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fference sum

검색결과 656건 처리시간 0.025초

다중 프레임의 SAD를 이용한 드론 속도 측정 (Estimation of Drone Velocity with Sum of Absolute Difference between Multiple Frames)

  • 남돈호;염석원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171-176
    • /
    • 2019
  • 드론은 원거리 동영상을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어서 활용성이 높다. 드론 운용에서 속도의 크기인 속력은 설정할 수 있지만 이동하는 방위의 정확한 값은 설정이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드론에서 획득한 동영상을 이용하여 일정한 속도로 이동하는 드론의 속도를 추정한다. 기준 프레임과 표적 프레임의 Sum of Absolute Difference(SAD)를 최소로 하는 표적 프레임의 변위를 구한다. 드론의 실제 속도(Ground Truth)는 각 프레임에서 일정한 동일 지점(Matching Point)의 위치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실험에서 150m 상공에서 일정한 속력으로 이동하는 드론으로 동영상을 획득하였다. 추정한 x와 y방향의 속도와 속력의 평균 제곱근 오차(RMSE)를 구하여 제안한 방법의 신뢰성을 보였다.

미맹출 영구견치 및 소구치의 폭경 예측 (PREDICTION OF THE SUM OF MESIODISTAL WIDTHS OF THE UNERUPTED PERMANENT CANINES AND PREMOLARS)

  • 박동옥;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407-420
    • /
    • 1988
  • 제1 대구치까지 맹출완료된 정상군(109명 : 남자65명, 여자44명)과 밀집군 (85명 : 남자 42명, 여자43명)의 치열모형상에서 치아폭경을 계측하여 남녀간, 그리고 밀집군과 정상군간에 상악 및 하악의 영구 절치의 근원심 폭경합과 상악 및 하악의 편측 영구 견치 및 소구치의 근원심 폭경 합의 관계를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정상군과 밀집군에서 상악 및 하악의 영구 절치의 근원심 폭경 합에 대한 상악 및 하악의 편측 영구 견치 및 소구치의 근원심 폭경합의 비율은 남여간에 유의한 차가 없었다. 하악 영구 절치의 근원심 폭경합에 대한 하악의 편측 영구 견치 및 소구치의 근원심 폭경합의 비율은 정상군과 밀집군간에 유의한 차가 없으나 상악의 편측 영구 견치 및 소구치의 근원심 폭경합의 비율은 두 군간에 유의한 차가 있었다. 상악 영구 절치의 근원심 폭경합에 대한 상악 및 하악의 편측 영구 견치 및 소구치의 근원심 폭경합의 비율은 정상군과 밀집군간에 유의한 차가 있었다. 정상군과 밀집군에서 상악 및 하악의 영구 절치의 근원심 폭경합을 이용하여 상악 및 하악의 편측 영구 견치 및 소구치의 근원심 폭경합에 대한 최소자승법에 의한 회귀방정식을 산출하고 각의 백분률표를 작성하였다.

  • PDF

밀리미터파 대역 응용을 위한 직렬 급전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안테나 설계 (Series-Fed Microstrip Array Antenna for Millimeter-Wave Applications)

  • 김진혁;황금철;신재호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1176-117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밀리미터파 대역 응용을 위해 직렬 급전 마이크로스트립 배열 안테나를 이용하여 합 및 차 패턴을 구현하였으며, 안테나는 첨예한 빔 패턴을 가지면서도 부엽 레벨(SLL)이 -20 dB가 되도록 설계 및 제작하였다. 등간격의 직렬 급전 배열 안테나를 전송 선로 등가 회로 모델로 해석하였으며, Taylor 및 Bayliss 분포를 적용하여 합/차 패턴을 생성할 수 있는 급전 여기 전류 분포를 구하였다. 또한, 패치를 잇는 연결선의 길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최적화된 복사 패턴을 구현하였다. 35 GHz 밀리미터파 대역에서 시뮬레이션 및 실험 결과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설계한 안테나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좁은대역 스펙트럼의 차이값과 상관계수에 의한 화자확인 연구 (A Study on Speaker Identification by Difference Sum and Correlation Coefficients of Narrow-band Spectrum)

  • 양병곤;강선미
    • 음성과학
    • /
    • 제9권3호
    • /
    • pp.3-16
    • /
    • 2002
  • We examined some problems in speaker identification procedures: transformation of acoustic parameters into auditory scales, invalid measurement values, and comparability of spectral energy values across the frequency range. To resolve those problems, we analyzed the acoustic spectral energy of three Korean numbers produced by ten female students from narrow-band spectrograms at 19 proportional time points of each voiced segment. Then, cells of the first five spectral matrices were averaged to form a matrix model for each speak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um of the absolute amplitude difference in each pair of the spectral models of the ten subjects were obtained. Also, some individual matrix models were compared to those of the same subject or the other subject with a similar spectral model. Results showed that in numbers '2' and '9' subjects could not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others but in number '4' it shed some possibility of setting threshold values for speaker identification if we employed the coefficients and the sum of absolute difference. Further studies would be desirable on various combinations of the range of long-term average spectra and the degree of signal pre-emphasis.

  • PDF

열화상 영상 안정화 성능 비교 (Infrared Thermal Video Stabilization Performance Comparison)

  • 박찬혁;권혁신;강석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1-104
    • /
    • 2015
  • 영상에서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을 비교하여 얼마나 움직였는지를 나타내는 모션 벡터(motion vector)라 한다. 이러한 모션 벡터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이미지안의 객체들이 이전프레임의 이미지 객체가 있었던 위치로 보정을 한다면 손 떨림이나 카메라의 흔들림에서 오는 작은 떨림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션 벡터를 추출하는 방법인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 방정식을 이용한 블록 정합 매칭 알고리즘, 위상상관을 이용한 매칭, 특징점을 이용한 매칭, Bitplane을 이용한 블록매칭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 PDF

Temperature distribution analysis of steel box-girder based on long-term monitoring data

  • Wang, Hao;Zhu, Qingxin;Zou, Zhongqin;Xing, Chenxi;Feng, Dongming;Tao, Tianyou
    • Smart Structures and Systems
    • /
    • 제25권5호
    • /
    • pp.593-604
    • /
    • 2020
  • Temperature may have more significant influences on structural responses than operational loads or structural damage. Therefor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emperature distributions has great significance for proper design and maintenance of bridges. In this study,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of the steel box girder is systematically investigated based on the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system (SHMS) of the Sutong Cable-stayed Bridge. Specifical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mperature and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measurement points are studied based on field temperature measurements. Accordingly, the probability density distributions of the temperature and temperature difference are calculated statistically, which are further described by the general formulas. The results indicate that: (1) the temperature and temperature difference exhibit distinct seasonal characteristics and strong periodicity, and the temperature and temperature difference among different measurement points are strongly correlated, respectively; (2) the probability density of the temperature difference distribution presents strong non-Gaussian characteristics; (3)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of temperature can be described by the weighted sum of four Normal distributions. Meanwhile, the temperature difference can be described by the weighted sum of Weibull distribution and Normal distribution.

자궁선근증 환자 15명의 초음파 검사 소견, CA-125와 어혈증(瘀血證) 설문지 점수와의 상관성 규명 (A Study on Correlation of Transvaginal Sonography Findings, CA-125 and Blood Stasis Pattern for 15 Adenomyosis Patients)

  • 조준영;이창훈;조정훈;장준복;이경섭;이진무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32-143
    • /
    • 201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correlation of transvaginal sonography findings, CA-125 and blood stasis pattern for 15 adenomyosis patients. Methods: We got questionnaires from 15 patients among 243 patients who had hysterectomy related with adenomyosis in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OO medical center from April 11th 2010 to November 15th 2010, and analyzed them. We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ge, pain(VAS), duration of pain and blood stasis score, and between difference and sum of uterine walls, CA-125 and blood stasis score. For statistics, we use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PSS version 17.0 for windows. Results: The correlation between sum of uterine walls and CA-125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correlation between CA-125 and blood stasis score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 is no statistically correlation between age, VAS, duration of the pain and blood stasis score. There is no statistically correlation between difference of uterine walls and CA-125, and between difference and sum of uterine walls and blood stasis score. Conclusion: The result showed that sum of uterine walls is related with CA-125. We need a further study to develop blood stasis indicators with a validated questionnaire, and more subjects involved at multiple institutions.

트리 기반 정적/동적 영상 모자이크 (Tree-Based Static/Dynamic Image Mosaicing)

  • Kang, Oh-hyung;Rhee, Yang-won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758-76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비디오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하여 카메라와 객체 파라미터를 이용한 트리-기반 계층형 영상 모자이크 시스템을 제시한다. 장면 전환 검출을 위하여 그레이-레벨 히스토그램 차이와 평균 명암도 차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카메라 파라미터는 최소 사각형 오류 기법과 어파인 모델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두 입력 영상의 유사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차영상을 이용한다. 또한 동적 객체는 매크로 블록 설정에 의하여 검색되고 영역 분할과 4-분할 탐색에 의하여 추출한다. 동적 객체의 표현은 동적 궤도 평가 함수에 의하여 수행되고 블러링을 통하여 부드럽고 완만한 모자이크 영상을 구축한다.

Sidelobe 레벨 제어를 통한 선전원 차패턴 최적 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Synthesis of Line Source Difference Patterns by Sidelobe Level Control)

  • 박의준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4권6호
    • /
    • pp.57-63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모노 펄스 추적용 배열안테나에서 주로 사용하는 선전원에 의한 차패턴 합성법을 새로이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잘 알려진 Bayliss의 차패턴 합성법과는 달리 Taylor의 선전원 합패턴 공식을 적절히 수정하여, 원하는 개별 sidelobe 레벨을 갖는 차패턴을 최적 합성한다. 즉, 차패턴과 해당 소스 분포함수와의 관계를 해석적으로 설정하고, 패턴이 갖는 null점을 최적으로 섭동시킴으로써 원하는 패턴과 해당 소스 분포함수를 동시에 도출한다. 더욱이 이 방법은 기존의 방법보다 빠른 sidelobe 감쇠율을 가지도록 한다. 수치적인 결과들로부터 제안한 합성과정의 타당성과 유용성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