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reference

검색결과 1,283건 처리시간 0.033초

White light scanner-based repeatability of 3-dimensional digitizing of silicon rubber abutment teeth impressions

  • Jeon, Jin-Hun;Lee, Kyung-Tak;Kim, Hae-Young;Kim, Ji-Hwan;Kim, Woong-Chul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5권4호
    • /
    • pp.452-456
    • /
    • 2013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peatability of the digitizing of silicon rubber impressions of abutment teeth by using a white light scanner and compare differences in repeatability between different abutment teeth types. MATERIALS AND METHODS. Silicon rubber impressions of a canine, premolar, and molar tooth were each digitized 8 times using a white light scanner, and 3D surface models were created using the point clouds. The size of any discrepancy between each model and the corresponding reference tooth were measured, and the distribution of these values was analyzed by an inspection software (PowerInspect 2012, Delcamplc., Birmingham, UK). Absolute values of discrepancies were analyzed by the Kruskal-Wallis test and multiple comparisons (${\alpha}$=.05). RESULTS. The discrepancy between the impressions for the canine, premolar, and molar teeth were $6.3{\mu}m$ (95% confidence interval [CI], 5.4-7.2), $6.4{\mu}m$ (95% CI, 5.3-7.6), and $8.9{\mu}m$ (95% CI, 8.2-9.5), respectively. The discrepancy of the molar tooth impress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other tooth types. The largest variation (as mean [SD]) in discrepancies was seen in the premolar tooth impression scans: $26.7{\mu}m$ (95% CI, 19.7-33.8); followed by canine and molar teeth impressions, $16.3{\mu}m$ (95% CI, 15.3- 17.3), and $14.0{\mu}m$ (95% CI, 12.3-15.7), respectively. CONCLUSION. The repeatability of the digitizing abutment teeth's silicon rubber impressions by using a white light scanner was improved compared to that with a laser scanner, showing only a low mean discrepancy between $6.3{\mu}m$ and $8.9{\mu}m$, which was in an clinically acceptable range. Premolar impression with a long and narrow shape showed a significantly larger discrepancy than canine and molar impressions. Further work is needed to increase the digitizing performance of the white light scanner for deep and slender impressions.

로드셀을 이용한 컬링 스위핑 힘 측정 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 force measurement device for curling sweeping with load cells)

  • 이상철;김태완;길세기;최상협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49-56
    • /
    • 2017
  • 컬링 스위핑 동작은 컬링 스톤의 위치를 조절하는 중요한 동작 중 하나이며, 스위핑 속도와 브룸 패드에 가해지는 힘이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컬링 스위핑 동작에서 컬링 브룸 패드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를 개발하였으며, 두 개의 로드셀을 브룸 패드와 패드 홀더 사이에 장착하는 구조를 이용하였다. 로드셀에서 발생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마이크로 제어기를 이용하여 초당 약 300회의 속도로 샘플링을 수행한 후 10 bit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였다. 3개의 M1 급 분동을 이용하여 로드셀의 교정과 측정된 전기 신호를 질량(힘)으로 환산하는 회귀 방정식을 추출하였으며, 브룸의 무게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웨어러블 장비로 구성하였다. 스포츠 분야에서 힘 측정 시 기준 장비로 사용하는 지면 반력기와 개발된 장비에 동일한 힘을 가하면서 측정된 측정값 차이는 약 $0.909{\pm}1.375N$ (평균과 표준 편차)로 측정되었다. 개발된 장비는 스위핑 동작과 유사한 힘 측정을 필요로 하는 다른 종류의 연구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고화질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방송서비스를 위한 MPEG-2 전송스트림과 MPEG-C part 3의 확장 방안 (Extension of MPEG-2 TS and MPEG-C Part 3 for Higher Quality Stereoscopic Video Broadcasting Service)

  • 강전호;이길복;김규헌;정원식;윤국진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750-761
    • /
    • 2011
  • 현재 대중화 되고 있는 디지털 방송 이후의 발전방향인 Post_HD(High-Definition)서비스로 3DTV(Three Dimensional Television)가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3DTV 서비스는 스테레오스코픽 영상을 구성하는 방법에서 이를 기존의 방송망에서 서비스하기 위한 방법까지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3DTV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비디오 영상의 구성 방법에 모두 적용 가능한 전송방법으로 MPEG-2 전송스트림의 PMT에 스테레오스코픽 기술자를 추가한 방안과 MPEG-C part 3의 확장을 통해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를 전송하는 방안의 분석하여 고화질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방송서비스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술은 기존의 3D 방송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에서도 기준영상만을 출력하여 기존의 MPEG-2 전송스트림과 호환성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디지털 방송과 스테레오 스코픽 영상 서비스 지원이 가능한 규격으로써 향후 통신과 방송 영역에서 스테레오스코픽 기반 3D 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Evaluation of the Accuracy of Distance Measurements on 3D Volume-rendered Image of Human Skull Using Multi-detector CT: Effects of Acquisition Section Thickness and Reconstruction Section Thickness

  • Haijo Jung;Kim, Hee-Joung;Lee, Sang-Ho;Kim, Dong-Wook;Soonil Hong;Kim, Dong-Hyeon;Son, Hye-Kyung;Wonsuk Kang;Kim, Kee-Deog
    • 한국의학물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의학물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 /
    • pp.457-460
    • /
    • 2002
  • The image quality of three-dimensional (3D) images has been widely investigated by the qualitative analysis method. A need remains for an objective and quantitative method to assess the image quality of 3D volume-rendered im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ntitative accuracy of distance measurements on 3D volume-rendered images of a dry human skull by using 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MDCT). A radiologist measured five times the twenty-one direct measurement line items composed among twelve reference points on the skull surface with a digital vernier caliper. The water filled skull specimen was scanned with a MDCT according to the section thicknesses of 1.25, 2.50, 3.75, and 5.00 mm for helical (high quality; pitch 3:1) scan mode. MDCT data were reconstructed with its acquisition section thickness and with 1.25 mm section thickness for all scans. An observer also measured seven times the corresponding items on 3D volume-rendered images with measuring tools provided by volumetric analysis software. The quantitative accuracy of distance measurements on the 3D volume-rendered images was statistically evaluated (p-value < 0.05) by comparatively analyzing these measurements with the direct distance measurements. The accuracy of distance measurements on the 3D volume-rendered MDCT images acquired with 1.25, 2.50, 3,75 and 5.00 mm section thickness and reconstructed with its section thickness were 48%, 33%, 23%, and 14%, respectively. Meanwhile, there were in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accuracy of distance measurements among 3D volume-rendered images reconstructed with 1.25 mm section thickness for the each acquisition section thickness. MDCT images acquired with thick section thickness and reconstructed with thin section thickness in helical scan mode should be effectively used in medical planning of 3D volume-rendered images.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distance measurement may be a useful tool for evaluating the quantitative accuracy and the defining optimal parameters of 3D volume-rendered CT images.

  • PDF

안정적인 DB보안 시스템 구축을 위한 보안기술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echnical Security Factor for the Implementation of Secure DB System)

  • 윤선희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143-152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개인 정보 유출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DB보안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보안 방법은 DB접근제어 영역과 DB암호화 영역으로 구분하며 영역별 기술 요소들을 분석하고 안정적인 DB보안 시스템 구축 시 필요한 사항들을 제시한다. 또한 기존의 영역별 DB보안 제품들을 분석하고 성능을 실험하여 결과를 분석한다. 성능을 실험한 결과, DB접근제어 방식은 네트워크 끝점에서 접근통제를 하기 때문에 기존 DBMS의 변경이 거의 필요 없으며 성능저하가 비교적 낮은 장점이 있는 반면 DB암호화 방식은 권한이 없는 경우 데이터 자체의 열람이 불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DB접근제어는 사전 차단이 미약하나 접속 로그 기록을 남겨 사후 추적으로 보완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DB암호화 방식은 적용 가능한 DB종류가 한정적이며 시스템 부하로 성능이 저하될 뿐 아니라 시스템 구축 시 실패율이 높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분석된 영역별 특징들이 향후 기관이나 기업에서 안정적인 DB 보안 시스템을 구축할 때 필요한 참고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가변블록 기반 저복잡도 H.264/AVC 디블록킹 필터 (Low-Complexity H.264/AVC Deblocking Filter based on Variable Block Sizes)

  • 신승호;도남금;김태용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5권4호
    • /
    • pp.41-49
    • /
    • 2008
  • H.264/AVC는 기존 압축기술 대비 가변 블록 움직임 보상, 복수 참조 영상, 1/4 화소 움직임 벡터 정확도 및 인-루프 디블록킹 필터 (In-loop Deblocking Filter) 등을 지원하고 있다. 이런 부호화 기술은 압축 효율 향상의 주된 기능이면서, 동시에 높은 복잡도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저사양, 저비트율의 단말기에서 H.264 부호화 기술의 실제 응용 확대를 위해서는 속도향상 개선이 필수적이다. 동영상의 주관적 화질을 상당부분 개선할 수 있는 디블록킹 필터 (Deblocking Filter)는 현재 복잡도와 높은 계산량으로 인하여 저사양 단말기에서는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저비트율의 디지털 동영상압축 시 발생하는 블록킹 현상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디블록킹 필터의 성능개선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디블록킹 필터링 방법은 움직임 보상에서의 가변블록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의 공간적 상관관계를 추출하고, 그 특성에 맞게 4가지 필터모드(Filter Mode)로 분리하여 분리된 영역에 적응형 필터 구조를 취한다. 적용된 모드별 필터링은 블록킹 현상을 제거함은 물론 과도한 블러링 현상(Blurring Effects)을 방지하고 영상내의 세밀한 영상 성분들과 블록 경계간의 실제 에지를 보호함과 동시에 기존 방법 대비 $30{\sim}40%$의 성능향상의 개선을 이루었다.

Analysis of crown size and morphology, and gingival shape in the maxillary anterior dentition in Korean young adults

  • Song, Jae-Won;Leesungbok, Richard;Park, Su-Jung;Chang, Se Hun;Ahn, Su-Jin;Lee, Suk-Wo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9권4호
    • /
    • pp.315-320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investigation was to analyze the dimensions of clinical crowns and to classify the crown and the gingival type in the anterior teeth in Korean young adults. MATERIALS AND METHODS. Casts were obtained from 50 subjects ranging in age from 24 to 32. Measurements of length and width were made on the casts using a pair of digital calipers on the entire dentition. Crown thickness and papilla height were also measured and MDW/CL (mesiodistal width to clinical length) and CW/CL (cervical width to clinical length) ratios of the maxillary anterior teeth were calculated. The K-clustering method was used for CW/CL to classify the anterior tooth shape into three groups (tapered, ovoid, and square),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Duncan's post-hoc comparison were used to evaluate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group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tooth shape and papillary height (PH) to demonstrate the correlation between tooth shape and gingival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RESULTS. The average length of the maxillary central incisors was 9.89 mm; the mesio-distal width was 8.54 mm; and the ratio of width/length was 0.86 in Korean young adults. The average bucco-palatal thickness of the central incisor was 3.14 mm at the incisal 1/3 aspect. Ovoid type was the most common tooth shape (48%), followed by square type (29%) and taper type (23%) in the central incisors of Korean young adults. Tooth shape and gingival type we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CONCLUSION. New reference data were established for tooth size in Korean young adults and the data show several patterns of tooth shape and gingival type. Clinicians should diagnose and treat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for better results in the Korean population.

kNN 기법을 이용한 강원도 평창군의 산림 주제도 작성과 산림통계량 추정 (Forest Thematic Maps and Forest Statistics Using the k-Nearest Neighbor Technique for Pyeongchang-Gun, Gangwon-Do)

  • 임종수;공지수;김성호;신만용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6권3호
    • /
    • pp.259-268
    • /
    • 2007
  • 본 연구는 야외조사 자료와 원격탐사 자료를 연계하여 야외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미 관측지점의 산림정보를 추정하고 산림 주제도를 작성할 수 있는 kNN 기법을 이용하여 강원도 평창군을 대상으로 산림정보별 주제도를 작성하고, 산림통계량을 산출하였다. 수평참조범위 반경을 20, 40, 60 km로 구분한 후, 각 반경별 추정치의 오차를 비교하였다. 반경 60 km일 때, 최소 오차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반경 40 km와 비교하면 차이가 없는 것으로 파악되어, 반경이 작은 반경 40 km을 효율적인 참조범위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수평참조범위에서 최적의 참조 표본점의 개수를 선정하기 위하여 오차행렬을 분석한 결과, k=5가 최적의 참조 표본점개수로 관측되었다. 따라서 최소 수평반경 40 km와 k=5의 참조표본점수를 이용하여 평창군 산림의 ha당 재적, 흉고단면적, 그리고 본수에 대한 주제도를 작성하였다. 작성된 주제도에 의해 추정된 산림통계량은 야외조사에 의한 추정치보다 과소추정치를 나타내었다.

비실시간 기반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부호화를 위한 적응루프필터 적용기법 (Application of Adaptive Loop Filter for NRT-Based Stereoscopic Video Coding)

  • 이병탁;이봉호;최해철;김진수;윤국진;정원식;김재곤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61-270
    • /
    • 2013
  • 스테레오스코픽(stereoscopic) 3D 비디오 서비스는 기존 2D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3D 비디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전송 대역이 제한된 지상파 방송의 경우 높은 부호화 효율을 갖는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코덱이 요구된다. 따라서 기준영상은 기존 2D 비디오 서비스와의 호환성을 위해 MPEG-2로 부호화하는 반면 3D를 위한 부가영상 부호화를 위해 부호화 효율이 높은 H.264/AVC,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등을 고려하고 있으며, 또한 부가영상을 비실시간으로 전송하는 NRT(Non-Real Time) 3D 서비스도 고려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NRT 3D 서비스를 위한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부호화에 있어서, HEVC에서 고려되었던 적응루프필터(ALF: Adaptive Loop Filter)를 전/후처리 필터로 적용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특히, 부가영상의 후처리에 ALF를 적용하기 위하여 부호화 과정에 결정되는 CU(Coding Unit) 구조를 이용하는 HEVC와 달리 MVC(Multiview Video Coding)로 부호화한 부가영상의 매크로블록(MB) 부호화 모드 및 참조영상 인덱스 등의 MB 부호화 정보를 이용한 ALF 적용 기법을 제안한다. 부가 영상 부호화에 있어서 제안한 기법으로 전처리 및 후처리 과정으로 ALF를 적용함으로써 최대 약 24.9%의 비트율 감소를 확인하였다.

내용기반의 인쇄체 영문 문서 영상 검색을 위한 특징 기반 단어 검색 (A Feature -Based Word Spotting for Content-Based Retrieval of Machine-Printed English Document Images)

  • 정규식;권희웅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6권10호
    • /
    • pp.1204-1218
    • /
    • 1999
  • 문서영상 검색을 위한 디지털도서관의 대부분은 논문제목과/또는 논문요약으로부터 만들어진 색인에 근거한 제한적인 검색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영문 문서영상전체에 대한 검색을 위한 단어 영상 형태 특징기반의 단어검색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검색의 효율성과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1) 기존의 단어검색시스템에서 사용된 특징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며, 2) 특징의 개수 및 위치뿐만 아니라 특징들의 순서를 포함하여 매칭하는 방법을 사용하며, 3) 특징비교에 의해 검색결과를 얻은 후에 여과목적으로 문자인식을 부분적으로 적용하는 2단계의 검색방법을 사용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문서 영상이 주어지면, 문서 영상 구조가 분석되고 단어 영역들의 조합으로 분할된다. 단어 영상의 특징들이 추출되어 저장된다. 사용자의 텍스트 질의가 주어지면 이에 대응되는 단어 영상이 만들어지며 이로부터 영상특징이 추출된다. 이 참조 특징과 저장된 특징들과 비교하여 유사한 단어를 검색하게 된다. 제안된 시스템은 IBM-PC를 이용한 웹 환경에서 구축되었으며, 영문 문서영상을 이용하여 실험이 수행되었다. 실험결과는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들의 유효성을 보여주고 있다. Abstract Most existing digital libraries for document image retrieval provide a limited retrieval service due to their indexing from document titles and/or the content of document abstracts. This paper proposes a word spotting system for full English document image retrieval based on word image shape features. In order to improve not only the efficiency but also the precision of a retrieval system, we develop the system by 1) using a combination of the holistic features which have been used in the existing word spotting systems, 2) performing image matching by comparing the order of features in a word in addition to the number of features and their positions, and 3) adopting 2 stage retrieval strategies by obtaining retrieval results by image feature matching and applying OCR(Optical Charater Recognition) partly to the results for filtering purpose. The proposed system operates as follows: given a document image, its structure is analyzed and is segmented into a set of word regions. Then, word shape features are extracted and stored. Given a user's query with text, features are extracted after its corresponding word image is generated. This reference model is compared with the stored features to find out similar words. The proposed system is implemented with IBM-PC in a web environment and its experiments are performed with English document image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