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safety

검색결과 2,769건 처리시간 0.028초

국가자격도입과 산업안전 재해예방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 임성일;박재현;양광모;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2년 춘계학술대회
    • /
    • pp.205-220
    • /
    • 2012
  •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Korea after the Korean-war has evolved until these days. But the construction industry accident severity rate and frequency is over then the All industry rate. This study analyzed the 'Disaster Statistical Yearbook' of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based on the factors that affect construction accidents that is selected and fined the some factors the construction Disaster Prevention Factors. This study will develop the methodology for analyzes that the national qualification is effected to the construction industrial machine disaster prevention status. It suggest two ways to the establishment of disaster trends. First way is the disaster quantitative analysis and second way is comparing the statistical data and the analysis of expert opinion.

  • PDF

유비쿼터스 기술 기반의 재난관리시스템 "u-safe Korea" 개발 구상 (A study on the Construction for the u-safe Korea System)

  • 이원호;김현주;박상현;정태호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8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131-134
    • /
    • 2008
  • Increasing the need of national safety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an epoch-making improvement to scientific disaster management which appears new types of disasters through the exchange of traditional disaster environment and responds actively to the rapid exchange of social environment based on u-IT. Requiring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al information sharing networking system and sharing realtime data amongst government, local authorities and related organisations under both safety management in normal times and circumstance management in disaster times, and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safety strategy, which has been strengthened function such as prevention and preparation. This research provides a basic scheme and strategic tasks in order to constitute preventing scientific national disaster prevention structure at anytime and anywhere from disaster which is based on ubiquitous technology and realise the intelligent national disaster prevention system of u-safe Korea.

  • PDF

중소건설업체의 떨어짐 재해 예방방법 (A Method for Preventing Falling Accident in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ies)

  • 김은정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25-32
    • /
    • 2018
  • According to the data released by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construction workers suffering from falling disaster have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for the last five years, and in fact, small and medium construction companies' falling disaster forms over 97% of all every year. This means that to reduce falling disaster significantly, it is needed to get rid of disaster taking place in small and medium construction companies. He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various causes of falling disaster in small and medium construction companies, examine how those factors are correlated with one another, and suggest how to manage the risk of falling disaster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s, main factors influencing falling disaster in small and medium construction companies are found as follows: Situational Awareness/Risk Perception, Fatigue/Alertness, Communications, Equipment/Facilities, and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PPE) in the Direct Level, Management/Supervision, Education/Training, and Planning in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Management's Commitment to Safety in the Policy Level.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 비구조적 대책의 안전취약계층도 작성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Creating a Safety Vulnerable Class Distribution Diagram for Non-Structural Countermeasures in the Comprehensive Natural Disaster Reduction Plan)

  • 김두희;송인재;김병식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11
    • /
    • 2023
  • 방재분야의 최상위 계획인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은 지방자치단체별 시행하여 현재 2차계획이 수립중이며, 인명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 하고자 9개 재해유형별 구조적 대책과 비구조적 대책을 수립하여 10년간 시행하는 계획이다. 구조적대책은 공학적근거와 정략적 분석기법으로 저감대책의 판단기준이 명확한 반면, 비구조적 대책의 판단기준은 미비된 실정이며,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서는 2018년 안전취약계층을 포함하였고,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 세부수립기준의 안전취약계층은 어린이, 노인, 장애인을 포함하여 수립 중이나 지자체의 자료확보 및 DB구축의 미비등 저감대책 수립을 위한 위치도 작성에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안전취약계층의 오픈API 자료를 수집하여 통계지리정보서비스의 통계정보와 GIS를 활용하여 시범지역인 강원도 삼척시의 안전취약계층의 위치도를 작성하였고, 삼척시 근덕면의 집계구 단위 위치도를 작성하였다.

재단관리표준을 위한 국가재난 및 안전관리 국가통계분석 및 통합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the National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Statistics and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System for Disaster Management Standardization in Korea)

  • 박덕근;오정림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55-61
    • /
    • 2009
  • 재난 및 안전관리 통계는 소방방재청과 부처 간 통계중복 및 연계성 부족으로 정책수립시 어려움이 초래되고 있으며, 통계인프라가 빈약하여 과학적 재난관리를 위한 통계관리 및 개발노력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재난 및 안전관리 통계 분류체계를 통합하고 표준화하기 위한 통계체제 정립 안을 도출하고 통계지표의 개선 및 신규지표를 개발하며, 재난 및 안전관리 통계 통합 구축방안 마련에 있다. 또한 유관기관 재난 및 안전관리 통계 활용을 위한 법 제도 정비, 방재센서스 실시방안, 통계 인프라 확충방안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재난 및 안전관리 통계정비를 통한 과학적 재난관리 정책수립의 환경을 조성하고 부처별, 재난 유형별 분산관리에서 통합형 통계관리로의 개선 및 공동 활용을 기대할 수 있으며, 재난유형별 국제비교가 가능한 통계기반 마련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영유아 교육·보육 통합시설의 필요 공간과 면적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cessary Spaces and Area Standards of Integration Facili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 조진일;최형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7권2호
    • /
    • pp.22-37
    • /
    • 2018
  • 본 연구는 '유치원 어린이집 간 격차 완화'를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교육시설 질 균등화'를 위해 우선적으로 영유아 교육 보육 통합시설이 갖추어야 할 필요공간과 면적기준(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첫째, 영유아 교육 보육 통합시설에 필요한 공간의 종류를 표15와 같이 반드시 필요한 필수공간과 교육 보육 활동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추가되면 좋을 권장공간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둘째, 영유아 교육 보육 통합시설의 필요 공간별 면적기준(안)을 표23과 같이 제시하였다. 아울러 영유아 교육 보육 통합시설에 필요한 영유아 1인당 대지면적과 연면적, 연면적 대비 공용면적의 비율을 각각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재난안전 교육내용 비교 분석 :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Comparative Analysis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tents of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 Focusing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성미영;김신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92-100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나타난 재난안전 교육내용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2019 개정 누리과정(유치원)과 2015 개정 교육과정(초 중 고)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 대상 재난안전 교육내용은 신체운동 건강영역의 '안전하게 생활하기' 내용범주에 '재난'이라는 용어가 명시되어 있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학생 대상 안전교육내용은 초등1~2학년과 3~6학년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1~2학년은 창의적 체험활동의 '안전한 생활' 대분류 영역 중 하나인 '재난안전'영역에 재난안전 교육내용이 명확하게 제시된 반면, 초등3~6학년은 체육, 과학, 실과 등의 관련 교과목이나 창의적 체험활동에 안전교육내용이 분산되어 있었다.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고등학생 대상 안전교육내용 역시 사회, 체육, 과학, 기술 가정 등 관련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에 분산되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나타난 재난안전 교육내용이 유치원부터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연속성과 체계성을 갖추지 못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향후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정 시 재난안전 교육내용의 연속성과 체계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Review of K-12 Metaverse Safety Education in Korea :Ministry of Education Official Program

  • Deok-Jin Jang;Hong-Sang Lee;Ha-Sung K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1권2호
    • /
    • pp.44-48
    • /
    • 2023
  • To enhance safety in dangerous situations, it is essential to provide practice-oriented safety education. However, direct experiences can be limited, and thus, metaverse-based safety education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first official metaverse safety education program of the Korea Ministry of Education, mainly focusing on its title, objectives, content, and results using the Revised PRISMA framework. The program concentrates on "life safety" for "fire safety," "disaster safety" for "earthquake safety," and "first aid" for "abrasions, burns, fractures,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the use of AED." We classified the objectives of the entire program and its three sub-programs, and identified the knowledge, main practice tasks, and their resul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mote an understanding of the main cases of national-led metaverse safety education and infer the practical safety education contents emphasized to Korean school-age students.

학교 시설물의 재난유형 분석 및 현물보상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Disaster Type for School Facilities and the Application Propriety of In-kind Compensation)

  • 이병호;오태근;조성우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177-185
    • /
    • 2018
  • The school space is a place for learning activities and community activities, and it is used as a shelter for various disasters. Recently, the frequency and magnitude of damages of school facilities due to various disasters are increasing, and similar accidents occur repeatedly every year, causing enormous damage to school classes. Furthermore, damage to school facilities will require considerable time and safety confirmation measures to restore disaster and normalize the class. In this regards, based on the questionnaire survey on the difficultie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disaster recovery work of the school safety manager, we propose the application of in-kind compensation for damage to school facilities to ensure rapid disaster recovery, simplification of administrative procedures, and quality of restoration work.

건설안전 분야 평가항목에 대한 연구 -국내 건설공사현장을 중심으로- (Research on construction safety assessment topic areas -Focusing on domestic construction site-)

  • 안광용;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12
    • /
    • 2015
  • Recent construction site large disaster occurs in, even normal disaster not be reduced, the efforts of pre-disaster prevention for this is also a need to study the evaluation index. By comprehensive examination zero reform the current lowest bid system has included the social responsibility index is scheduled, objective and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making construction safety areas that are included in the item of social responsibility is required ing. In this study, the construction, in order to prevent disasters, efforts pre disaster prevention be presented metrics in the construction safety in the field of comprehensive examination system and the evaluation index, it is intended to examine the evaluation items for the evaluation ind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