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ffusibility efficacy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농용 무인항공방제용 500g 대립제의 잡초방제효과와 확산성 (Herbicidal Efficacy and Diffusibility of 500g Great Granule for Remote-Controlled Aerial Application in Paddy Rice)

  • 윤철수;이성춘;김경현;이계환;석창수;김현재;조태경;황인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45-453
    • /
    • 2010
  • Halosulfuron-methyl+mefenacet 500g 대립제와 3kg 입제에 대한 시간대별로 채취한 물을 분석하고 제초활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00g 대립제를 중심부에 처리하여 30~60분 후 $10m^2$ 면적에 유효한 수준의 확산이 일어났다. 확산이 일어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부유성담체와 수분함량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500g 대립제의 개봉 후 수분과의 접촉은 확산성에 영향을 미치므로 개봉당일 약제를 살포하여야 한다. 500g 대립제와 3kg 입제간의 약효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사마귀풀, 올챙이고랭이에 대한 반응은 달랐다. 이는 유효성분이 수중에 분포하는 500g 대립제와 달리 토양표면 1cm 내에 많은 양이 분포하는 3 kg 입제와의 유효성분의 확산양상에 의한 차이이다.

수도용 발포성정제 제초제의 확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ffusibility of Bubbling Tablet Herbicide Formulations for Paddy Rice)

  • 김만호;양광록;이창혁;심재원;김경현;윤철수;유용만;변종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401-410
    • /
    • 2005
  • 논 잡초를 생력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발포성 정제를 제조하여 최적 유효농도 결정 제제실험, 발포성 실험, 확산성 실험을 수행하였다. 정제의 발포속도는 유기산의 종류에 따라 oxalic acid>malonic acid>citric acid>tartar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발포성 정제 g 당 5분 이내에 발생하는 가스의 량은 수온에 따라 상이하여 $10^{\circ}C$에서 20 mL, $15^{\circ}C$에서 25 mL, $20^{\circ}C$에서 28 mL, $25^{\circ}C$에서 45 mL, $30^{\circ}C$에서 57 mL 이었다. 발포성정제의 수온에 따른 농약 주성분의 수중 확산성은 5, 15, 20, $30^{\circ}C$에서 처리 24시간 후 처리지점으로부터 2.4 m 떨어진 지점의 농도가 투하지점 농도의 20, 48, 85, 97%로 나타나 발포력이나 확산성 모두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담수 중 산도에 따른 발포력은 $pH5{\sim}11$의 범위에서 가스발생량에는 차이가 없었다. Halosulfuron-methyl의 담수 중 농도는 실험면적의 크기와 관계없이 살포 후 24시간이 되면 표준농도 수준인 0.16 ppm 을 유지하였다. Pyriminobac-methyl도 같은 경향을 보여 면적의 크기는 확산성실험에 큰 영향이 없었다. 발포성 정제 살포 24시간 후 처리지점으로부터 바람의 방향 또는 바람의 반대방향으로 2.4 m 떨어진 지점에서의 제초제 주성분 농도는 차이가 없었다. 표준 약량의 4배량으로 5 g 짜리 4개의 정제를 4개지점에 동시에 처리한 경우 처리 24시각 후 halosulfuron-methyl 및 pyriminobac-methyl은 균일한 확산성을 나타냈다.

Anesthetic efficacy and safety of 2% lidocaine hydrochloride with 1:100,000 adrenaline and 4% articaine hydrochloride with 1:100,000 adrenaline as a single buccal injection in the extraction of maxillary premolars for orthodontic purposes

  • Deshpande, Nupoor;Jadhav, Anendd;Bhola, Nitin;Gupta, Manan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0권4호
    • /
    • pp.233-240
    • /
    • 2020
  • Background: Palatal injection of local anesthetics is the most painful injection. To obviate the need for palatal injections, local anesthetic agents with diffusibility are being investigated. Hence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anesthetic efficacy of 2% lidocaine hydrochloride (HCl) with 1:100,000 adrenaline and 4% articaine hydrochloride (HCl) with 1:100,000 adrenaline using single buccal infiltration for the extraction of maxillary premolars. Methods: A prospective, double-blind, crossover, randomized clinical study was performed on 60 consecutive systemically healthy patients with an age range of 15-30 years, requiring extraction of asymptomatic bilateral maxillary premolars for orthodontic purposes. They received 1ml buccal infiltration of 4% articaine HCl with 1:100,000 adrenaline on one side and 2% lidocaine HCl with 1:100,000 adrenaline on the other side. The extraction procedure on either side was scheduled 14 days apart. Parameters assessed were the time of onset of anesthesia, intraoperative discomfort, hemodynamic parameters, and the duration of analgesia.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using the Mann-Whitney test, the Wilcoxon test, the Kruskal-Wallis ANOVA test, and the chi-square 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established at P < 0.05. Results: Articaine showed a faster time of onset and longer duration of analgesia than lidocaine. However, the difference in the intraoperative discomfort and hemodynamic parameters was statistically insignificant. Conclusion: Withi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xtraction of maxillary premolars can be performed with a single buccal infiltration of 2% lidocaine HCl with 1:100,000 adrenaline, which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local anesthetic a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