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mock-up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33초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door control unit for railway trains operable at low and high platforms

  • Young-Seok Ch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7호
    • /
    • pp.1-9
    • /
    • 2023
  • 현재, 고속열차 보급이 증가하면서 도심구간의 정차 요구가 증대됨에 따라 도심구간의 고상 플랫폼과 시외구간의 저상 플랫폼 모두 운용이 가능한 열차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저상과 고상 플랫폼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 타입으로 저상과 고상 스텝으로 구성된 열차 측 출입문용 제어기의 설계 및 제작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DCU H/W는 32bit MCU를 사용하여 4개의 모터를 제어하고, 33개의 Digital Input과 16개의 Digital Output이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구현하였으며, 동작 SW는 EN50128의 소프트웨어 수명 주기에 따라 동작 요구 사항 2개 항목과 제어 요구 사항 12개 항목을 도출하여 설계 구현한 후 각 요구 사항에 대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전체 요구 사항 14개 항목 중 목업에서 시험 가능한 13개 항목에 대하여 시험을 수행하였고, 요구 사항을 만족함을 보였다.

부분방전 예방진단 시스템의 로컬유닛 기능 향상을 위한 Digital Signal Processor(DSP) 응용 (The Application of Digital Signal Processor(DSP) for Improvement of Local Unit for a Partial Discharge Online Monitoring System)

  • 연만승;이재호;구자윤;강창원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861-1863
    • /
    • 2003
  • 최근 국내 전력시장은 초고압 대전력기기 사용이 현저히 증가하고 있어 이에 따라 부분방전 예방진단 시스템의 필요성은 절대적이며 이러한 시스템의 국산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예방 진단 시스템의 국산화에 있어 부분방전 신호 측정시 신호 대 잡음비(Signal to Noise ratio)를 높이기 위해 측정용 센서의 검출가능 주파수 대역을 높게 설정하여 설계되고 있는데, 따라서 센서에서 검출된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로컬유닛 또한 국산화시 외국 시스템보다 더욱 신뢰성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채용한 저속 시스템을 대체할 수 있도록 더욱 빠르고 높은 신뢰성의 디지털 신호처리 기술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검출 센서의 아날로그 신호를 빠르게 디지털화 한 후 보다 정확한 데이터와 독립적 신호처리 그리고 네트워크를 통한 실시간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부분방전 예방진단 시스템 로컬유닛의 프로토타입을 Digital Signal Processor (DSP)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제작된 DSP 로컬유닛을 시험하기 위해 Real-Scale 170kV GIS Mock-up에서 부분방전 신호를 발생 시키고 센서를 통해 검출된 신호를 DSP가 처리하여 사용자의 네트워크를 통한 명령에 따른 실시간 전송모드, ${\Phi}$-q-n 진단모드로 자체 네트워크 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실시간 전송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구현한 DSP 로컬유닛은 대전력기기 부분방전 예방진단 시스템의 국산화에 있어 기존의 외국 시스템의 로컬유닛보다 구성이 간단하며, 실시간 신호처리 및 원거리 데이터 전송기능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분석 알고리즘을 탑재한 DSP를 개발하여 더욱 향상된 실시간 데이터 전송 및 분석기능이 우수한 DSP 로컬유닛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고속철도시설물을 위한 3차원정보모델 (3-D Information Model for High-speed Railway Infrastructures)

  • 심창수;김덕원;윤누리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08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241-246
    • /
    • 2008
  • Design of a high-speed railway line requires collaboration of heterogeneous application systems and of engineers with different background. Object-based 3D models with metadata can be a shared information model for the effective collaborative design. In this paper, railway infrastructure information model is proposed to enable integrated and inter-operable works throughout the life-cycle of the railway infrastructures, from planning to maintenance. In order to develop the model, object-based 3-D models were built for a 10km railway among Korea high-speed railway lines. The model has basically three information layers for designers, contractors and an owner, respectively. Prestressed concrete box-girders are the most common superstructure of bridges. The design information layer has metadata on requirements, design codes, geometry, analysis and so on. The construction layer has data on drawings, real data for material and products, schedules and so on. The maintenance layer for the owner has the final geometry, material data, products and their suppliers and so on. These information has its own data architecture which is derived from similar concept of product breakdown structure(PBS) and work breakdown structure(WBS). The constructed RIIM for the infrastructures of the high-speed railway was successfully applied to various areas such as design check, structural analysis, automated estimation, construction simulation, virtual viewing, and digital mock-up. The integrated information model can realize virtual construction system for railway lines and dramatically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the whole engineering process.

  • PDF

극소형 위성발사를 위한 공중발사 로켓 미리내II의 시스템 설계 (A System Design of the MIRINAE II, Air-Launching Rocket for Nanosat)

  • 이영재;김진호;최영창;이재우;변영환;이창진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83-91
    • /
    • 2005
  • 최근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인 공중발사 방식은 극소형 위성을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발사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단순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나노 위성을 공중발사 방식을 이용하여 원 궤도에 올릴 수 있는 공중발사 로켓 시스템설계와 각 단별 계통 설계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중발사 로켓 시스템의 WBS와 각 계통별 작동개념도를 정립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 세부형상과 DMU를 구현하였다.

DMU를 이용한 극소형 위성 공중발사 로켓 시스템 설계 (Air-Launching Rocket System Design for Nanosat using DMU)

  • 이영재;김진호;최영창;이재우;변영환;이성택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5년도 제25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93-298
    • /
    • 2005
  • 최근 활발한 연구가 진행 중인 공중발사 방식은 극소형 위성을 매우 저렴한 비용으로 발사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단순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나노 위성을 공중발사 방식을 이용하여 원 궤도에 올릴 수 있는 공중발사 로켓 시스템설계와 각 단별 계통 설계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공중발사 로켓 시스템의 WBS와 각 계통별 작동개념도를 정립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 세부형상과 DMU를 구현하였다.

  • PDF

동전기적 가스발생방식의 자동윤활주유기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ic Grease Lubricator for Gas Generation Type of Galvanic Electricity)

  • 왕덕현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121-127
    • /
    • 2008
  • Automatic grease lubricator is an equipment that provides adequate amount of fresh grease constantly to the shaft and bearings of machines. It minimizes the friction heat and reduces the friction loss of machines to the least. This paper is developing an automatic grease lubricator using a mode of the gas generation type from galvanic electricity. The ultimate goal of this equipment is to lubricate an adequate amount of grease with galvanic corrosion. In an electrolyte, combining anode(Mo) with cathode(Zn) is pressing out hydrogen gas of an galvanic element with galvanic reac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is method is continuous flowing small hydrogen gas and controling the usage of the amount of the generation of hydrogen gas. The exterior body of grease lubricator was analyzed by Digital Mock-up of CATIA V5 and finite element analysis. The maximum stress is distributed over the outlet part where the grease lubricator suddenly narrowly contracts. The outlet part is analyzed with different constructed angle due to the different loading and setting angles. Using the analyzed design, RP trial products were producted and tested.

  • PDF

디지털 목업 인터페이스 설계 (Design of a Interface for Digital Mock-up)

  • 박희성;김성균;이근우;오원진;진성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403-1406
    • /
    • 2005
  • 원자력 시설 및 연구용 원자로 해체 시 해체 일정과 해체 폐기물량 그리고 해체 비용을 분석하기 위한 평가식이 수립되었다. 연구로 2 호기 Thermal column 자료를 참고하여 평가식을 실험하였다. 해체 공정 모사 결과를 애니메이션으로 보여주는 가시화 모듈과 해체 일정과 해체 폐기물량, 작업자 피폭선량 및 해체 비용 등을 평가식으로 계산 한 후 그 결과를 그래픽으로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모듈로 구성된 해체 디지털 목업 시스템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설계되었다. 해체 단위 작업별 평가식은 원자력과 관련한 시설 해체 시 해체 일정 및 해체 비용 분석 및 예측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사용 될 것이다. 또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방사능의 오염으로 인해 작업자가 접근하기 힘든 환경에서의 해체 활동을 사전에 경험함으로써 피폭으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 PDF

자동차 조립공장을 위한 Web기반 협업 공정 및 자재 계획 (Web-based Collaborative Process and Material Planning for Automotive General Assembly)

  • 허준;이강걸;노상도;박영진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198-206
    • /
    • 2004
  • To ensure competitiveness in the modem automotive market, process and material planning should be performed concurrently with new car developments. In automotive general assembly shops, thus, new business workflows and supporting environments are inevitabl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preparation time in developing a new car in the manner of concurrent and collaborative engineering. Since complete material planning for a whole general assembly system is a huge and complex job, several planners should execute their planning jobs and share information. Therefore, each planner should provide others with his/her results with continuous on-lin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In this research, a web-based system for concurrent and collaborative process and material planning for automotive general assembly via 3D digital mock-up S/W is developed. By using this system, savings in time and cost of process and material planning are possible, and the reliability of the planning result is improved.

쾌속조형기에 의한 기어식 주유장치의 개발 (Development of gear type grease lubricator by rapid prototyping)

  • 왕덕현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46-53
    • /
    • 2014
  • An automatic grease lubricator provides an adequate amount of fresh grease constantly to any type of rotating machine to minimize friction heat and reduce friction loss. This study seeks to develop an automatic grease lubricator by means of rapid prototyping with a gear-driven mechanism and a controlled operation time. The ultimate design is to lubricate an adequate amount of grease by a simple dip-switch clicking mechanism according to an advanced set cycle. The backlash of the gear was minimized to increase the power, and to increase the power of the mechanism, the binding frequency and the thickness of the coil were changed. To control the rotation cycles of the main shaft according to certain set numbers, different resistances and chips were used in the design of the circuit which controls the electrical signals via a pulse. A digital mock-up was analyzed and the rapid prototyping (RP) trial products were tested with a PCB circuit and grease. An evaluation of the outlet capacity of RP trial products was conducted, as the friction caused by the outlet on the wall surface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Finally, a finishing process was applied to decrease the roughness of a surface to a comparable level to test the performance of the product.

비정형 구조물의 시공성을 고려한 3차원 디지털 설계 최적화 프로세스 (3D Digital Design Optimization Process Considering Constructability of Freeform Structure)

  • 류한국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35-43
    • /
    • 2013
  • 최근 상당기간과 공사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비정형 건축물의 설계와 시공이 새로운 기술로 구현되고 있다. 이는 비정형 건축물의 최적화 설계와 부재화를 통한 공장 생산 시스템과 현장 조립 및 설치 기술로 가능하다. 비정형 건축물의 구현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여전히 비정형 건축물 시공은 설계오류와 시공자의 도면이해 부족, 시공경험 및 공법의 부재 등으로 인하여 시공 품질과 공기, 공사비 증가 등의 잠재적 리스크를 포함하고 있다. 비정형 건축물의 시공품질 향상과 공기단축 및 시공비 상승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3D 디지털 설계와 제작 기술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비정형 구조물의 시공성을 고려한 3차원 디지털 설계 최적화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는 비정형 구조물의 구조검토,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가공에 의한 부재의 정밀제작, 설치, 시공의 오차관리로 최적 시공의 근간이 되는 비정형 건축물 외피 시스템 구현을 위한 최적화 설계 프로세스를 제시한다.본 연구는 비정형 건축물을 구현한 사례를 살펴보고 디지털 설계 프로세스와 적용 프로그램을 살펴본다. 비정형 건축물의 설계도의 3D 디지털 데이터 구축과 디지털 최적화 구현 사례로 4대강 대표 물문화관(The ARC)을 중심으로 설계단계에서 적용된 최적화 기법을 순차적으로 분석하여 비정형 건축물의 3차원 좌표제어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