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sability studies

검색결과 467건 처리시간 0.032초

장애가중치 산출 연구에서의 쟁점 검토 (Review of Issues for Disability Weight Studies)

  • 옥민수;고슬기;이현정;조민우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52-358
    • /
    • 2016
  • Summary measures of population health (SMPHs) have been used to estimate the burden of diseases. Among various type of SMPHs, disability adjusted life year (DALY) and healthy life expectancy (HALE) have been calculated in the global and national burden of disease studies. In order to calculate DALY and HALE, disability weight is an essential element. Disability weights quantify the level of disability for health states or diseases and have values between 0 (full health) to 1 (being dead).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main disability weights studies and determined their meaning and limitations. Furthermore, we provided the whole process of typical disability weight study and reviewed key issues as follows: health state or disease description development, panel composition, valuation method, validation of disability weight, cross-cultural variability in health state or disease, and so on.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conduct future disability weight studies for adapting disability weights and developing new methodologies.

정신장애인 관련 법령의 정신장애개념과 정신보건법의 정신장애개념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ptualization of disability of the Mental Health Act and Related Laws)

  • 김문근
    • 사회복지연구
    • /
    • 제44권2호
    • /
    • pp.297-326
    • /
    • 2013
  • 본 연구는 정신보건법과 장애인복지법, 개정민법, 장애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의 정신장애개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정신보건법의 정신장애개념 개정방향을 제안한 연구이다. 정신장애개념분석을 위해 세계보건기구의 장애개념모형과 Priestley(1998)의 장애에 대한 다중패러다임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의학적 손상(impairment), 기능장애(functional disability), 사회관계적 장애(social interactional disability)로 구성되는 정신장애개념 분석틀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정신보건법과 관련 법령의 정신장애개념 분석결과에 근거해 정신보건법의 정신장애개념 개정방향으로 정신질환과 정신장애의 구분, 의사결정능력 개념의 도입, 사회관계적 장애개념의 확장 등을 제안하였다.

메타 분석을 통한 만성 관절염 환자의 통합 프로그램과 운동 프로그램의 효과 비교 (The Comparison Between the Effects of Integrated Arthritis Self-helf Programs and the Effects of Arthritis Exercise Programs Through Meta-analysis)

  • 오현수;서연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941-957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se meta-analysis to analyze result of 17 studies which investigated the effects of integrated programs, and 11 studies which examined the effects of exercise programs on pain, depression, and disability. The 28 studies analyzed in this work were selected from the following sources. MEDLINE Search, bibliographies of related studies, main academic journals of nursing in Korea, and journals on arthritis issues.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homogeniety of effect sizes which were calculated based on data in the 28 studies was tested and its average effect size was computed by using meta analysis software package which was developed by Song(1992, 1998).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Homogeneity tests were conducted on integrated programs on pain. In the prelimiary homogeneity tests on effect size of all 17 studies, no homogeneity was found. When homogeneity tests on the effect size of the remaining 15 studies were performed, excluding two studies which had extremely larger effect size compared to other studies, the 15 studies were found to be homogeneous(Q=16.38, p=.23). The obtained average effect size, D(Mean Standardized Difference Between Means), was .25. When homogeneity tests on effect size on pain was conducted for the excercise programs, effect size for all nine studies were found to be homogeneous (Q=7.42, p=.49) and the average effect size D=.30. Therefore, Hypothesis 1 was rejected from the results, that an average effect size of the integrated programs on pain was not significante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exercise programs on pain. 2) Since only two studies investigated the effect of exercise programs on depression, comparison between the average effect size of integrated programs and that of exercise programs on depression could not be conducted, and hypothesis 2 could not be tested. Thereby, only the average effect size of integrated programs on depression was obtained. Eight studies were tested to be positive on the homogeneity of effect sizes(Q=18.31, p=.02) at $\alpha$<.01 and its average effect size was D=.11. 3) For the analysis of integrated program on disability, 13 studies, except for four which had an extremely large effect size compared to the others were found to be homogeneous at $\alpha$<.01 (Q=22.30, p=.04) and the average effect size on disability was D=.16. For analysis of the exercize programs on disability, eight studies, except for one which had an extremely large effect size compared to others, were found to be homo geneous(Q=7.87, p=.34) and the average effect size on disability was D=.60. Therefore, Hypothesis 3 was accepted from the results that an average effect size of exercise programs on disability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integrated programs on disability.

  • PDF

Updating Korean Disability Weights for Causes of Disease: Adopting an Add-on Study Method

  • Dasom Im;Noor Afif Mahmudah;Seok-Jun Yoon;Young-Eun Kim;Don-Hyung Lee;Yeon-hee Kim;Yoon-Sun Jung;Minsu Ock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6권4호
    • /
    • pp.291-302
    • /
    • 2023
  • Objectives: Disability weights require regular updates, as they are influenced by both diseases and societal perceptions. Consequent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up-to-date list of the causes of diseases and establish a survey panel for estimating disability weights.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alculate, assess, modify, and validate disability weights suitable for Korea, accounting for its cultur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Methods: The 380 causes of disease used in the survey were derived from the 2019 Global Burden of Disease Collaborative Network and from 2019 and 2020 Korean studies on disability weights for causes of disease. Disability weights were reanalyzed by integrating the findings of an earlier survey on disability weights in Korea with those of the additional survey conducted in this study. The responses were transformed into paired comparisons and analyzed using probit regression analysis. Coefficients for the causes of disease were converted into predicted probabilities, and disability weights in 2 models (model 1 and 2) were rescaled using a normal distribution and the natural logarithm, respectively. Results: The mean values for the 380 causes of disease in models 1 and 2 were 0.488 and 0.369, respectively. Both models exhibited the same order of disability weights. The disability weights for the 300 causes of disease present in both the current and 2019 studies demonstrated 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94 (p=0.001 for both models). This study presents a detailed add-on approach for calculating disability weights. Conclusions: This method can be employed in other countries to obtain timely disability weight estimations.

장애인에 의해 '지각된 차별(perceived discrimination)'의 개념화와 법적 적용에 관한 연구 (Conceptualizing the Perceived Disability Discrimination and Its Application to Korea's Disability Discrimination Act)

  • 전지혜
    • 사회복지연구
    • /
    • 제40권2호
    • /
    • pp.399-425
    • /
    • 2009
  • 본 연구는 장애인에 의해 지각된 차별을 개념화하고, 이에 근거하여 현행 한국의 장애인 차별금지법의 차별 개념을 평가하며, 주관적으로 지각된 장애차별의 법적 판단 가능성에 대해 논의한다. 포괄적 개념으로, 장애인이 낙인, 장애 억압, 편견, 고정관념 등에 근거하여 어떤 차별이든지 감지한다면, 이는 지각된 차별이다. 현행 한국의 장애인차별금지법에 있는 차별범주는 비교적 좁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특히 간접차별은 사회규범이나 가치관 제도에 대하여 장애인의 권리를 구제하고 시정조치 할 수 있는 개념임에도 사문항으로 남을 수 있는 현실에 처해있다. 사회적 장애에 대한 시선이나 호의적 차별 등은 현재의 장애인차별금지법의 차별범주에 포함되지 않으며, 장애인 가족이 경험하는 차별 또한 법의 그물망 밖에 있다. 지각된 장애 차별의 관점에서 현행 장애인에 대한 차별범주를 장애에 대한 차별로 넓히고, 간접차별의 개념을 폭넓게 적용하여 사회 규범이나 제도, 가치관 등을 연구하고 검토해야 할 것이다. 지각된 차별을 법적으로 판단하기 위해서는 합리적 장애인의 개념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 전 사회적으로 합의된 장애 억압적 이데올로기를 직시하고 사회를 재구조화하기 위한 노력을 계속 해야 할 것이다. 특히 사법관들에 대한 장애인권 교육이 필요하다.

장애에 대한 사회적모델과 자립생활모델에 대한 이론적 비교 연구 (Theoretical Comparison between Social Model of Disability and Independent Living Model)

  • 김진우
    • 사회복지연구
    • /
    • 제41권1호
    • /
    • pp.39-63
    • /
    • 2010
  • 본 연구는 영국에서 태동한 장애에 대한 사회적모델과 미국에서 발현된 자립생활모델을 이론적으로 비교함으로써 각 모델이 갖는 정체성을 뚜렷하게 부각시키는데 있다. 연구결과, 상이점으로 사회적모델은 거시적인 이념적 수준에서 장애의 원인에 대한 패러다임의 변화를 추구한 반면, 자립생활모델은 자조모임과 활동보조서비스라는 구체적인 사회변화 양상을 요구하는 자립생활실천의 미시적 관점에서 당사자의 서비스에 대한 통제권을 강조한다. 유사성으로서는 당사자주의, 장애에 대한 사회적 책임, 초기단계에서의 지적장애인의 소외, 장애인차별금지법 제정에의 추동력 제공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양 모델의 정체성을 보다 뚜렷하게 하는 장점과 함께, 향후 서비스 실천현장에서, 장애운동계에서 어떻게 이들을 이해하고 있으며 실제 관련 법률의 개정, 장애인장기요양제도 등의 도입·전개에 있어 실제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이론적 틀을 제시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성인 지적장애인에 대한 비장애형제의 부양 책임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Factors influencing the Caregiving Responsibility of Siblings without Disability on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김미혜;오수경;장숙
    • 사회복지연구
    • /
    • 제37호
    • /
    • pp.63-89
    • /
    • 2008
  • 본 연구는 성인 지적장애인의 비장애 형제들이 장애형제의 미래부양에 대해 갖는 책임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8개 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만18세 이상의 성인 지적장애인을 형제로 두고 있는 비장애 형제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132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고, 다중회귀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지적장애인의 특성 요인 모형, 비장애형제의 특성 요인 모형, 관계적 요인 모형, 종합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적장애인의 특성 요인에서는 장애정도가, 관계적 요인에서는 형제 간 친밀도와 사회적 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종합모형에서는 장애 정도, 비장애형제의 성, 형제 간 친밀도와 사회적 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형제 간 친밀도와 사회적 지지를 포함한 관계적 요인이 부양 책임감을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본 결과를 통해 지적장애인과 비장애 형제가 서로 간에 믿음과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 형제프로그램의 개발 및 확산이 요구되는 한편, 비장애형제가 가족이나 친구, 그 밖의 주변 사람들로부터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대인관계망을 넓혀가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며, 또한 장애의 의존도에 따라 부양의 어려움을 경감시키기 위해 상이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융합적 장애학의 시각을 통해 본 중도 시각장애인의 장애 자부심 구축 -일본 TV드라마 "챌린지드"를 중심으로- (Construction of Disability Pride that People Having Acquired Visual Impairment Shown in the Japanese TV Drama "Challenged" -From the Viewpoint of Integrating Disability Studies-)

  • 조원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호
    • /
    • pp.479-48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융합적 장애학의 시각에 근거해 중도 시각장애인의 장애 자부심 구축에 관해 일본 TV드라마 "챌린지드"를 중심으로 주인공 塙와 주변 인물로 나누어 그들의 장애관의 실체를 분석하였다. 이 경우, 연구방법 고론으로서 Priestley(1998)의 장애다중패러다임에 의거한 융합적 장애학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중도시각장애인의 장애자부심 구축과 장애 수용의 패러다임은 근본적으로 상이하다. 그런 면에서 장애수용 이론에 대한 비판은 의료모델에 대한 비판과 통한다. 드라마상에서 장애 자부심의 본질이 가장 두드러진 인물로는 주인공 塙와 교사회장, 교장으로 이들은 사회적 관념론이 체화된 인물로서의 공통점을 보인다. 그 외 인물들의 경우, 초기에는 시각장애교사인 塙의 신체성과 장애 정체성을 부정하지만 이윽고 장애에 대한 사회적 관념론적 시각으로 전화하게 되며, 드라마의 인물들은 완전히 융화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드라마 자체에 관한 인문학적 사회과학적 분석이라는 내재적 시사와 더불어 드라마를 수단으로 한 교육적 효과와 같은 외재적 시사로 제시하였다.

A Review of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2015-2020

  • Song, Ju-Min
    • 대한물리의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65-80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literature review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ICF) in Korea from 2015 to 2020. METHODS: Precedent studies were searched with the search term "ICF" or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from the databases of RISS, KISS, DBpia, and Pubmed. The inclusion criteria are that the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in Korea from 2015 to 2020 using ICF by researchers consisting of one or more Koreans and have been peer-reviewed. RESULTS: Of the total 269 studies, 107 that met the inclusion criteria we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these studies were published at a similar frequency each year. The most common area of expertise was identified as the clinical area (n = 67), followed by special education (n = 21) and social welfare (n = 13). The study subject groups were mostly patients (n = 39), disabled people (n = 25), and related experts (n = 13). The most common research topic was functioning evaluation (n = 49) and followed by a literature review (n = 29), and the most frequently used components in all the areas of expertise were activity and participation (n = 98), body function and structure (n = 73), and environmental factors (n = 61). CONCLUSION: For the past six years, domestic ICF-related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a wider range of expertise areas on more subdivised subject groups. Continuous research, development of standardized curricula and contents, and development of coding tools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vitalizing the use of the IC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