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gital calibration

검색결과 377건 처리시간 0.03초

A clinical pilot study of jawbone mineral density measured by the newly developed dual-energy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method compared to calibrated multislice computed tomography

  • Kim, Hyun Jeong;Kim, Ji Eun;Choo, Jiyeon;Min, Jeonghee;Chang, Sungho;Lee, Sang Chul;Pyun, Woong Beom;Seo, Kwang-Suk;Karm, Myong-Hwan;Koo, Ki-Tae;Rhyu, In-Chul;Myoung, Hoon;Heo, Min-Suk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9권4호
    • /
    • pp.295-299
    • /
    • 2019
  • Purpose: This clinical pilot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dual-energy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DE-CBCT) in measuring bone mineral density (BMD). Materials and Methods: The BMD values obtained using DE-CBCT were compared to those obtained using calibrated multislice computed tomography (MSCT). After BMD calibration with specially designed phantoms, both DE-CBCT and MSCT scanning were performed in 15 adult dental patients. Three-dimensional (3D)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data were imported into a dental software program, and the defined regions of interest (ROIs) on the 3-dimensional surface-rendered images were identified. The automatically-measured BMD values of the ROIs (g/㎤), the differences in the measured BMD values of the matched ROIs obtained by DE-CBCT and MSCT 3D image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BMD values obtained by the 2 devic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The mean BMD values of the ROIs for the 15 patients as assessed using DE-CBCT and MSCT were 1.09±0.07 g/㎤ and 1.13±0.08 g/㎤, respectively. The mean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BMD values of the matched ROIs as assessed using DE-CBCT and calibrated MSCT images was 0.04±0.02 g/㎤.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BMD values of DE-CBCT and MSCT images was 0.982 (r=0.982, P<0.001). Conclusion: The newly developed DE-CBCT technique could be used to measure jaw BMD in dentistry and may soon replace MSCT, which is expensive and requires special facilities.

능동 위상 배열 SAR 안테나를 위한 X-대역 송수신 모듈의 설계 및 제작 (A Design and Fabrication of the X-Band Transmit/Receive Module for Active Phased Array SAR Antennas)

  • 정민길;김상근;나형기;이종환;이동우;백승훈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1050-1060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능동 위상 배열 안테나를 가지는 SAR(Synthetic Aperture Radar)용 X-대역 T/R(Transmit/Receive) 모듈을 설계, 제작하였다. T/R 모듈은 X-대역에서 800 MHz 이상 대역폭을 가지며 이중 편파 운용이 가능하다. 송신 출력 7 W 이상에 잡음지수 3.9 dB 이하를 가진다. 위상과 이득은 6비트 위상변위기와 6비트 디지털 감쇠기에 의해 각각 제어된다. 게다가 제작된 T/R 모듈은 방향성 결합기와 전력분배기로 연결되는 성능 점검/보정 포트를 가진다. LTCC 다층 기판을 사용하여 고직접화 T/R 모듈이 가능하게 하였다. 모든 동작 주파수 대역에서 수신시 RMS 이득 오차는 최대 0.8 dB 이하이고, 송/수신시 RMS 위상 오차는 최대 $4^{\circ}$ 이하로 측정되었고, 또한 시험 결과 T/R 모듈은 요구되는 전기적인 성능을 만족하였다. 이 구조는 능동 위상 배열 SAR용 안테나에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LC상 분리 전 직접적 유도체화 반응과 이미지 분석을 통한 아민 화합물의 반정량분석을 위한 선행평가 (The preliminary evaluation of semi-quantitative analysis by in situ pre-chromatographic derivatization of amines and image analysis in TLC)

  • 김연수;최성운
    • 분석과학
    • /
    • 제28권2호
    • /
    • pp.79-85
    • /
    • 2015
  • TLC (SiO2) 상에서 3가지 유사 암페타민 류 아민 화합물과 3가지 유도체화 시약 사이의 반응으로부터 얻어진 아민유도체의 이미지 분석으로부터 암페타민 류 화합물에 대한 신속하고 경제적인 반정량적인 분석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선행 실험을 하였다. TLC상 직접적인(in situ, co-spot) 유도체화 반응의 적정화를 시도하였고 그 TLC 결과물들을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하여 이미지를 얻은 후 2가지의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CP Atlas 2.0 및 ImageJ)에 적용하여 재현성(RSD; %)과 상관성(R2)을 각각 확인 및 비교하였다. 그 결과, 반응 조건에 대한 조정이 필요하였고(반응 온도 등) 각 시료별 2가지의 농도(0.5 mg/mL 및 0.01 mg/mL)에서 반응의 재현성은 0.69~5.50% 범위이었으며 반응(2 µL per spot)의 생성물과 아민의 농도에 대한 상관성은 0.1~0.005 mg/mL의 농도 구간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R2> 0.9906). 또한, 두 가지 프로그램 모두 재현성과 직선성에 대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어 직접적인 유도체화 반응과 TLC 이미지에 대한 이들 프로그램을 사용한 분석이 아민 화합물에 대한 반정량적인 분석으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준 분포형 수문모형 SLURP에서 융설매개변수 적용 및 영향 평가 (Application of Snowmelt Parameters and the Impact Assessment in the SLURP Semi-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

  • 신형진;김성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8호
    • /
    • pp.617-628
    • /
    • 2007
  • 본 연구는 충주댐 유역을 대상으로 SLURP 모형에서 RS, GIS를 이용한 융설매개변수 적용 및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모형의 음설 관련 매개변수 준비를 위해 3 set (1998-1999, 2000-2001, 2001-2002)의 NOAA AVHRR 위성영상을 분석하였다. 적설분포면적은 채널 1번, 3번, 4번을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적설심은 지상기상관측소의 적설심 자료를 이용하여 공간적으로 내삽하여 추출하였다. 융설 매개변수와 DEM, 토지피복도, NDVI, 수문기상자료를 이용하여 3개년도(1998, 2000, 2001)의 일별유출량을 모의하여 보정하였다 그리고 보정된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1개년도(1999)를 검증하였다. 4년(1998-2001)동안의 유량 비교 결과, 평균 Nash-Sutcliffe의 모형 효율은 0.76이고 적설 및 융설 기간(1월$\sim$5월)동안의 평균 모형 효율은 0.57이다. 융설매개변수 미고려시 평균 Nash-Sutcliffe의 모형 효율은 0.73이고 적설 및 융설 기간(1월$\sim$5월)동안의 평균 모형 효율은 0.19이다. 융설매개변수를 포함한 유출량이 융설매개변수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보다 관측유량의 수문시계열적 특성을 잘 표현하는 결과를 보였다.

다중채널 와전류탐상검사 장치 개발(II) (Development of a Multichannel Eddy Current Testing Instrument(II))

  • 이희종;남민우;조찬희;유현주;김인철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552-559
    • /
    • 2011
  • 전자기유도(electromagnetic induction) 현상을 이용한 비파괴진단기법으로서 최근까지 와전류탐상기법, 교류장측정기법, 자속누설검사기법, 그리고 원격장검사기법 등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 기법 중 와전류탐상기법은 오늘날 발전설비, 화학, 조선 및 군수설비 등의 열교환기 전열관 비파괴검사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 와전류탐상검사 시스템의 구성은 기능별로 와전류신호 합성 모듈, 아날로그 모듈, 디지털 신호처리를 위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 전원공급장치 및 신호취득 평가 프로그램 등으로 구성되며, 선행 연구(I)에서는 다중채널방식의 와전류탐상검사 시스템의 구성 요소 중 1차로 와전류신호 합성 모듈, 아날로그 모듈을 설계 개발하였으며, 2차로 와전류 신호 취득 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2차 연구에서 개발한 와전류 신호취득 평가 프로그램의 운영체제는 "Windows 7"로서 국내 사용자를 위해 최적화 하였으며, 주요 특징은 검사자가 "setup wizard"를 이용하여 검사에 필요한 검사 조건 및 변수를 용이하게 설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신호취득 및 평가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와전류신호 수집 및 평가 프로그램의 구성과 각 기능을 설명하고자 한다.

Use of Unmanned Aerial Vehicle for Multi-temporal Monitoring of Soybean Vegetation Fraction

  • Yun, Hee Sup;Park, Soo Hyun;Kim, Hak-Jin;Lee, Wonsuk Daniel;Lee, Kyung Do;Hong, Suk Young;Jung, Gun Ho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1권2호
    • /
    • pp.126-137
    • /
    • 2016
  • Purpose: The overal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egetation fraction of soybeans, grown under different cropping conditions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equipped with a red, green, and blue (RGB) camera. Methods: Test plots were prepared based on different cropping treatments, i.e., soybean single-cropping, with and without herbicide application and soybean and barley-cover cropping, with and without herbicide application. The UAV flights were manually controlled using a remote flight controller on the ground, with 2.4 GHz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For image pre-processing, the acquired images were pre-treated and georeferenced using a fisheye distortion removal function, and ground control points were collected using Google Maps. Tarpaulin panels of different colors were used to calibrate the multi-temporal images by converting the RGB digital number values into the RGB reflectance spectrum, utilizing a linear regression method. Excess Green (ExG) vegetation indices for each of the test plots were compared with the M-statistic method in order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greenness of soybean fields under different cropping systems. Results: The reflectance calibration methods used in the study showed high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ranging from 0.8 to 0.9, indicating the feasibility of a linear regression fitting method for monitoring multi-temporal RGB images of soybean fields. As expected, the ExG vegetation indices changed according to different soybean growth stages, showing clear differences among the test plots with different cropping treatments in the early season of < 60 days after sowing (DAS). With the M-statistic method, the test plots under different treatments could be discriminated in the early seasons of <41 DAS, showing a value of M > 1. Conclusion: Therefore, multi-temporal images obtained with an UAV and a RGB camera could be applied for quantifying overall vegetation fractions and crop growth status, and this information could contribute to determine proper treatments for the vegetation fraction.

유방암 검출을 위한 생계 어드미턴스 스캐너의 개발 (Development of Trans-Admittance Scanner (TAS) for Breast Cancer Detection)

  • 이정환;오동인;이재상;우응제;서진근;권오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335-342
    • /
    • 2004
  • 암세포가 정상세포에 비해 전기적 도전율이 세배에서 열배까지 높다는 점을 이용하여 본 논문에서는 유방암 검출을 위한 생체 어드미턴스 스캐너를 개발하고, 시스템의 성능검사를 수행하여 유방암 검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전압인가전극을 이용하여 정현파의 정전압을 인가하고 유방의 표면에 부착된 평면배열 접지전극을 통하여 배출되는 전류를 측정한다. 측정된 전류값과 인가한 전압사이의 전달 어드미턴스로부터 측정 부위의 도전율을 표현할 수 있으며, 전달 어드미턴스의 실수부와 허수부의 크기로부터 유방암의 유무와 크기, 위치를 판별하는 데이터를 획득한다. 개발한 생체 어드미턴스 스캐너는 주제어부, 인가전압 발생부, 유기전류 측정부, 전압인가전극 및 평면배열 접지전극과 컴퓨터로 구성된다. 개발한 디지털 인가전방 발생기의 진폭 안정도는 0.2445%의 오차를 가지며, 총 고조파 왜곡은 0.03% 이다. 유기전류 측정부는 실수부의 경우 68dB, 허수부의 경우 54dB이상의 SNR블 가지며, 1nA정도의 작은 전류도 측정이 가능하도록 제작되었다. 저항 펜텀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측정된 핀달 어드미턴스는 Pspice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할 때 93% 이상의 정확도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측정의 정확도를 갖는 생체 어드미턴스 스캐너를 가지고 저항 팬텀 및 전해질용액 펜텀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도전율이 다른 물체를 식별할 수 있는 전달 어드미턴스 분포 영상을 획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여러 가지 다른 핀범을 제작하여 이를 정확히 찾아내는지를 실험할 예정이며, 도전율이 다른 물체의 크기, 위치 및 깊이를 찾는 알고리즘을 시스템에 적용하여 알고리즘을 실험적으로 검증하고 유방암의 조기 검진을 위해 활용이 가능한 시스템을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로드셀을 이용한 컬링 스위핑 힘 측정 장치 개발 (Development of a force measurement device for curling sweeping with load cells)

  • 이상철;김태완;길세기;최상협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49-56
    • /
    • 2017
  • 컬링 스위핑 동작은 컬링 스톤의 위치를 조절하는 중요한 동작 중 하나이며, 스위핑 속도와 브룸 패드에 가해지는 힘이 중요한 연구 대상이다. 본 연구에서는 컬링 스위핑 동작에서 컬링 브룸 패드에 가해지는 힘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를 개발하였으며, 두 개의 로드셀을 브룸 패드와 패드 홀더 사이에 장착하는 구조를 이용하였다. 로드셀에서 발생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마이크로 제어기를 이용하여 초당 약 300회의 속도로 샘플링을 수행한 후 10 bit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였다. 3개의 M1 급 분동을 이용하여 로드셀의 교정과 측정된 전기 신호를 질량(힘)으로 환산하는 회귀 방정식을 추출하였으며, 브룸의 무게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웨어러블 장비로 구성하였다. 스포츠 분야에서 힘 측정 시 기준 장비로 사용하는 지면 반력기와 개발된 장비에 동일한 힘을 가하면서 측정된 측정값 차이는 약 $0.909{\pm}1.375N$ (평균과 표준 편차)로 측정되었다. 개발된 장비는 스위핑 동작과 유사한 힘 측정을 필요로 하는 다른 종류의 연구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APM TG18에 의한 진단용 LCD 디스플레이 장치 정도관리 효과의 정량적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Effects for Quality Control on Medical Primary Class LCD Display Devices Based on AAPM TG18 Report)

  • 정해조;김희중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7권2호
    • /
    • pp.77-82
    • /
    • 2006
  • 영상의 표시는 PACS 및 디지털 의료 영상계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동일한 디지털 데이터에 대한 영상의 질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물리적 특성, 최적화된 설정 및 교정, 주위 불빛 조건 등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시간에 따라서 휘도 감소 및 설정값들의 변화에 의하여 성능이 저하된다.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성능이 지속적으로 저하되기 때문에 일정한 주기마다. 정도관리를 수행하여야한다. 정도관리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진단에 사용되는 10대의 평판 LCD 디스플레이 장치를 선택하였으며, 설정값 교정 전과 후에 휘도 반응, 휘도 공간 의존도, 분해능, 그리고 색도 변화를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정도관리 효과는 휘도 반응과 휘도 공간 의존도 테스트에서 다소 큰 변화가 있었으나 분해능 및 디스플레이 색도에서의 영향은 크지 않았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기적인 정도관리는 의료영상을 일관성 있게 표시하기 위하여 필수적이다. 본 연구 결과는 의료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정도관리에 대한 항목 선정 및 주기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무인기 소프트웨어에서 처리된 표정요소를 이용한 도화품질 예측기술 개발 및 비교분석 (Development and Comparative Analysis of Mapping Quality Prediction Technology Using Orientation Parameters Processed in UAV Software)

  • 임평채;손종환;김태정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5권6_1호
    • /
    • pp.895-905
    • /
    • 2019
  • 현재 현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상용 무인기 영상처리 소프트웨어는 카메라 캘리브레이션 정보나 영상 전체에 대한 블록 번들조정 정확도만 제공할 뿐 스테레오 페어의 실제 도화 가능여부에 대한 정확도는 거의 제공하지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무인기 영상처리 소프트웨어에서 산출된 표정요소를 사용하여 도화품질을 산출하고 실제 도화기에 적용하여 도화품질의 신뢰성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도화품질은 Y시차 정확도, 상대모델 정확도, 절대모델 정확도의 3가지 정확도로 정의하였다. Y시차 정확도는 스테레오 페어간 입체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정확도이다. 상대모델 정확도는 모델 좌표계 상에서 스테레오 페어간 상대적인 번들조정 정확도이다. 절대모델 정확도는 절대 좌표계에서 번들조정 정확도이다. 실험데이터는 도심지를 대상으로 회전익에서 취득된 GSD 5 cm급의 영상 723장을 사용하여 도화품질을 분석하였다. 연구진이 개발한 기술을 사용해 예측한 상대모델 정확도와 실제 도화기에서 관측한 정확도의 최대오차는 0.11 m로 정밀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절대모델 정확도도 마찬가지로, 도화기에서 관측한 정확도의 최대오차는 0.16 m로 정밀한 결과를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