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fenoconazole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3초

Triazole계 살균제의 살포 및 훈증처리에 의한 포도 흰가루병(Uncinula nectator)의 방제 (Control of Powdery Mildew (Uncinula necator) in Vineyards by Spraying and Vapor-Action Treatments of Triazole Fungicides)

  • 오정행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16-323
    • /
    • 1996
  • 비가림재배 포도원에서 발생하는 흰가루병에 대하여 triazole계 살균제 flusilazole, myclobutanil, difenoconazole, penconazole, triflumizole, triadimefon의 방제 효과를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살균제 처리구의 이병과방율과 이병엽율은 무처리구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였고, 이들의 방제가는 과방에서 약제에 따라 94.7∼97.9%, 잎에서 85.5%∼90.9%였으며 대조약제인 polyoxin B의 방제가와 유사한 정도를 보였다. 공시살균제의 보호효과는 살균제를 병발생 1주일전에 살포하는 경우, 살포 3주 후에 방제가는 약제에 따라 72.2∼90.5%였으나 4주 후에는 21.2∼41.6%로 감소하여 대조약제 polyoxin B의 52.5%보다 감소시켰으나 myclobutanil의 발아억제 효과는 약제 농도증가에 크게 영향받지 않았다. 살균제에 침지한 cheesecloth를 포도원 선반에 매달아 조사한 공시살균제의 훈증효과는 살포농도의 2배로 처리했을 때 처리점으로부터 반경 30cm이내의 포도송이에서는 약제에 따라 57.2∼71.1%의 방제가를 보였으나 전체 식물체에서는 49.1∼65.8%로서 10일 간격으로 3회 살포한 것 보다 낮은 방제가를 보였다.

  • PDF

Chemical Control of Brown Leaf Blight in Alisma plantago Double Cropping after Early Rice

  • Shin, Jong-Sup;Kwon, Byung-Sun;Park, Hee-Ji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348-351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ntrol effect of fungicides on control of brown leaf blight, growth characteristics, and dry root yield in the cultivation of Alisma plantago after early maturing rice cropping. All fungicides treated had no effect on the growth and flowering rate of Alisma plantago. The major fungicides were mancozeb Wp, 75%, chlorothalonil Wp, 75%, dithianon Wp, 43%, difenoconazole Wp, 10%, benomyl Wp, 50%, and propineb Wp, 70%. Dry root of yield were increased largely with chlorothalonil Wp, 75%(33 g/20), fungicide than the other fungicides and control. All fungicides had no injury with standard dosage. On the other hand all fungicides had slight injury in the double dosage level for the Alisma plantago.

  • PDF

Chemical Control of Sclerotinia rot in Rapeseed Double Cropping after Rice

  • Sun Kwon-Byung;Lim June-Taeg;Jung Dong-Soo;Shin Jong-Sup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92-396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ontrol effect of fungicides of sclerotinia rot control, growth characteristics, and seed yield in the cultivation of rapeseed. All fungicides treated had no effect on the growth of rapeseed. The major fungicides were mancozeb 75% WP, chlorothalonil 75% WP, dithianon 43% WP. difenoconazole 10% WP, benomyl 50% WP, and propineb 70% WP. Dry seed yield and control were increased largely with chlorothalonil 75% WP ($33g/12{\ell}$), fungicide than the other fungicides Sclerotinia rot. All fungicides had no injury with standard dosage. On the other hand all fungicides had slight injury in the double dosage level for the rapeseed.

Selecting of Useful Chemicals Reducing of Leaf Blight on Job's Tears (Coix lachry-ma-jobi L. Var.)

  • Kwon, Byung-Sun
    • Plant Resources
    • /
    • 제8권2호
    • /
    • pp.161-166
    • /
    • 2005
  • This study was conducted evaluate the control effect of fungicides on control of Leaf blight, growth characteristics, and dry yield in the cultivation of Job's tears. All fungicides treated had no effect on the growth of Job's tears. The major fungicides were mancozeb Wp, $75\%$, chlorothalonil Wp, $75\%$, dithianon Wp, $43\%$, difenoconazole Wp, $10\%$, benomyl Wp, $50\%$, and propineb Wp, $70\%$. Dry seed yield were increased largely with chlorothalonil Wp, $75\%\;(33g/20\ell)$, fungicide than the other fungicides and control. All fungicides had no injury with standard dosage. On the other hand all fungicides had slight injury in the double dosage level for the Job's tears.

  • PDF

Comparative study on the efficiency of pesticide residue removal in foods (Perilla Leaves, Strawberries, Apples)

  • Seung-Woon Myung
    • 분석과학
    • /
    • 제37권1호
    • /
    • pp.1-11
    • /
    • 2024
  • In agricultural households cultivating vegetables and fruits, the use of various pesticides to protect crops from diseases and pests or to control weeds is widely practiced enhancing quality and productivity. However, pesticides can pose a threat to consumer health by remaining on the food surface or migrating into the food interior. Households commonly peel off skins, wash with water, or use chemical methods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cluding residual pesticides on the food surface. In this study, we measured the washing rate by comparing the pesticide concentrations before and after washing in the leafy vegetable perilla leaves and the fruits strawberries and apples, which were intentionally exposed to pesticides. We compared washing rates using tap water, a baking soda solution, and a commercially available food-specific cleaning solution. The target pesticides for analysis were azoxystrobin, bifenthrin, boscalid, difenoconazole, flubendiamide, and indoxacarb, and the residual pesticid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GC-MS/MS or LC-MS/MS. The removal rates of pesticides were highest with the food-specific cleaner, followed by baking soda and tap water in order.

목초액, 식물추출물 및 살균제를 이용한 표고골목해균인 주홍꼬리버섯 방제 (Control of Diatrype stigma Occurred on the Bed-log of Shiitake Using Wood Vinegar, Plant Extracts and Fungicides)

  • 박원철;이봉훈;가강현;조태수;이학주;이성숙;김명길;차병진
    • 한국균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2-28
    • /
    • 2006
  • 목초액, 잣나무추출물, 후추열매추출물 및 살균제를 이용해서 표고 골목에 발생하는 주홍꼬리버섯을 방제하고자 하였다. 식물추출물 선발시험결과, 목초액 35,000 ppm에서 균사생장이 완전히 억제되었고 25,000 ppm에서 자낭포자의 발아가 관찰되지 않았다. 그리고 잣나무추출물 200 ppm과 후추열매추출물 1,000 ppm에서 각각 98.9%와 95.9%의 자낭포자발아억제율을 보였다. 살균제 선발시험 결과, benomyl, carbendazim, thiabendazole 등의 최소억제농도(MIC)는 $0{\sim}0.4\;{\mu}g\;a.i./m{\ell}$였다. Difenoconazole은 $0.08%\;{\mu}g/m{\ell}$ 농도에서 자낭포자 발아를 98.9% 억제했다. 살균제에 의한 표고균사생장억제율 조사 결과, 저온성, 중온성, 고온성균주 간에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Benomyl, carbendazim, thiabendazole, thiophanate-methyl 등은 높은 농도에서도 비교적 낮은 억제율을 보였으나, tebuconazole은 $0.4\;{\mu}g\;a.i./m{\ell}$ 농도에서도 80% 이상의 억제율을 보여 표고균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초액 및 식물추출물과 살균제를 골목에 살포한 결과 목초액 150,000 ppm이 주흥꼬리버섯의 포자퇴형성 전 처리에서 72.7%의 방제가를 보였고 포자퇴형성 후 처리에서 목초액 70,000 ppm과 thiophanate-methyl 1,000 ppm이 각각 58.1%와 52.3%의 방제가를 보였다.

벼 종자에서 분리한 Fusarium속 균주들의 prochloraz에 대한 저항성 검정 및 교차 저항성 조사 (Detection for the Resistance of Fusarium spp. Isolated from Rice Seeds to Prochloraz and Cross-resistance to Other Fungicides Inhibiting Sterol Biosynthesis)

  • 신명욱;강효중;이용환;김흥태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77-282
    • /
    • 2008
  • Fusarium spp. 균주들에 대한 Prochloraz의 살균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한천희석법을 사용하여 각 균주에 대한 prochloraz의 $EC_{50}$값을 구하였다. 전체 균주에 대한 평균 $EC_{50}$값은 $0.25{\mu}g\;mL^{-1}$이었으며, 최저값과 최고값은 0.02과 $1.78{\mu}g\;mL^{-1}$이었다. Fusarium의 종별로 조사한 평균 $EC_{50}$값을 보면 F. fujikuroi의 경우가 $0.31{\mu}g\;mL^{-1}$, F. moniliformis와 F. proliferatum의 경우는 0.09과 $0.11{\mu}g\;mL^{-1}$이었다. 실험에 사용한 36개 Fusarium 속 균주의 Prochloraz에 대한 감수성과 저항성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 $EC_{50}$ 값은 $0.5{\mu}g\;mL^{-1}$가 타당하며, 이 기준에 의한 저항성 균주의 분리 비율은 13.8%이었다. Prochloraz에 대한 저항성과 Fusarium 균주의 병원성간에는 전혀 상관관계가 없었다. 또한 prochloraz에 대해서 저항성인 균주들은 triflumizole, hexaconazole, difenoconazole, tebuconazole과 교차 저항성을 보이지 않았다.

경기 지역 오이 흰가루병균(Sphaerotheca fusca)의 살균제 저항성 검정 (Screening of Fungicide Resistance of Cucumber Powdery Mildew Pathogen, Sphaerotheca fusca in Gyeonggi Province)

  • 김진영;홍순성;임재욱;박경열;김홍기
    • 식물병연구
    • /
    • 제14권2호
    • /
    • pp.95-101
    • /
    • 2008
  • 오이 흰가루병 저항성 검정을 위한 시험조건을 설정하고, 경기지역 오이 주산단지에서 분리한 흰가루병 병원균의 약제 저항성 정도와 흰가루병 방제농약의 서로 다른 계통별 저항성을 검정하기 위해 시험 약제를 농도별로 오이 잎에 살포한 잎 디스크 위에 채집한 병원균을 접종 배양하여 $7{\sim}9$일 후에 현미경을 이용, 발병도를 조사하였다. difenoconazole에 대한 약제 감수성 정도를 조사한 결과 평택 분리주들은 대체로 중도저항성이었으나, 2005년 오산에서 분리한 2개 균주들은 $300{\mu}g/ml$ 농도에서도 발병도가 높게 나타나 저항성 균주로 판단되었다. fenarimol에 대한 약제 감수성 정도는 평택, 오산, 용인 3지역이 대체적으로 중도저항성 또는 감수성으로 나타났으나, 오산에서 분리한 1개 분리주에서 $300{\mu}g/ml$에서도 발병하여 저항성 균주로 판단되었다. strobilurin 계통 농약에 대해서는 대부분 저항성으로 나타났으며, $1,000{\mu}g/ml$$2,000{\mu}g/ml$에서도 발병도의 변화가 없었으며 kresoximmethyl에 대해서도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carbendazim에 대한 흰가루병 채집 균주의 감수성은 $1,200{\mu}g/ml$에서도 발병하여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약제 계통별 오이 흰가루병 포장 시험 결과 잎 디스크시험에서 저항성을 보인 strobilurin 계통의 농약에 대한 방제가는 azoxystrobin이 41.2%, kresoxim-methyl이 29.6%의 낮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어 금후 사용량을 줄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울산과 나주에서 채집한 배나무 검은별무늬병균의 ergosterol 생합성 저해제 5종에 대한 감수성 저하 (Reduced Sensitivities of the Pear Scab Fungus (Venturia nashicola) Collected in Ulsan and Naju to Five Ergosterol-biosynthesis-inhibiting Fungicides)

  • 권수민;여무일;최세훈;김건웅;전경진;엄재열
    • 식물병연구
    • /
    • 제16권1호
    • /
    • pp.48-58
    • /
    • 2010
  •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배 재배 농가에서는 검은별무늬병과 붉은별무늬병의 방제를 위해 저항성 발달위험이 높은 EEI를 빈번하게 사용해 왔다. 검은별무늬병이 상습적으로 발생하고 EBI를 오랫동안 사용해 온 울산과 나주에서 검은별무늬 병균을 채취 하여 difenoconazole, fluquinconazole, flusilazole, fenarimol 및 hexaconazole 의 5종 EEl에 대한 감수성을 검정했다. EBI를 함유하는 배지상에서 $EC_{50}$값이 base-line의 평균값 보다 크게 높아진 균주가 산발적으로 발견되었으므로 감수설 저하 또는 저항성 균주가 분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런데 포트에 재배한 배나무 묘목에 5종의 EBI를 권장사용농도로 포트에 살포하고 3시간 동안 풍건시킨 후, 울산과 나주에서 채취한 포자를 직접 인공 접종한 결과, 울산의 5필지 중 3필지와 나주의 4필지 모두에서 채취한 균은 hexaconazole을 처리한 나무에서 무처리보다 더 높은 이병엽율을 보였으므로 그를 포장에서 채취한 균주집단에는 이 약제에 대해 고도의 저헝성을 갖는 것이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 울산의 두 과수원에서 채취한 균은 flusilazole에 대해서도 같은 반응을 보였으므로 역시 그 약제에 대해 저항성인 것으로 밝혀졌다.

트리아졸계 화합물 처리가 절화국화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iazole Compounds Treatment on Quality of Cut Flower of Dendranthema grandiflorum 'Baegkwang')

  • 김주형;김시동;이희두;김태중;윤태;백기엽
    • 화훼연구
    • /
    • 제16권1호
    • /
    • pp.57-62
    • /
    • 2008
  • 트리아졸계 화합물 처리시 화합물의 종류에 관계없이 초장과 절화장 및 절간길이가 단축되었으며 엽록소 함량이 증가되었다. 이러한 감소경향은 diniconazole $50mg{\cdot}L^{-1}$와 tebuconazole $500mg{\cdot}L^{-1}$처리시 컸다. 화수장은 diniconazole $50mg{\cdot}L^{-1}$와 tebuconazole $500mg{\cdot}L^{-1}$처리시 크게 단축되었던 반면, hexaconazole $50mg{\cdot}L^{-1}$와 bitertanol $50mg{\cdot}L^{-1}$ 처리시에는 증가되었다. 꽃목 굵기는 hexaconazole $50mg{\cdot}L^{-1}$와 myclobutanil $150mg{\cdot}L^{-1}$ 처리시 굵었으며 화폭의 경우 myclobutanil $150mg{\cdot}L^{-1}$와 bitertanol $50mg{\cdot}L^{-1}$처리시 증가되었고 tebuconazole $500mg{\cdot}L^{-1}$처리시에는 작아졌다. 생리장해 중 노심의 발생은 bitertanol $50mg{\cdot}L^{-1}$ 처리에 의해 증가되었다. 전체적으로 볼 때 diniconazole $50mg{\cdot}L^{-1}$와 tebuconazole $500mg{\cdot}L^{-1}$ 처리시는 화수장 단축 및 엽록소 함량 증가의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나, 초장과 절화장이 단축되었고 화폭이 작아지는 등의 부정적 효과도 같이 나타나 처리시 주의를 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으며, 효과의 거양을 위해서는 화합물 종류의 선별, 농도와 처리시기 및 횟수의 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