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ary protein

검색결과 3,411건 처리시간 0.025초

산란성계에서 사료 급이량 조절이 생산성과 계육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gulate in Feed Intakes on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Old Laying Hens)

  • 강환구;김찬호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05-214
    • /
    • 2015
  • 본 연구는 100주령 이상의 산란성계에서 사료 급이량 조절에 따른 생산성, 도체 수율 및 육질을 주령에 따라 평가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 동물은 100주령 Hy-Line Brown 200수를 선별하여 A형 2단 케이지에 대조구 포함 총 5처리구로 구성하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10수씩(2수 수용 케이지 10개) 난괴법으로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물은 자유 섭취하게 하였으며, 일반적인 점등관리(자연일조 + 조명; 16hr)를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대조구(일일 사료 섭취량 100%), 90%, 60%, 50%, 20% 총 5처리였다. 산란율은 사양 시험 기간 동안 일일 사료 섭취량이 감소함에 따라 산란율 및 사료 요구량은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 도체 수율 역시 사양시험 기간 동안 일일 사료 섭취량이 감소함에 따라 도체 수율 및 부분육(가슴, 다리, 날개) 비율이 유의적으로(P<0.05) 감소하였다. Leukocyte 함량은 일일 사료 섭취량이 50%, 20%일 때 WBC, HE, LY, MO 및 EO 함량의 비율이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가슴육 내 일반 성분항목, 보수력, 가열감량 및 지방산 함량에 있어서는 사양시험 기간과 일일 사료 섭취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실험 결과 일일 사료 섭취량이 감소할수록 생산성과 도체율이 감소하였으나, 일일사료 섭취량을 60% 수준까지 낮춰도 무방하다고 생각되며, 계육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식이성 폴리페놀 (-)-epigallocatechin-3-gallate가 mouse C2C12 myoblast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olyphenol (-)-epigallocatechin-3-gallate on the differentiation of mouse C2C12 myoblasts)

  • 김혜진;이원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3호통권83호
    • /
    • pp.420-42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 발현에 중요한 조절 역할을 하는 DNA 메틸화를 식이성 폴리페놀의 하나인 녹차의 대표적인 추출물 EGCG로 억제하였을 때 C2C12 myoblast 세포에 일어나는 현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smooth muscle의 지표인 transgelin, smooth muscle ${\alpha}-actin$ mRNA와 단백질이 현저히 증가함을 보였고, 형태학적으로도 smooth muscle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였다. 식이에 포함된 DNA 메틸화 억제제인 EGCG가 C2C12 myoblast를 smooth muscle로 분화를 유도하였으며, 암 예방 차원에서의 EGCG의 역할 외에 혈관질환과 같은 smooth muscle에 관련된 예방과 치료차원에서 EGCG의 역할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C2C12 myoblast를 smooth muscle로 유도하는 결정적인 신호전달 역할을 하는 유전자에 대한 연구는 수행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EGCG에 의해 변화되는 유전자에 대한 기전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beta$-1,3 / 1,6-linked glucan 첨가사료가 넙치의 비특이적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eta$-1,3/1,6-linked glucan in the diet on immune responses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by oral admimistration)

  • 원경미;김수미;박수일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9-38
    • /
    • 2004
  • glucan 첨가 사료 투여가 넙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넙치에 glucan 0 %, 0.01 %, 0.1 %, 0.5 % 첨가 사료를 연속 투여구와 격주 투여구로 나누어 공급하면서, 성장, 혈액 성분, 비특이적 면역능을 분석하였으며, 나아가 어병 세균인 Edwardsiella tarda 균의 공격 실험에 대한 방어능을 조사하였다. glucan 첨가 사료 투여는 넙치의 성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는데, 특히 0.05 % 연속 투여구와 0.1 % 격주 투여구에서 대조구보다 유의하게 높은 성장을 나타내었다. glucan 첨가사료의 투여가 넙치의 비특이적 면역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혈청 lysozyme과 전신 식세포의 활성 산소를 측정한 결과, 거의 모든 실험구에서 실험 기간 내내 대조구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glucan 첨가 사료의 투여가 넙치의 생리에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Total protein, glucose, GOT, GPT, Ht를 측정한 결과, 3주째 GPT 수치가 다소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그다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Edwardsiella tarda ($4{\times}10^6$ cells/fish) 균을 공격 실험한 결과, 0.01 % 연속 투여구를 제외한 모든 실험구에서 높은 방어력을 보였다.

나일틸라피아, Oreochromis niloticus의 비특이적 면역반응에 대한 생약재 투여 효과 (Effect of Dietary Herb Medical Stuff on the Non-specific Immune Response of Nile Tilapia, Oreochromis niloticus)

  • 황미혜;박수일;김이청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15
    • /
    • 1999
  • 연구는 어류에 각종 생약재를 투여하였을 때 나타나는 방어 능력의 변화와 질병에 대한 예방 효과를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실험의 내용은 인삼(Panax ginseng), 구기자(Lycium chinense),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의 첨가 사료를 나일틸라피아에 일정 기간 투여한 후 실험어의 성장, 비특이적 방어 능력 및 생리학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실험에 사용한 각종 생약재 중에서 체중의 증가는 구기자 3% 투여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체의 살균 능력은 모든 실험구에서 살균력이 12주째에 증강되었고 보체의 용혈 능력도 모든 생약재 투여구에서 대조구 보다 높고 특히 인삼 2% 투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라이소자임의 용균능력과 신장의 부착 식세포 활성 산소 생성 능력은 구기자 3% 투여구가 가장 높았다. 그리고 나일틸라피아에 병원성을 지닌 Edwardsiella tarda 균주로 공격 실험한 결과 구기자 3% 투여구가 생존율이 85%로 가상 높았다. Hematocrit, hemoglobin, total protein, glucose, GOT, GPT와 같은 혈액의 생리학적 지표 성분을 분석한 결과 생약재를 첨가한 사료를 먹인 실험어는 대조구와 차이가 없으며 생리적 기능 면에서 나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인삼, 구기자, 하수오, 오미자 등과 같은 생약재는 그 종류에 따라 나일틸라피아의 성장률, 각종 비특이적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능력과 병원성 세균에 대한 저항력의 증강 효과에 차이가 있지만 장기간 투여하여도 생리 기능에 문제를 야기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모든 실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실험에 사용한 각종 생약재 중에서 구기자는 가장 경제적이며, 각종 면역 기능 증강 효과가 뛰어나므로 새로운 사료내 첨가물로서의 충분한 가치가 있으며, 양식 어가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브레딩시 밀 식이섬유 첨가가 돈육 등심 돈가스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heat Fiber with Breading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Loin Cutlet)

  • 박관식;최윤상;김현욱;송동헌;이수연;최지훈;김천제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04-511
    • /
    • 2012
  • 본 연구는 밀 식이섬유(wheat fiber)를 첨가한 돈가스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밀 식이섬유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돈가스의 수분함량, 회분함량, pH 및 명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반대로 지방함량, 칼로리, 적색도, 경도, 응집성, 검성 및 씹음성은 감소하였다. 돈가스의 단백질함량, 황색도, 탄력성 및 풍미는 대조구와 밀 식이섬유를 첨가한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관능적 특성의 전체적인 항목은 밀 식이섬유 첨가구가 높은 점수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3% 밀 식이섬유 첨가한 돈가스가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또한, 밀 식이섬유를 첨가한 돈가스의 가열전 보관 시간은 2시간을 넘지 않는 것이 관능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밀 식이섬유를 첨가한 돈가스의 제조시 3%의 밀 식이섬유를 첨가할 시 돈가스의 품질이 보다 개선된 제품을 제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돈가스류 제품의 밀 식이섬유의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성이 높다고 사료된다.

테프(Eragrostis tef) 분말을 첨가하여 제조한 글루텐프리 면의 품질 특성과 검의 상관관계 (Effects of Gum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Gluten-free Noodles prepared with Eragrostis tef Flour)

  • 정기영;송가영;오현빈;신소연;김영순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1025-1034
    • /
    • 2017
  • As the consumption of wheat has increased recently, the number of people who have digestive problems resulting from gluten in wheat has also increased. Teff has an attractive nutritional profile, as it not only gluten-free but also high in dietary fiber, protein, iron, and calcium. Seven samples were prepared for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gluten-free noodles were evaluated based on pH, salinity, water absorption, turbidity, color, texture properties, tensile strength, and SEM. The pH value was the highest in TF100 with a pH of 6.66 and the lowest in the control with a pH of 6.42. Salin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samples, and it ranged from 0.02~0.04% (p<0.05). Water absorption was the highest in TFX with a value of 66.11%, and the lowest in the control with a value of 44.81%. Turbidity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samples, and it ranged from 0.14~0.21 O.D. (p<0.05). While the lightness and yellowness values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eff flour content, the redness value tended to decrease. The color difference value was the highest in the sample group without gluten. Based on the texture profile analysis, the hardness was highest in the control with a value of 46.74 N and lowest in TF100 with a value of 18.34 N. The springines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all samples. The cohesiveness was highest in the control with a value of 0.92 N. The chewiness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eff flour content. Although the control with gluten had the highest tensile strength at $3.42kg/cm^2$, TFX had considerable tensile strength at $2.30kg/cm^2$. This study demonstrated the processability of gluten-free noodles using teff flour.

한국성인과 미국성인의 영양섭취 실태 비교 연구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s between Korean and United States Adults)

  • 정진은;이정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10호
    • /
    • pp.856-863
    • /
    • 2005
  • Dietary Variety Score (DVS) or Nutrient Adequacy Ratio (NAR) offers a way of comparing eating habits across populations and across countries. This study compared nutrients intakes, food intakes, DVS, and NAR between Korean and US adults using the large national survey data. 4662 Korean adults (men: 2201, women: 2461) aged 20-49 years were selected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2001' and 4199 US adults (men: 2127, women: 2072) aged 20-49 years were selected from the 'US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IV,1999-2002)'. The total plant food intakes were high in Korean adults, but the total animal food intakes were high in US adults. Intakes of legumes and nuts, vegetables and mushrooms were higher in Korean than in US adults. On the other hand, intakes of meats, milk and dairy products of US adults were higher than Korean. Beverage intakes were 8 - 10 times higher in US adults than in Korean. The mean DVS of Korean men and women were higher than US men and women. Intakes of fat, calcium and vitamin $B\_{2}$ of US adults were 1.5 - 2 times higher than those of Korean, which could probably related to larger consumption by US adults on milk and dairy product. While the intakes of carbohydrate and vitamin C of the Korean were higher than the US adults, which could presumably related to higher grain and vegetable consumption. Percent energy intakes from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were $64.1\%$, $15.8\%$, and $20.1\%$ for Korean men, $52.4\%$, $15.0\%$, and $32.6\%$ for US men, $65.9\%$, $14.9\%$, $19.2\%$ for Korean women, and $52.1\%$, $14.7\%$, $33.2\%$ for US women respectively, which showed higher $\%$energy from carbohydrate in Korean and higher $\%$energy from fat in US adults. Most nutrient intakes except energy and vitamin C expressed as $\%$RDA were higher in US than in Korean adults. Mean Adequacy Ratio (MAR) of US men and Korean men were both 0.85, while the MAR was 0.81 for Korean women,0.79 for US women. The Korean women's diet showed more diverse and adequate than the US women's diet.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섭취빈도조사지 개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007-2009) 자료 이용 (Development of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from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 윤성하;심지선;권상희;오경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2호
    • /
    • pp.186-196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for an adult population for use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24-hour recall data for 2,939 subjects aged 19 years and over from the fourth KNHANES first year (2007) were used to extract the item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The FFQ items were developed by selection of major dishes based on the cumulative contribution rate, between-person variability based on the cumulative R2 of energy and 14 nutrients (carbohydrate, protein, fat, crude fiber, calcium, phosphorous, iron, sodium, potassium, vitamin A, thiamin, riboflavin, niacin, and vitamin C) and the number of consumers of each dish. In addition, the FFQ items were revised with analysis of 24-hour recall data of the fourth KNHANES second and third year (2008, 2009). Finally, 112 items were included in the FFQ and grouped as follows: rice (5 items), noodles and dumplings (6), breads and rice cakes (8), soups and stews (12), soybeans, eggs, meat and fish (23), vegetables, seaweed and potatoes (27), milk and dairy products (4), fruits (13), beverages (5), snacks (6) and alcoholic beverages (3). The food items of FFQ accounted for an average of 87.0% of energy and 14 nutrient intakes and also accounted for 81.7% of the between-person variability. The frequency range of the FFQ items was classified into nine categories (never or seldom, once per month, 2-3 times per month, once per week, 2-4 times per week, 5-6 times per week, once per day, twice per day and three times per day) and the portion size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small, medium and large). We expect that this developed dish-based FFQ could be used in assessment of longterm dietary intakes of Korean adults.

실천지침 이행률에 따른 대사증후군 중재 효과 비교: 직장인 남성 대사증후군을 대상으로 (Comparison of health outcomes according to intervention compliance in male Korean workers with metabolic syndrome)

  • 남경희;강지연;이연주;성숙희;장윤균;이지영;박일근;최태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2호
    • /
    • pp.156-165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how achievement of session goals contributes to outcomes of subjects after participation in a 12-week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in men with metabolic syndrome (MetS). Thirty office workers with MetS, aged $47.2{\pm}6.6$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March to July, 2011. The intervention program included face-to-face counseling five times during the 12-week period. Counselors and subjects designed session goals for each round. The average of the goal achievement rate was calculated based on compliance for each roun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ir tertiles of achievement rate: Low-compliance group (LC, < 59%), medium-compliance group (MC, 59-70%), and high-compliance group (HC, > 70%). Anthropometry, biochemical index, and nutrient intake were examined at baseline and at the end of the 12-week intervention program. After the intervention, diastolic blood pressure (DB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C group, and waist circumference (WC)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MC group. Systolic blood pressure (SBP), DBP, and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HI group. Changes in SBP and DBP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C group than in the MC group (p < 0.05, p < 0.01). Changes in LDL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HC group than in the MC group (p < 0.05). Results for intake of total energy, protein, fat, and sodium, as well as rates of carbohydrate and fat intake,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all participants (p < 0.05). The change in fib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HC group than in the MC group (p < 0.05). The change of fruit serving size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HC group (p < 0.01). The number of risk factors for Met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C and HC groups (p < 0.05), however, no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 the three groups. In conclusion, participation in this intervention program resulted in positive effects on risk factors for MetS, nutrient intake, and dietary habits, especially in the High-compliance group.

사일리지 급여가 돼지 품종별 돈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Silage on Pork Quality by Pig Breeds)

  • 김태완;강석남;정진연;김철욱;진상근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5권1호
    • /
    • pp.79-88
    • /
    • 2011
  • 연구는 사일리지 사료를 급여하였을 때 돼지 품종과 사일리지 급여 유무에 따른 등심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돼지품종은 가고시마 와타나베 흑돼지 (B), 삼원교잡종[$D(Landrace{\times}Yorkshire){\times} Duroc$], 미국산 버크셔종(A) 등에 대해 각각 시험구와 대조구 20두씩 총120두를 공시하였으며, 개시체중은 평균 $69.3{\pm}3kg$, 시험기간은 평균 $66.7{\pm}9.3$일, 출하일령은 200~210일이었다. 사일리지를 급여하지 않은 대조구 (C)에 비해 급여한 처리구 (T)가 조단백질 함량은 많았고, 육색은 밝았으며, 신선육 관능평가 시 외관, 육색, 상강도 및 전체적 기호도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고, stearic산과 oleic산은 낮고, linoleic산, arachidonic산, 필수지방산 및 필수지방산/불포화지방산 비율은 높게 나타났다. 사일리지 급여시 단맛 관련 아미노산 함량은 높은 장점을 지닌 반면 육색의 적색도는 낮고, 가열감량과 육즙감량은 많아 다즙성이 낮았으며, 육의 탄력성이 낮고 지방의 밝기는 어둡고 황색도가 높은 단점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