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sites

검색결과 365건 처리시간 0.029초

소규모 건설현장의 재해저감을 위한 정부지원 사업 분석 및 개선요구사항 도출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of Government Support Project for Reducing Disaster in Small Construction Site.)

  • 백낙규;이미현;임형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16-117
    • /
    • 2018
  • The government and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have continuously carried out safety activities such as supervision, inspection, technical guidance and financial support in order to reduce safety accidents at the construction site. However, the number of disasters at construction sites is increasing every year. So analyze the results of the supervision and inspection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e projects related to the small-scale construction work of the Safety and Health Corporation, and the technical guidance project of the disaster prevention technology guidance organization.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n improvement plan for the disaster reduction of the small-scale construction work site for this project.

  • PDF

재난관리서비스에 대한 수요자의 반응분석: 근거이론적 접근 (Analyzing the Disaster Management Service in the Perspective of Disaster Victims as a Demander: An Approach Based on Grounded Theory)

  • 유현정;이재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265-276
    • /
    • 2009
  • 재난 현장에는 많은 재난관리 활동가들이 참여하며, 각자의 위치에서 최선의 결과를 위해 노력한다. 이들은 재난현장을 복구하고, 앞으로 같은 재난이 반복되지 않도록 예방하며, 재난으로부터 피해를 입은 이재민들을 치유하고 보호하기 위해 활동한다. 이러한 다양한 역할과 노력의 궁극적인 목적은 재난의 중심에 있는 이재민들이 재난 발생 이전의 정상적인 삶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도록 물적 인적 지원을 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재난관리서비스는 다분히 공급자 중심의 관점에서 제공되었으며, 때문에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재민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이해하지 못하고 이재민의 요구를 반영하는데 실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근거이론적 접근을 통해 현 재난관리서비스의 문제점을 이재민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재민들이 희망하는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184개의 개념 덴 28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는데 "재난을 부르는 복구"와 "재난 현장의 고통"이 중심범주로 나타났다.

국내 재난현장 응급의료시설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A Management Strategy for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in Domestic Disaster Sites)

  • 서상욱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17-25
    • /
    • 2019
  • Purpose: Despite the fact that the needs for disaster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to minimize casualties are increasing, research for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is insufficient compared to research for DMAT investment. A management strategy for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in disaster site needs to be proposed. Methods: Recently there was introduction of mobile hospital system using unit modular method, but it was found out to be used only in disaster emergency training.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in disaster site require various tasks. Examination for our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consultations with emergency medical and mobile hospital expert because there is no practical use case to apply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in Korea. Result: In this research we proposed a management strategy to manage and operate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composed of tent, unit module and container in the aspects of management efficiency. Implications: It is highly expected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fast and accurate disaster emergency medical facilities deployment by applying the results of our research to Emergency response manual of disaster emergency medical service.

Effect of Stormwater Runoff on Combined Sewer Overflows in Korea

  • Kim, Lee-Hyung;Kim, Il-Kyu;Lee, Young-Sin;Lim, Kyeong-Ho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107-113
    • /
    • 2007
  • The Kuem-River, one of the largest rivers in Korea, is the primary water source for more than 4 million people in Kongju city and surrounding area. To study the effect of stormwater runoff to CSOs, twelve monitoring sites were selected in two large cities (City of Kongju and City of Buyeo) near the Kuem-River. Monitoring was reformed by collecting grab samples, measuring flow rates during dry and wet seasons during over two rainy seasons. Generally the flow rate of wastewater in combined sewers was rapidly decreased after 23:00 P.M. and gradually increased from 06:30 A.M. in all sites during the dry season. The concentrations of pollutant increase approximately 5 to 7 fold for TSS and 1.5 to 2.5 fold for BOD during the rainy season. Monitoring and statistical analysis show that the groundwater contributes on sewage volume increase (average 25-45% more) during dry periods and the stormwater runoff contributes approximately 51-72% increase during rainy periods. Generally the concentrations of combined sewage were more polluted during the first flush period than after the first flush during a storm event.

재난재해 현장의 지형인지를 위한 통합 센서 모듈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Sensor Module for Terrain Recognition at Disaster Sites)

  • 서명국;윤복중;신희영;이경준
    • 드라이브 ㆍ 컨트롤
    • /
    • 제17권3호
    • /
    • pp.9-14
    • /
    • 2020
  • A special purpose machine with two manipulators and quadruped crawler system is being developed to work at disaster sites where it is intended to quickly respond in the initial stages after the event. In this study, a terrain recognition module is developed so that the above special purpose machine can quickly obtain ground information to help choose its path while recognizing objects in its way, this is intended to enhance the remote driver's limited situational awareness. Terrain recognition modules were developed for two tasks (real-time path guidance, precision terrain measurements). The real-time path guidance analyzes terrain and obstacles while moving, while the precision terrain measurement feature provides more accurate terrain information by precisely measuring the ground in front of the vehicle while stationary. In this study, an air-cooled sensor protection module was developed so that the terrain recognition module can continue its vital tasks in the event of exposure to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scattered dust, mist and rainfall, as well as high temperatures.

건설현장 달비계 추락재해 예방을 위한 사례분석 연구 (Analysing Disaster Cases on Construction Sites to Prevent Falling Disaster of Hanging Scaffolding)

  • 임형철;이동헌;정성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66-73
    • /
    • 2019
  • 정부와 안전보건공단의 재해 절감을 위한 다양한 노력덕분에 산업과 건설업 전반에 걸쳐 재해 사고는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건설업에서의 추락재해는 감소하지 않고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특히, 달비계에 의한 추락재해는 매년 발생빈도는 낮지만 발생 시 작업자의 사망과 직결한다는 측면에서 재해강도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국내 건설업에서의 달비계 작업환경은 매우 열악하다. 특히 소규모 건설현장에서의 달비계 작업자들은 안전에 대한 감독과 관리를 받을 수 있는 주체가 없다. 달비계 작업자들은 자신들이 직접 제작한 성능이 확인되지 않은 달비계를 가지고 불안전한 작업환경에 내몰리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5년간 달비계에서 기인한 242건의 사고사례들을 분석하여 추락재해 발생 주요 원인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주요내용은 불안전한 행동에 의한 재해발생률이 높아서 작업대 안착 시, 안전난간을 넘어가는 과정, 몸의 불균형 등에서 사고가 많으며 설비개선 및 작업방법개선으로 해결이 요구된다. 또한, KOSHA Guide에서 제시하는 작업순서 상의 문제점으로 발생되는 재해는 없었으며, 다만 작업 순서를 따르지 않아 안전대를 안전대 걸이용 로프에 미설치 및 미부착에 의한 사망으로 이르는 재해가 다수 발생된 것으로 파악되어 작업방법의 개선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수직구명줄 및 안전대의 설치 및 착용이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 도출되었다.

건설근로자의 피로도와 스트레스 및 재해위험의 구조적 관계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Fatigue and Stress of Construction Workers and Disaster Risks)

  • 양용구;김병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5-44
    • /
    • 2014
  •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how much effect levels of fatigue and stress of a construction worker have on disaster risks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factors concerning construction disaster risk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respect to construction workers working at large construction sites within the metropolitan area. The retrieved survey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tatistical software programs, SPSS 18.0 and AMOS 8.0. The results of this study do not definitively lead to the conclusion that the level of fatigue or stress of construction workers result in disaster risks. However, it does show that the results vary depending upon the individual approach and treatment of stress and fatigue. In particular, this study revealed that disaster risk levels could increase through unsafe behavior intentions which were established as a mediator variable. Also, with respect to unsafe behavior intentions of construction workers leading to disaster risks, when examining the results that the level of mental fatigue, occupational stress and social-psychological stress of construction workers had a greater significant effect than the level of physical fatigue, this study demonstrates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and mental issues that could be easily overlooked with respect manual labor workers.

RFM 모형을 활용한 지역별 재해 위험도 분석 방법론 제안 (Proposal Methodology for Disaster Risk Analysis by Region Using RFM Model)

  • 김태진;김성수;전다희;박상현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493-504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재해위험지역을 개선하는 재해예방사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예방사업의 우선순위를 선정하기 위한 분석 방법론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최근성(Recency), 빈도성(Frequency), 화폐성(Monetary)을 기준으로 데이터의 등급을 나누고 타겟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는 RFM 모형을 활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RFM 값이 높은 상위 10% 지역이 동해와 남해 연안을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피해 유형을 살펴보면 사유시설의 피해 건수가 크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RFM 모형을 활용하여 재해위험의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GIS를 활용한 지역재해위험도를 구현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재해예방사업의 우선 사업대상지를 선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와 재해예방사업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건설사업장 산업재해 피해 저감을 위한 비상사태 대응방안 (Emergency Response Strategy for Mitigating Industrial Disasters on Construction Site)

  • 신일용;송창근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85-93
    • /
    • 2015
  • Construction sites have various risks, and safety managements are enforced based on the law such as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etc. Safety management by the law saves lives and preserves health of workers by removing and understanding risks in advance. When the emergency situation has come, poor response causes loss of lives and physical damages. This study suggests basic strategy that can mitigate the industrial disaster in all construction sites. A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urrent safety consciousness and to evaluate first aid ability of coworkers. Finally, four measures were suggested: (1) designating muster points; (2) hiring occupational health managers; (3) increasing the first aid ability of coworkers; and (4) carrying safety brochure. The proposed suggestions can be helpful in mitigating the construction disaster, and in responding the major accident efficiently within a short time.

직렬연결이 가능한 소형 바퀴 로봇 모듈의 개발 (Development of Series Connectable Wheeled Robot Module)

  • 김나빈;김예지;김지민;황윤미;봉재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941-948
    • /
    • 2022
  • 인간의 접근이 어려운 재난 현장에 투입되는 재난 대응 로봇은 재난의 확산 방지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해 현장탐색, 인명구조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재난 현장에는 다양한 장애물이 산재한 험지, 통신 장애, 비가시적인 환경 등 복합적인 요인으로 인해 로봇 운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직렬연결이 가능한 바퀴 로봇 모듈을 개발하였다. 바퀴 로봇 모듈은 직접 구동이 가능한 로봇 모듈과 수동으로 구동되는 로봇 모듈 두 가지로 개발하였다. 두 개의 직접 구동이 가능한 로봇 모듈과 하나의 수동으로 구동되는 로봇 모듈을 직렬연결하여 하나의 바퀴 로봇을 구성하였다. 로봇 모듈은 1 자유도 회전 관절로 연결되어 바퀴 로봇은 수직 방향으로의 장애물 회피가 가능하다. 바퀴 로봇은 압력 센서만을 이용해 주행과 장애물 극복을 수행하도록 제어하여 비가시적 환경에서 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바퀴 로봇의 성능 평가를 위해 두 개의 직접 구동이 가능한 바퀴 로봇 모듈과 한 개의 수동으로 구동되는 바퀴 로봇 모듈을 연결하여 장애물 극복 실험을 수행하였다. 바퀴 로봇은 압력 센서만을 사용해 최대 높이 80 mm의 계단형 장애물을 24.5초의 시간 동안 성공적으로 극복하여 비가시적인 상황에서 주행 및 장애물 극복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