
  • Objectives Children are one of the most vulnerable populations to the impact of disasters. We aimed to examine children's mental health in the area affected by the Hebei Spirit oil spill accident on December 7, 2007. Methods A cross-sectional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Korean versions of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and State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on 1,362 children attending elementary schools in the affected area. The information on distances between the nearest contaminated coastline to the child's residential house or attending school were obtained using a web-based map by inputting two address points. The symptom risks of depression and state anxiety were estimated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adjusted for age, gender, and other covariates. Results Children with the closest distance (in the fourth quartile) to the school from the contaminated coastline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ymptom risk of depression compared to those with the farthest distance (first quartile)(odds ratio, 2.73; 95% confidence interval, 1.40-5.33),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nxiety symptoms and distance. Conclusions Children, a vulnerable population for mental health impact by the oil spill accident, should be included in mental health programs in the community along with their family as victims of the disaster.

쇠퇴지역 재난·재해 종합진단지수 개발과 지역간 위험성 비교·분석 - 서울시 사례 - (Development of A Comprehensive Diagnosis Index for Disasters in Declining Areas and Comparison of Risks between Regions: A case of Seoul)

  • 임효진;안민수;이창효;이상민;이재수
    • 지역연구
    • /
    • 제37권4호
    • /
    • pp.33-47
    • /
    • 2021
  • 도시 쇠퇴지역은 인구가 감소하고, 건축물과 시설물 등 건조환경은 노후화되고 있다. 따라서 재난·재해 발생 시 취약하며, 복구에도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쇠퇴지역의 재난·재해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기 위한 평가기법을 개발하고 사례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재난·재해 종합진단지수를 산출하기 위한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AHP 분석으로 유형, 구성요소, 평가지표를 포함한 계층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산정된 가중치로 유형별 종합진단지수를 산출하고, 도시쇠퇴 수준에 따른 위험성을 분석하였다. 서울시를 사례지역으로 분석한 결과 서초구, 동작구, 금천구, 강서구 등 남부지역에서 재난·재해 종합 위험도가 높고, 서울시 도심지와 북부지역 그리고 공원 및 녹지지역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을 포함해 재난·재해 유형별 종합진단지수 평가체계와 기법을 제시한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GIS를 이용한 도시홍수에 대한 지역안전도 평가 (Regional Safety Assesment Due to Urban Flood Using GIS)

  • 여창건;서근순;송재우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68-77
    • /
    • 2011
  • 인구와 시설이 밀집되어 있는 도시지역은 대규모 재해가 발생하는 경우 엄청난 대규모의 피해가 발생 할 수 있으므로 재난에 대한 사후처리뿐 아니라 위험지역을 사전에 파악하고 위험을 저감하기 위한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지역안전도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나라별, 도시별 특성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도시지역 특성을 반영한 표준화된 평가기법 및 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지역안전도 평가 모형은 위험 항목별 요인들을 조합한 위험도에 저감성을 고려한 것으로 홍수 위험에 미치는 3가지 요인과 저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2가지 요인들을 선정하고, 이들을 대표할 수 있는 12개 인자를 선정한 후 GIS를 이용하여 인자별 평가결과의 가중 합을 통한 중첩으로 지역안전도평가 모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을 이용하여 서울시에 대하여 모형의 시범적용을 수행하였다.

GIS 기반 공간예측모델 비교를 통한 인도네시아 자바지역 산사태 취약지도 제작 (Landslide Susceptibility Mapping by Comparing GIS-based Spatial Models in the Java, Indonesia)

  • 김미경;김상필;노현주;손홍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5호
    • /
    • pp.927-940
    • /
    • 2017
  • 산사태는 인도네시아에서 오랫동안 피해가 많은 재해로 최근 기후변화와 산지 주위의 무분별한 도시 개발로 인해 위험이 가중되고 있다. 인도네시아 자바지역은 매년 산사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인도네시아 인구 절반 이상이 거주하고 있어 그 피해가 크다. 하지만 이러한 위험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산사태 위험지역에 매년 거주하는 주민이 증가하고 있어 산사태 위험지역 및 취약지 분석에 대한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자바지역을 대상으로 GIS 기반 공간예측모델을 이용하여 산사태 취약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연구지역의 산사태 발생 위치, 지형, 수문, 토양, 토지피복 등의 지형공간정보 자료를 구축하였고, 공간예측모델로는 Weight of Evidence (WoE), 의사결정트리 알고리즘, 인공신경망을 선정하여 산사태 취약지도를 제작하였다. 세 가지 모델은 각각 66.95%, 67.04%, 69.67%의 예측정확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인도네시아 산사태 피해 예방 및 산사태 관련 재난관리정책에 중요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