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ster preparation

검색결과 190건 처리시간 0.022초

보건소 방문간호사의 재난대비 및 재난간호핵심능력 영향요인 (Disaster Preparation of Visiting Nurses in Public Health Centers)

  • 엄동춘;박영임;오현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40-249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personal disaster preparation and disaster nursing core competency among visiting nurses in public health centers. Methods: A descriptive survey study was adopted. A convenience sample was taken from 277 subjects in three region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orrelation,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The mean personal disaster preparation and disaster nursing core competency scores were 11.13 and 76.87, respectively. Personal disaster prepar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experience of disaster victims and disaster management guideline. Disaster nursing core compet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participation in future disaster recovery.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ersonal disaster preparation accounted for 14.9 of the variance by experience of disaster victims and disaster management guidelines; disaster nursing core competency accounted for 8.9 of the variance by perception of disaster nursing. Conclusion: Although visiting nurses are ill-prepared for disaster, global natural and man-made disasters can occur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Disaster education and training should therefore be included in nurses' fundamental education.

보건소의 재난관련 대비-대응 사업의 실태와 과제 (Status and Issues on Disaster Preparation Programs in Public Health Center)

  • 조유향;정영해;張弘千惠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3권2호
    • /
    • pp.63-73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보건소의 재난대응 관련사업의 실태와 향후 방향에 대한 의견을 파악하고자 전국의 5개 보건소를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지를 활용하여 연구자가 직접 2017년 9월 1개월 동안 방문하여 심층 면담을 통한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조사대상 보건소는 재난대비 대응에 있어서 시 군 구의 협조기관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고, 구급지원, 감염병 위기관리 및 방역실시, 을지훈련참여, 재난훈련 및 연수 등이 활동의 전부로 수동적인 활동이었으며, 보건소 자체 프로그램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보건소가 시 군 구의 협력기관으로 활동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재난발생 시 보건활동의 중심적인 역할을 위해서는 보건기관 자체의 총괄보건 활동체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재난은 언제 닥칠지 모르는 것이므로, 이를 위해 필요한 매뉴얼의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총괄보건활동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건소를 시 군 구의 협력기관으로만 생각하는 시각을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시각의 변화가 쉽지는 않겠지만 관 학 협력으로 일부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재난 시에 지역주민에게 필요한 것은 의료지원이나 감염병위기 관리에 국한되지 않는다. 주민의 생활지원은 물론 건강관리 및 영양지원, 정신보건의료, 대피소 환경관리 및 봉사자 관리 등 보건의료 전반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보건소의 인력별 역할 및 기능에 따라 운영될 수 있는 시스템이 준비되어야 할 것이다.

정부의 지진재난 대응역량과 재난관리체계의 법·제도적 적절성이 재난관리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소방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the Government's Earthquake Disaster Response Capabilities and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ppropriateness of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on the Operational Performance of Disaster Management : Focused on Fire Officer's Consciousness)

  • 윤석민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318-330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재난관리의 주체인 소방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정부의 재난대응역량과 재난관리체계의 법·제도적 적절성이 재난관리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방법: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조사자료는 SPSS 25.0 프로램을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의 지진 재난대응역량은 재난관리 운영성과 요인인 재난 사전예방준비 뿐만 아니라, 재난 사후대응관리에도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진 재난관리체계의 법·제도적 적절성은 재난관리 운영성과 요인인 재난 사전예방준비 뿐만 아니라, 재난 사후대응관리에도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지진대비 재난관리의 운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지역유형별 지역방재력에 관한 실태분석 - 강원도를 중심으로 - (Status of Local Disaster Prevention by Regional Types - Focusing on Gangwon-do -)

  • 김경남;권건주;백민호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33-46
    • /
    • 2010
  • 강원도내 14개 시군을 3개 지역(도농통합형 지역, 도시형 지역, 농촌해안형 지역)으로 나누고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자율방재단을 표본집단으로 하여 설문조사한 결과, 도농통합형 지역과 도시형 지역이 농촌해안형 지역보다 재해위험인지능력, 피난유도능력, 자주피난 대비정도, 방재체제 정비정도, 감시경계능력, 정보전달능력 등 모든 분야에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정보전달능력은 3개 지역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자주피난 대비정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정보전달능력의 경우 지방정부의 예 경보시스템 증설과 신규 설치로 인하여 재난정보를 신속히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구축되었지만 자주피난 대비 정도는 주민 스스로가 재해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재난대비 교육과 홍보를 실시하고 더불어 사전에 안전한 대피장소 확보방안 등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호스걸이형 소방호스와 호스릴 소방호스의 전개시간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Preparation Time between Rack-type and Reel-type Fire Hoses)

  • 홍석환;김서영;공하성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9-53
    • /
    • 202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which type of fire hose should be placed in indoor fireplug box upon analyzing the preparation time between rack-type fire hose and reel-type one. With respect to the type of hose, rack-type stacking method was used and hose preparation time was measured with 5 times of repeat test, separating men and women. Study results reveal that preparation time of reel-type fire hose took longer than that of rack-type one in both men and women. For both rack-type hose and reel-type hose, preparation time by two persons took shorter than that by one man. Also, preparation time by three persons took shorted than that by two women. Preparation time for both rack-type hose and reel-type one by men took shorter than that by women. In summary, it was confirmed that rack-type hose could be prepared within shorter time than reel-type one. Since the size of drum set in the reel-type fire hose is relatively small, it had some difficulty in preparation of fire hose timely.

간호대학생의 재난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Disaster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남지인;조경화;박미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383-392
    • /
    • 2023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재난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재난준비도, 간호전문직관, 사회적 지지, 재난간호역량을 파악하고, 재난간호역량의 예측요인을 확인하여 재난간호역량 향상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3월 27일부터 4월 7일까지 G도 간호대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총 158부를 최종 분석하였다.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4학년(β=.20, p=.027), 재난간호교육이 '있음'(β=.15, p=.041), 재난준비도(β=.27, p<.001), 간호전문직관(β=.21, p=.012)이 재난간호역량을 설명하는 유의한 예측요인으로 나타났다. 재난준비도가 재난간호역량을 가장 잘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간호전문직관, '4학년, 재난간호교육이 '있음'인 경우 순이었고, 설명력은 26.3%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재난간호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재난에 대한 인식, 재난에 대한 태도, 재난준비도, 간호전문직관, 사회적 지지를 강화시킬 수 있는 재난 간호 실습의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재난대응훈련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 about Disaster Preparation Training)

  • 박남희;여욱현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년 정기학술대회
    • /
    • pp.278-280
    • /
    • 2016
  • 본 연구는 재난대응훈련시 훈련의 결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은 전 국민이 참여하는 훈련으로 재난대응 행동요령 숙지는 물론, 안전문화 확산에 기여토록 추진하고 범국가적 재난대응체제 확립을 위한 발생가능한 모든 재난유형을 대비한 국가종합훈련이다. 재난대응훈련 평가지표 개발에는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의 평가분야별 평가지표 분석 및 적용, 최종점수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평가결과 3등급(A, B, C) 부여, 중앙평가위원회에서 기관별 평가결과 및 협력도를 종합적으로 검토, 우수기관 선정 및 포상 추진, 미흡기관(C등급 하위 10%) 역량교육 및 재훈련, 기관별 미적용 평가지표는 해당 배점을 제외하는 것 등으로 지표 개발을 고려한다. 재난대응훈련 평가지표 개선을 위하여 개발된 표준훈련절차와 평가지표를 바탕으로 테스트베드를 통한 문제점을 도출한 후 운용 및 적용성을 보완하여 시스템 운영을 하도록 한다.

  • PDF

재난안전 현장훈련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Disaster Preparation Training System for the Industry)

  • 김건헌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9-180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재난안전 대비 현장훈련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현황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훈련은 실제 재난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형식적인 훈련으로 재난유형 및 발생상황에 부적합한 훈련장소 및 시간에 실시하고 있다. 현재는 사전 공개된 훈련시나리오에 따른 연출된 보여 주기식 훈련으로 실제 재난상황이 발생할 때 의사결정 권한을 가진 지휘권자가 훈련에 불참하는 조직문화가 가장 먼저 해결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형재난에 대한 대응능력을 강화하고 재난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기 위한 안전훈련이 범국가적으로 진행되는 가운데 '안전한국훈련'을 에너지부분에서도 전국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미국, 일본의 재난대응훈련의 특징은 우리나라와 같이 평가지표 틀에 맞춘 시나리오를 개발하지 않고 있으며 시나리오 구성도 세분화하지 않고 단지 상황 설정과 대응 메시지, 돌발 메시지 등으로 위기대응 능력을 평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에너지산업 현장용 재난대비 훈련시스템 개발 및 구축은 국가안전 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국가 차원의 종합 재난대응 및 인프라 제공을 위한 다수의 정보화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나 재난 정보를 활용한 사전 예방, 신속한 상황 전파, 정보공동 활용 및 대응 미진에 대한 종합적 진단이필요하다.

  • PDF

지방자치단체 재난관리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역할 강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ement of Local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 Focused on Strengthening the Disaster Management Capacity of Local Government -)

  • 홍지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9호
    • /
    • pp.21-30
    • /
    • 2018
  • This study aims for improving the system in Disaster Management of Local Government. In addition, the overall disaster management system was compared to the effectiveness of the disaster prevention system and reliability, and problems and improvement points were derived. The disaster management system in Korea has a structure that promptly investigates and restores damage by a simple procedure. Korea disaster management system manages information on top-down structural disasters through the flow of prevention, preparation, response, and recovery. The process from disaster response to recovery under the leadership of the central disaster safety headquarters is simplified. Disaster management tasks are dispersed among departments, making it difficult to respond promptly. Under the control of the central government, disaster management, such as disaster prevention, investigation, and recovery, are carried out. The disaster management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local government should establish the disaster response system focusing on the local gover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budget to operate the organization - centered disaster management budget and the disaster management organization. The disaster response manual should be prepared considering the disaster environment and disaster prevention plan. In order to utilize disaster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information system such as integrate and streamline of the private resource database and NDMS.

재난 발생시 국가 통합통신망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ole of Communication at Disaster Managing in Modern Societies)

  • 신현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31-38
    • /
    • 2008
  • 근래에 우리나라의 태안앞바다의 유조선 기름유출사고, 질산 2000톤 실은 선박 침몰, 국보1호인 숭례문 화재등 많은 재난이 발생하여 수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재해에 대한 대비와 재난이 발생하였을 때의 신속한 정보전달이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재해를 감지한 관측지에서 재난의 영향이 우려되는 지역으로의 신속한 정보 전달체계를 확립하고, 국가통합무선통신망을 구축시스템 개발함으로써 재해 피해로 인한 국민의 재산과 생명의 손실을 최소화 하는데 이바지 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