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response

검색결과 1,103건 처리시간 0.026초

FDR 센서를 활용한 제체 누수특성의 실내 모형 실험 연구 (Physical Model Experiment on the Seepage Characteristics through a Dam by using FDR Sensor)

  • 김규범;임은상;류호철;황찬익;김형종
    • 지질공학
    • /
    • 제28권4호
    • /
    • pp.715-726
    • /
    • 2018
  • 제체의 누수를 탐지하는 방법으로서 물리탐사, 온도 계측, 광섬유 등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FDR 센서의 유전율상수를 이용한 누수 탐지의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취약부와 미취약부로 구성된 물리모형을 제작하였으며 유전율상수, 온도 및 간극수압 센서를 설치하였다. 누수가 형성됨에 따라 유전율상수는 미취약부보다 취약부에서 빠르게 변화되었다. 또한, 취약부에서 간극수압, 온도 및 유전율 상수를 비교하면 유전율 상수의 반응이 가장 빠르고 하류 계측 지점에서도 쉽게 인지되는 특성을 보였다. 이와 같은 특성을 고려할 때, 제체 하류 구간에서 분포형으로 유전율을 측정한다면 누수 탐지에 빠르고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되었다.

단독주택단지의 빗물이용시설 적정 규모 설정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Size of Rainwater Utilization in Detached Residential Complex)

  • 백종석;김형산;신현석;김재문;박경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69-677
    • /
    • 2018
  • Torrential rain and drought are repeat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unpredictable fluctuating of rainfall patterns. It is time for stabilize water resource management in terms of disaster prevention. Distributed control from sources is needed to minimize damages caused by torrential rains and droughts. Rain barrel can be used to reduce the runoff as they collect and store rainwater. In response to this situation,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other local governments implemented a project to support the installation of rain barrel and provided 90% of the cost of installing it in private areas. However, with limited budget, it is difficult to distribute rainwater to the city which is mostly covered by private areas. In this study, Samho-dong, Ulsan, where pilot projects of water cycle leading city are underway, analyzed the effects of reducing the runoff with respect to the amount of rainwater that can be used, and analyzed the economics of recoverable investment cost when installed. From the analysis, it was established that it is possible to show sufficient efficiency with a small capacity without the need to install large rain barrel effectively in the private sector, and to support the installation cost of less than 70 percent of the rainwater can be recovered.

평가 기반 지진 정보 표출 및 확산을 위한 원스톱 모바일 지원 확산 시스템 (An One-stop mobile support system for the expression and spread of earthquake information based on evaluation)

  • 이윤래;이윤경;장연이;김현아;박민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43-50
    • /
    • 2021
  • 최근 포항시를 비롯한 일부 지역의 지진 발생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대한민국 내에서 발생한 지진에 대한 대응책에 대한 필요성이 여러 가지 측면으로 요구되고 있다. 지진 발생 이후 액상화 현상이 발생하였고, 지진에 대한 사전대비와 대처에 대한 미흡함으로 인해, 지역 주민의 불안감이 가중 되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대처와 지역 주민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우리는 기존 지진 대응에 대한 시스템에 대한 한계를 분석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에 우리는 재난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평가 기반의 지진 정보를 표출하고 확산할 수 있는 원스톱 모바일 지원 확산 시스템을 제안하고, 구현하여, 그 가능성을 증명한다.

국내 연안 안전 체계 한계에 따른 드론의 활용방안 (A Study on how to use drones According to Domestic Coastal Safety System limitations)

  • 김승한;김효중;김효관;조소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18-127
    • /
    • 2021
  • 다양한 안전 대책에도 불구하고 연안 안전사고가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어, 본 연구는 이에 대한 대책으로 드론 활용을 주목하였다. 이미 해안을 보유한 지자체는 연안 안전관리를 위해 무인 멀티콥터 운용을 시작하였다. 특히 현재 적용 중인 스마트 도시안전망 시스템에 무인 멀티콥터를 연계하면 연안 지역 긴급 상황 발생 시 현장 영상을 지자체 안전정보센터에 실시간 전송이 가능하여 안전사고에 대한 보다 신속한 대응으로 연안해역 안전관리 강화에 크게 일조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연안 안전사고 현황에 대해서 고찰하고, 국내 연안 안전 체계 현황을 분석하여, 국내 연안 안전 체계 한계에 대한 방안으로 드론 활용을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형 K-Drone 시스템 연계모델을 제언하여 연안 지역 안전 체계에 핵심적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기록관리 관점에서 본 코로나 19 관련 개인정보 이슈와 대응방안 (COVID-19 Related Personal Information Issues and Countermeasures from the Perspective of Record Management)

  • 정지혜;나정호;장지혜;오효정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81-107
    • /
    • 2020
  • 최근 우리나라를 비롯해 전 세계가 '코로나19'라는 초유의 사태를 맞이한 이때,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적극적으로 정보를 '공개'하는 관점과 이러한 사회적 조치가 개인의 기본권 침해와 맞물리게 되면서 개인정보를 '보호'해야 하는 관점이 상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염병 위기에 따른 국가의 대응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감염병 대응 표준매뉴얼을 바탕으로 위기경보 단계별 생산되는 공공기록물을 살펴보았으며, 특히 개인정보가 포함된 기록물의 유형과 공개 현황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위기경계단계에 따라 공공기관 차원에서 수집되는 개인정보 뿐 아니라 민간에서 수집, 관리해야 할 개인정보 범위가 결정됨을 파악하였으며, 이에 대한 일반인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뉴스미디어에 보도된 개인정보 관련 주요 이슈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개인정보를 포함한 기록 관리의 주요 쟁점과 문제점에 대해 고찰하고 이에 대한 개선점을 수집 및 관리, 폐기의 기록의 생애주기 관점에서 제안하였다.

요인 및 군집분석을 이용한 유해화학물질 사고 잠재적 피해에 대한 도시 유형 분류 및 특성 분석 (The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Urban Types for Potential Damage from Hazardous Chemical Accidents Using Factor and Cluster Analysis)

  • 이승훈;유영은;김규리;백종인;김호현;반영운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726-734
    • /
    • 2020
  •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potential damage from hazardous chemical accidents in 229 administrative units in South Korea by reflecting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areas where chemical accidents can occur. Methods: A number of indicators were selected through preceding studies.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on selected indicators to derive factors, and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the factor scor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229 administrative units were divided into three clusters, and it was confirmed that each cluster had its own characteristics. Conclusions: The first cluster, "areas at risk of accident occurrence and spread of damage" was a type with a high potential for accident damage and a high density of hazardous facilities. The second cluster, "Urban infrastructure damage hazard areas" appeared to be a cluster with high urban development characteristics. Finally, the third cluster 'Urban and environmental damage hazard areas' appeared to be a cluster with an excellent natural environment. This study went further from the qualitative discussion related to existing chemical accidents to identify and respond to accident damage by reflecting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Distinct from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causes of accidents and the response system, it is meaningful to conduct empirical research focusing on the affected areas by analyzing the possibility of accident damage in reflection of the social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수리·수문설계시스템 및 비율보정계수 기법을 활용한 농업용 저수지의 홍수기 운영기준 평가 (Evaluation of Agricultural Reservoirs Operation Guideline Using K-HAS and Ratio Correction Factor during Flood Season)

  • 정형모;이상현;김경환;곽영철;최은혁;윤성은;나라;주동혁;유승환;윤광식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63권4호
    • /
    • pp.97-104
    • /
    • 2021
  • Despite the practical limitations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inflow and supply related to the operation of agricultural reservoirs, the role of agricultural reservoirs is gradually being emphasized. In particular, as interest in disaster safety has increased, the demand for preliminary measures to prepare for disasters has been rising, for instance, pre-discharging agricultural reservoirs for flood control.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lans for the flood season reservoir operation considering pre-discharge period and water level limit. Accordingly, we optimized the simulation of daily storage using the ratio correction factor (RCFs) and analyzed the amount of inflow and supply using K-HAS. In addition we developed the drought determination coefficient (k) as a indicator of water availability and applied it for supplementing the risk level criteria in the Drought Crisis Response Manual. The results showed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set the water level limit during the flood period in the situation of little water supply for flood control in agricultural reservoi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reservoir management regulations after measures such as securing additional storage water are established in the future.

사례분석을 통한 건설현장 화재위험도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Development of Accident Cases-based Fire Risk Assessment Checklist for Active Response on Construction Sites)

  • 신재권;신윤석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79-86
    • /
    • 2021
  • 건설현장에서는 화재사고 발생 시 대형재해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성이 매우 크다. 건설현장에서는 가연성 물질을 다수 사용하고 있으며, 화재사고 발화원이 되는 장비를 흔히 사용하고 있어 화재사고 위험이 항상 상존한다. 화재사고 예방을 위한 다양한 제도로 명시하고 있으나, 건설현장 작업 특성에 적합한 예방제도를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며, 기존 연구에서는 법령개선 및 화재사고 시 진압 문제 관련 내용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화재사고 사례분석과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화재위험도 평가 체크리스트를 제안하였다. 체크리스트의 현장 적용성을 검토해보기 위해서 국내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2건의 화재사고 사례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실제 화재 원인을 포함하여 추가적으로 화재원인이 될 수 있는 원인들을 규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화재위험도 평가 체크리스트를 건설현장에서 활용한다면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화재사고 예방뿐만 아니라 화재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학기록관의 코로나19 도큐멘테이션 전략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COVID-19 Documentation Strategy for University Archives)

  • 김가은;이종욱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9-17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를 비롯한 각종 감염병 재난에 대한 대학의 대응체계를 마련하기 위해 대학기록관의 코로나19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수립하였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시기 대학'을 주제로 헤크만의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적용하여 '도큐멘테이션 영역 정의 및 예비분석'과 '전략 설계'를 수행하였다. 먼저, 예비분석 단계에서는 해외 대학의 코로나19 도큐멘테이션 사례조사와 이해관계자 면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으로 전략 설계 단계에서는 기록관리 전문요원을 대상으로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도큐멘테이션 전략안을 작성하였으며, 기록관리 전문요원으로부터 의견을 수렴한 후, 전략안을 확정하였다. 전략안에는 도큐멘테이션 목적과 영역, 그룹을 비롯한 참고정보, 주요 고려사항 등이 포함되었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사례를 중심으로 대학기록관의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개발한 것으로 추후 감염병 재난에 대비한 기록 확보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자이로센서와 플렉스 센서를 이용한 이동형 로봇팔 원격 제어 (Remote Control of Movable Robot Arm using Gyro Sensor and Flex Sensor)

  • 장재석;김민수;김성진;이철근;박형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1205-1212
    • /
    • 2021
  • 재난상황이나 인명 구조, 위험물 처리와 위험지역 정찰 등 사람들이 하기 어려운 위험작업을 대신 처리해 실질적으로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는 로봇들이 지속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람의 모션 의지를 로봇팔에 구현하여 상황에 따른 능동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손동작에 따라 차량을 제어하여 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이동형 로봇팔을 구현하고자 한다. 플렉스 센서와 자이로센서를 활용하여 컨트롤러를 제작하고 자이로센서 2개의 Roll과 Pitch 값을 조절하여 로봇팔의 각도를 제어하며 차량의 방향을 지정한다. 또한 플렉스 센서 3개의 레벨을 지정함으로써 손동작에 따라 모터가 동작되며 물체를 집고 이동할 수 있도록 로봇팔을 구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