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safety

검색결과 2,761건 처리시간 0.032초

사회재난의 재난위해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isk Analysis of Social Disaster)

  • 이관형;이원호;양원직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5-21
    • /
    • 2016
  • 국민안전처에서 발행하는 재난연감에 의하면 교통사고 화재 붕괴등 사회재난을 23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과거 재난은 주로 태풍 가뭄등 자연의 영향으로 발생한 반면 사회가 도시 중심으로 집중됨에 따라 사회재난의 종류와 빈도, 규모는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재난이 가지고 있는 위해성이 어느 정도인지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기준과 평가방법이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요 사회재난 중 교통사고, 화재사고, 붕괴사고를 대상으로 최근 8년간 발생한 빈도, 인명피해규모, 재산피해규모에 관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3차원 공간좌표상의 두 점간의 거리(유클리드거리)로써 재난위해지수를 산정하여 사회재난의 유형별 정량적인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 결과를 활용하여 주요 사회재난 유형별 위해성 순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어 국가 재난관리체계 구축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FM 모형을 활용한 지역별 재해 위험도 분석 방법론 제안 (Proposal Methodology for Disaster Risk Analysis by Region Using RFM Model)

  • 김태진;김성수;전다희;박상현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493-504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재해위험지역을 개선하는 재해예방사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예방사업의 우선순위를 선정하기 위한 분석 방법론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최근성(Recency), 빈도성(Frequency), 화폐성(Monetary)을 기준으로 데이터의 등급을 나누고 타겟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는 RFM 모형을 활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RFM 값이 높은 상위 10% 지역이 동해와 남해 연안을 중심으로 나타났으며, 피해 유형을 살펴보면 사유시설의 피해 건수가 크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RFM 모형을 활용하여 재해위험의 우선순위를 선정하고 GIS를 활용한 지역재해위험도를 구현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재해예방사업의 우선 사업대상지를 선정할 수 있는 기초자료와 재해예방사업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산업현장 사다리 관련 사망재해 분석 및 추락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ath Accident Analysis of Ladder and Prevention Measures for Fall Accidents)

  • 심현황;강경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95-104
    • /
    • 2017
  • Among the industrial disasters caused by drop, ladder related drop disasters are occurred the mostly. The victims are occurred continuously. This study analyzed current situation of industrial disasters for recent 10 years(2005~2014) and compared analyzed statistics of death disasters of ladder by workplace scale, age, occupation, employment type, working content, scarred area, etc. in detail. This study suggested direction of safety standard modification for ladder that is an original cause material of many drops, direction of safety training strengthening of small-scaled workplace, and safety model based on disaster statistics and should contribute to reduction of disaster rate for ladder working.

LOD기반의 재난안전 정보서비스 확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tension of Disaster Safety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Linked Open Data)

  • 김태영;강주연;김혜영;김용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63-188
    • /
    • 2017
  • 본 연구는 재난안전정보의 효율적인 관리와 제공을 위해 LOD기반의 재난안전정보 서비스 모형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조사 및 오프라인 인터뷰를 수행하여 재난안전정보 제공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재난안전정보를 6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재난안전정보 영역과 함께 도출된 재난안전정보 LOD 구축 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재난안전정보 LOD의 구축 과정을 상세하게 제시하였다. LOD 구축 과정은 한국정보화진흥원에서 발간한 링크드 데이터 구축 공정 가이드를 적용하였다. 특히, 재난안전정보 6가지 영역을 토대로 표준용어집 및 모델링 도구를 활용하여 온톨로지 개념 모델을 정의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클래스와 속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재난안전정보의 활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소셜미디어를 통해 본 재난안전 분야 어휘 사용 양상 분석 (A Study on the Analysis of Disaster Safety Lexicon Patterns in Social Media)

  • 김태영;이정은;오효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85-93
    • /
    • 2017
  • 재난안전 분야 어휘의 표준화는 성공적인 재난안전사고 예방 및 대응을 위해 가장 기본적인 과정으로서 중요하다. 재난안전 분야의 어휘에 대한 이해 부족은 커뮤니케이션 및 정보공유의 부재로 이어지며, 이는 재난사고 발생 시 적절한 대응을 위한 의사소통에 문제가 될 수 있다. 현재 재난안전 유관기관별로 다양한 재난안전정보가 생산 및 관리되고 있으며, 정보공유를 위해 각 기관에서는 개별적으로 용어사전을 개발하여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용자에 따른 재난안전 분야의 어휘 사용 양상의 차이를 실제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표준화를 위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재난안전 분야의 어휘 사용 양상을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그 차이를 규명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재난안전 분야에서 일반 이용자가 사용하는 어휘와 기존 재난안전 유관기관에서 활용하고 있는 어휘자원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후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재난안전 분야 표준화 방안을 제안함으로써 용어사전 구축 방향성을 수립하였다.

커뮤니티맵핑 어플리케이션 개발과 활용이 초·중생의 안전의식 고취에 끼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mmunity Mapping Applicatio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n the Safety Consciousnes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 권진석;이효정;신은혜;박소순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323-338
    • /
    • 2019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커뮤니티맵핑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초 중생 안전역량 제고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커뮤니티맵핑 어플리케이션을 개발, 활용하여 초 중생 약 425명이 참여한 후 설문조사를 통해 안전역량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커뮤니티맵핑 활동을 통해 초 중생의 실제 생활주변 위험요소를 도출할 수 있었고 활동 전 후 설문조사를 통해 참가자의 안전역량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참여형 맵핑 툴과 유사한 기능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편의성, 접근성, 확장성이 있는 커뮤니티맵핑 어플리케이션의 개발을 통해 어린이 안전교육의 하나의 콘텐츠로 활용하여 등록된 정보를 활용하고 초 중생의 안전역량 제고를 기대한다.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시 군(軍)의 '워-게임(War-Game)' 과정을 적용한 효과적인 '토론기반훈련' 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ective Discussion Based Training Applying to Army War-game Process in 『Disaster Response Safety Korea Training』)

  • 윤우섭;서정천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347-357
    • /
    • 2019
  • 연구목적: 재난대응안전한국훈련시 토론기반훈련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위한 방법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이를위해 선진국의 재난대응훈련을 분석하고, 현재 우리 군에서 작전계획 수립시 적용하고 있는 워-게임(War-Game) 과정을 적용하여 훈련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연구결과: 한가지 형태의 재난 상황에서 수개의 우발상황을 염출할 수 있었고, 매뉴얼에 대한 보완소요를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연구결론: 따라서, 결론적으로 군의 워-게임(War-Game) 과정을 재난대응안전한국훈련시 토론기반훈련에 적용한다면 효과적인 훈련이 진행될 수 있다.

대형공연 시 재난관리시스템의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 at a Large-scale Concert)

  • 민세홍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17-24
    • /
    • 2013
  • On this study, we extracted pending problem and controversial point from management of disaster such as terror for domestic massive performance and then, investigated countermeasure plan against disaster for massive performance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between anti-disaster strategy of Korea and U.S. U.S are conducting security system actively for passenger of major facilities such as public institution. Nonetheless, In U.S that has the world's best security system, serious affair such as 911 terror and Boston marathon terror are continued to happen. When considering domestic situation that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re antagonistic to each other, it is judged when it is high time to prepare for threat of terrorism. Accordingly, On this study, through analyzing of latest terror attacks in U.S and disaster risk in the nation, we analyzed in detail countermeasure plan classified as legislation, operation of security system, instilling a sense. As the result of this analyzing, using by flow-chart, we suggested domestic optimized disaster management system for massive performance. Consequently, we propose to establish systematized disaster management system such as preliminary survey of disaster influence for massive performance.

대형 재난의 효율적 대응을 위한 소방조직 중심의 재난대응체계 개편 방안 (Reorganization of Disaster Management Systems for Effective Emergency and Disaster Response: The Pivotal Role of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MA))

  • 문기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8
    • /
    • 2017
  • The current study aims to propose a reorganization plan for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system to improve the current organizational structure for responding to national disasters and emergency situations. As a theoretical framework, the current study identified four key elements of successful disaster response systems: responsiveness, controllability, expertise, and devotedness. On the basis of the four key elements of disaster response systems, this study critically reviewed the current state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of the Korean nati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by discussing the issues inherent in the current structure and by do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wo high-profile national disaster cases-the Sewol ferry disaster in 2014 and the Gwangsan Rescue of buried people in 2013. Then, this study proposed the reorganization plan for the national disaster response system in which the NEMA is under direct control of the Prime Minister of Korea. It coordinates and controls the related government departments, such as the police, maritime police, and military during the national disaster and emergency situation. This study also proposed a reorganizational plan for the regional disaster response system in Korea. Finally, it was suggested that the status of firefighters should be elevated to the national public servant level in order to achieve organizational efficiency and solve existing problems that come from the current separated systems.

설문을 활용한 지역사회 홍수 대비능력 진단 (Diagnosis of Flood Preparedness in Community Using Questionnaires)

  • 문승록;양승만;최선화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82-88
    • /
    • 2014
  • Recently, the concepts of community adaptation and ability to restore have been emphasized in order to evaluate disaster vulnerability and risk exposure level.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disaster management that voluntarily takes measures prior to disaster situations has been introduced based on participatory disaster management that the community should take responsibility for one's own safety. This study diagnosed the community response capability on four model areas such as Goseong-gun and Gimhae-si, Gyeongsangnam-do and Gimcheon-si and Bonghwa-gun, Gyeongsangbuk-do and represented the Community Preparedness Indicator(CPI) for each region as a res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