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ary nutrient intakes

검색결과 970건 처리시간 0.022초

제주시 지역 일부 초등학교 비만아동의 간식 섭취 실태 (Study on snack intakes in obese elementary students in Jeju city)

  • 고양숙;이유영;채인숙;이윤경;제갈윤석;박형근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0권1호
    • /
    • pp.85-97
    • /
    • 2017
  • 본 연구는 제주시 지역 일부 초등학교 4 5학년 비만아동 117명 (남자 70명, 여자 47명)과 정상체중아동 117명 (남자 70명, 여자 47명)을 대상으로 일반사항, 체중감량 관련 식행동, 간식 식습관을 조사하였으며, 더불어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식이섭취실태를 파악함으로써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간식섭취 및 균형 잡힌 영양소섭취를 위한 교육자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대상자의 평균 신장, 체중 및 비만도는 각각 정상체중아동은 143.8 cm, 38.5 kg, -0.42%이며 비만아동은 147.5 cm, 56.6 kg, 35.4%로 모두 체중군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체중군별 열량 섭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조사대상자의 체중감량 관련 식행동에서 식사량 감소 경험 유무와 살찌는 음식임을 고려하여 섭취하는 비율은 체중군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조사대상자의 총 열량 섭취 열량은 아침, 점심, 저녁, 간식이 각각 289.8 kcal, 569.0 kcal, 499.2 kcal, 325.1 kcal로, 끼니별 열량 섭취 비율은 17.2%, 33.8%, 29.7%, 19.3%로 나타났다. 특히 간식으로 섭취하는 열량은 체중군별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나, 특정 간식 음식을 섭취한 아동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을 때, 비만군이 정상체중군에 비해 사탕 초콜릿류를 유의적으로 더 많이 섭취하고 있었다. 성별과 체중군별로 간식을 섭취하는 이유로는 공통적으로 '배가 고파서'가 64.1%, '심심해서'는 12% 순으로 나타났다. 간식 섭취 횟수에서 일반 간식의 경우 정상체중군 (2.1회/주)이 비만군 (1.6회/주)보다 자주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나 학원 주변에서 섭취하는 간식의 경우에는 체중군별 차이 (1회/주)가 없었다. 일반 간식과 학교나 학원 주변 간식을 합한 총간식의 섭취 횟수는 정상체중군은 3.1회/주, 비만군은 2.6회/주로 나타났다. 일반 간식에서 자주 먹는 간식 음식은 과일 과일주스, 과자 사탕 초콜릿, 우유 요구르트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학교나 학원 주변 간식에서는 김밥 삼각김밥 떡볶이 순대, 아이스크림, 과자 사탕 초콜릿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체중군별 간식 선택 음식의 종류에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간식음식을 저열량 고영양 간식과 고열량 저영양 간식으로 구분하고, 간식 음식선택 여부와 섭취 횟수를 고려한 섭취 수준으로 비교하였을 때에는 비만군이 정상체중군보다 저열량 고영양 간식의 섭취수준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제주의 일부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은 체중군별로 비만군이 정상체중군에 비해 체중 감량을 위해 더 노력하지만, 비만군이 정상체중군보다 저열량 고영양 간식을 유의적으로 낮게 섭취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열량 저영양의 부적절한 종류의 간식음식의 섭취는 하루 세끼 식사에 영향을 미치고,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비만군 뿐만 아니라 정상체중군에서도 올바른 간식 선택 및 식행동 개선을 위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균형 잡힌 하루 세끼 식사를 충분히 섭취한 후, 부족한 부분을 간식으로 보충할 수 있도록 영양적인 측면과 관련지어 간식 섭취에 대한 적절한 교육이 학교에서 뿐만 아니라 가정연계를 통해 체계적으로 전개되어야 하겠다.

일부 도시 영세지역 노인들의 영양상태와 관련인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od Intake and Associated Factors of the Urban Poor Elderly)

  • 조봉수;김돈균;이수일;조병만;김영욱;고광욱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1호
    • /
    • pp.59-72
    • /
    • 1995
  • 부산시 해운대구 반송2동 운봉 영구임대 아파트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135명 (남자 36명, 여자 99명), 기타 지역에 거주하는 일반가정의 60세 이상 노인 136명(남자 45명, 여자 91명)을 대상으로 1994년 3월부터 8월까지 6개월에 걸쳐 영양섭취 상태 및 관련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특징 두 지역에서 성별 분포와 연령의 평균치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소득수준의 경우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대상지역이 영세지역을 나타내고 대조지역이 일반가정을 나타낸다는 가정은 충족되었다. 2. 영양섭취에 관련된 요인 지난 한 해 동안의 입원 여부나 위장관계 질환, 음주, 흡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만성질환, 투약, 비타민제 복용, 건강인식상태 등은 유의한 차이를 보여 일부 요인에 있어 대상지역의 건강관련상태가 더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3. 영양소 섭취 상태 일부 항목은 권장량을 초과하는 것도 있으나 대부분의 영양소는 섭취량이 부족하였고, 더욱이 대조지역과 비교할 때 영양상태가 유의하게 낮아 소득수준을 포함한 경제수준의 차이가 영양상태를 나타낸다는 가설을 증명할 수 있었다. 4. 식생활 관련 지식과 행동 식생활관련 지식의 경우 유의하게 대상지역이 낮았으나 행동의 경우 큰 차이가 없었다. 이는 소득 수준이 행동에 영향을 준다고 가정한 가설에 어긋나는 결과로 교육수준 등 다른 교란변수들이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볼 수 있었다. 5. 영양소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영양소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인자는 교육과 소득, 식생활 관련 지식이었으며, 대상지역의 경우 식생활 관련 지식이 영양섭취에 영향을 미쳐, 영양상태의 개선을 위해 영세지역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한 올바른 식지식에 대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중년 성인에서 혼자 식사하는 행동과 영양소 섭취, 비만 및 대사증후군 연관성 연구 : 2013~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Associations of the eating alone behavior with nutrient intake,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adults based on the 2013~201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현경;정자용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5호
    • /
    • pp.435-448
    • /
    • 2019
  • 현대 사회에서 혼자 식사하는 사람들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혼자 식사하는 식행동과 영양소 섭취 및 건강 상태와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3 ~ 2017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비만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높은 40 ~ 64세 중년층 7,728명을 대상으로 혼자 식사하는 빈도에 따른 각 영양소의 섭취수준과 비만 및 대사증후군에 대한 위험도를 남 여 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나라 중년 남녀에서 혼자 식사하는 식행동에 따른 영양 및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하루 1회 이상 혼자 식사하는 비율이 절반 이상이었으며, 남성에 비해 여성에서 혼자 식사하는 비율이 높았다. 혼자 식사하는 군은 함께 식사하는 군에 비해 낮은 소득과 교육수준, 높은 비경제활동과 흡연 비율을 나타냈다. 영양소 섭취 수준을 비교한 결과, 남성에서는 혼자 식사하는 빈도가 높을수록 단백질로부터 섭취하는 에너지 비율과 칼륨의 1,000 kcal 당일일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지방의 1,000 kcal 당일일 섭취량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여성에서는 혼자 식사하는 빈도가 높은 그룹에서 에너지를 필요추정량의 75% 미만으로 섭취하는 비율과 리보플라빈을 평균필요량 미만으로 섭취하는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남성에서 혼자 식사하는 행동에 따른 BMI와 대사증후군 구성지표의 평균을 비교한 결과, 혼자 식사하는 빈도에 따라 평균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공복혈당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교란변수를 보정하여 대사증후군과 구성지표에 대한 오즈비를 비교한 결과, 혼자 식사하는 빈도에 따라 대사증후군과 복부비만 및 혈압 상승의 위험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혈당 상승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와 반대로, 여성에서는 혼자 식사하는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룹별 평균 BMI가 감소하였으며, 보정 후 혼자 식사하는 빈도에 따른 대사증후군 및 구성지표에 대한 위험도는 유의적인 관련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는 혼자 식사하는 행동이 영양 및 건강 문제에 미치는 영향이 성별에 따라 다름을 보였으며, 중년 남성에서 혼자 식사하는 행동이 대사증후군에 대한 위험도 증가와 관련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이들에게서 칼륨과 단백질 섭취가 감소하였음을 고려하여, 혼자 식사하는 중년 남성들에 적합한 영양 관리와 식사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노인의 자연치아 수와 영양소 섭취상태와의 관련성 -2007~200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근거하여-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s of natural teeth and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in Korea -based on 2007~2009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 신보미;배수명;류다영;최용금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521-531
    • /
    • 2012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lation between the state of dental health(number of natural teeth) and nutritional status of Korean elderly using Korean Dietary Reference Intakes, which was an objective standard for nutritional intake based on database of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large scale of sample obtained by the government. Methods : Complex sampling procedure was used to analyze the fourth data(2007-2009) of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hen preparing planning file, the estimator of variance as a stratification variance (variance name : kstrata), population of survey unit as a cluster variance(variance name : PSU), and previous exam and nutritional related weighted as a weighted were analyzed by considering reproduced survey and nutritional related total weighted. Complex samples chi-square test was used to estimate the relation between number of natural teeth and inadequate intake and relation factors included in the model were analyzed by complex sampl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group of edentulous had a higher risk to intake less nutrient, except calcium, riboflavin and vitamin C than recommended level comparing to reference group which had natural teeth more than 20(phosphate : OR=1.763; 95% CI=1.273-2.443, thiamine : OR=1.748; 95% CI=1.276-2.395, protein : OR=1.610; 95% CI=1.213-2.138). Conclusions : The number of teeth in Korean elderly over 65 years old had a relation with nutritional status in this investigation. Especially, intake level of nutrients was different between the edentulous group and the reference group. Therefore, dental health care is needed from young and middle age to keep health dental condition for through whole life as well as old age. Although the dental condition of the aged is not good, it is evitable to educate them about the relation between dental health and nutritional ingestion to take balanced nutrition, we think.

Effect of Scavenging and Protein Supplement on the Feed Intake and Performance of Improved Pullets and Laying Hens in Northern Vietnam

  • Minh, Do Viet;Lindberg, Jan Erik;Ogle, Bri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7권11호
    • /
    • pp.1553-1561
    • /
    • 2004
  • Two feeding trials were conducted with 128 pullets from 4 to 20 weeks of age and 96 laying hens from 23 to 63 weeks of age to evaluate the effects of scavenging and type of protein supplement on the feed intake and performance of improved pullets and laying hens. The experiments had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ith four dietary treatments and four replicates. Treatments were: Control (Cont), scavenging but with access to a balanced concentrate at night; confinement (CF) and given the control feed ad libitum; scavenging and supplemented at night with the control feed, but with soybean meal replaced by cassava leaf meal (CLM); scavenging and supplemented at night with the control feed, but with fishmeal replaced y soybean meal (SBM). The mean daily dry matter (DMI), metabolizable energy (MEI) and crude protein intakes (CPI) of the pullets and laying hens, respectively, were 28%, and 18% higher for the confinement treatment (CF) compared to the scavenging treatments (p<0.001). The DMI, MEI and CPI of the pulle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cavenging treatments (p>0.05), but for the layers DMI, MEI and CPI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CLM and SBM treatments compared to the Cont treatment (p<0.001). In the growing period, the average daily weight gain (ADG), supplement feed conversion ratio (FCR) and supplement feed cost/kg eggs (FC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or CF compared to Cont, and among scavenging treatments (p>0.05). In the laying period, the hen-day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and supplement FCR and FC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CF compared to the scavenging treatments (p<0.001). Egg weight, and yolk, albumen and shell percentage and shape index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cavenging treatments (p>0.05). However, shell and yolk percentages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the CF compared to the Cont treatment (p<0.01). Morta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CF compared to the scavenging treatments for pullets, and was significantly lower for the CF compared to scavenging treatments for laying hens (p<0.001). It was concluded that scavenging pullets and layers were getting around 28% and 18%, respectively, of their nutrient requirements from scavenging activities, resulting in correspondingly lower supplement feed conversion ratios and feed costs. Daily gains of the pullets were not affected by scavenging or protein supplement, but egg production and mortality were lower for the confined hens.

폐경 후 여성에서 이소플라본 공급에 따른 소변 중 이소플라본 배설량 변화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Soy Isoflavone Supplementation on Urinary Isoflavone Excretion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 승정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43-1047
    • /
    • 2002
  • 이소플라본의 섭취량 측정방법에서 식품중 함량분석이 미비한 실정이기 때문에 식이섭취조사 이외에도 소변을 통한 분석방법의 이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전북 익산시에 거주하는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3개월간 이소플라본 90mg을 함유한 대두 이소플라본 추출물을 매일 1회씩 섭취하도록 하고, 실험전과 실험 후반 3일간의 식이섭취조사와 1일간의 24시간 소변을 수집하여 소변으로의 이소플라본 배설량을 측정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 25명의 평균 연령은 64.2세였으며, 신장은 149.6 cm이었고, 체중과 체질량지수는각각 58.1 kg,25.9kg/m$^2$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실험 전 열량 섭취량은 1일 평균 1337.5 kcal였으며, 이소플라본 공급기간 중에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단백질의 섭취량은 실험전 1일 평균 56.9g으로 양호한 수준을 나타내었고, 이소플라본 공급 중에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외에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C를 제외한 지질, 당질, 비타민, 무기질의 섭취량에 있어서도 실험 전과 실험 기간중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상식이중 총 이소플라본의 섭취량은 25.3 mg이었으며, 이중 다이드제인이 11.8 mg, 제니스테인이 13.5 mg이었다. 이소플라본 공급 기 간(90 mg/day)중 일상 식이를 통한 이소플라본의 섭취량은 21.5 mg으로 실험전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소플라본 공급전의 24시간 소변중 이소플라본(다이드제인과 제니스테인의 합) 배설량은 8.4 mg이었으며, 이소플라본 섭취량의 15.8%가 비례적으로 소변을 통하여 배설되었다. 매일 90mg의 이소플라본을 공급(90 mg/day)한 3개월 후에는 13.9mg으로 공급전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p<0.01).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24시간 소변을 통한 이소플라본 배설량 특히 다이드제인과 제니스테인의 측정은 이소플라본의 섭취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대상자가 수가 적고 실험기관 공급수준의 다양성이 없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좀더 많은 인원수를 대상으로 기간과 섭취수준을 달리하는 등의 지속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폐경비만여성의 골밀도와 골대사 지표 및 식사의 질 상관성 조사 (Relationship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Bone Metabolic Biochemical Markers and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DQI-I) in Postmenopausal Obese Women)

  • 정연아;김미성;신새론;한아름;서검석;손정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84-292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compared the differences of postmenopausal women's bone mineral density in relation to the degree of obesity, metabolism index and dietary factors that affect bone mineral density. Methods: The subjects included in the study are 39 postmenopausal women of normal weight with body mass index less than $25kg/m^2$ and 32 postmenopausal who are obese. Anthropometry and biochemical analysis were performed and nutrient intakes and DQI-I were assessed. Results: Normal weight women were $56.03{\pm}3.76years$ old and obese women were $58.09{\pm}5.13years$ old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between the two groups. The T-score of bone mineral density was $0.03{\pm}1.06$ in normal weight women and $-0.60{\pm}1.47$ in obese women and thi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p<0.05). Blood Lepti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normal weight women ($6.09{\pm}3.37ng/mL$) compared to obese women in ($9.01{\pm}4.99ng/mL$) (p<0.05). The total score of diet quality index-international was $70.41{\pm}9.34$ in normal weight women and $64.93{\pm}7.82$ in obese women (p<0.05). T-score of bone mineral density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percentage of body fat (r = -0.233, p=0.05), BMI (r = -0.197, p=0.017), triglyceride (r = -0.281, p=0.020) and leptin (r = -0.308, p=0.011).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performed as the method of entry showed that with 22.0% of explanation power, percentage of body fat (${\beta}=-0.048$, p<0.05), triglyceride (${\beta}=-0.005$, p<0.05) and HDL-cholesterol (${\beta}=0.034$, p<0.01), moderation of DQI-I (${\beta}=-0.231$, p<0.05) affected T-score significantly.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obese women have less bone density than those with normal weight women. In addition, the factor analysis result that affect bone mineral density showed that intake of fat is a very important factor. Therefore, postmenopausal women need to maintain normal weight and manage blood lipid levels within normal range. They also need to take various sources of protein and reduce consumption of empty calorie foods that have high calories, fat, cholesterol and sodium.

이유자돈의 사료 첨가제로서 Copper Chelates(메치오닌, 키토산, 효모)의 효과 (Effect of Copper Chelates(Methionine-Cu, Chitosan-Cu and Yeast-Cu) as the Supplements to Weaning Pig Diet)

  • 김병한;임희석;남궁환;백인기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1호
    • /
    • pp.49-56
    • /
    • 2003
  • 본 시험은 이유자돈사료에 Cu-chelates를 첨사시 자돈의 생산성과 혈액지질 및 IgG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4주령 된 이유자돈 48마리(암 수 각 24마리)를 4처리 4반복으로 반복 당 3마리씩 암수 구별하여 실시하였다. 본 시험에서 사용된 대조구 사료에는 137ppm의 구리가 함유되어 있으며 각 처리구는 대조구사료에 methionine-Cu chelate, chitosan-Cu chelate와 yeast-Cu chelate를 Cu 100ppm 수준에서 각각 첨가하였다. 5주간의 사양기간 동안 증체량은 개체 단위로, 사료섭취량은 pen 단위로 매주 측정을 하였다. 일당 증체량, 사료 섭취량, 사료효율 그리고, 영양소 이용률은 모두 처리간에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 내 triglyceride 함량은 chito- san-Cu 처리가 methionine-Cu나 yeast-Cu 처리보다 유의하게 낮았으나 대조구와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 내 cholesterol 함량은 yeast-Cu 처리가 대조구와 methionine-Cu 처리보다 유의하게 낮았지만 chitosan-Cu 처리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청 IgG의 함량은 대조구 보다 모든 Cu-chelate 처리구에서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Cu 137ppm의 대조구 사료에 Cu 100ppm 수준에서 첨가한 Cu-chelates는 이유자돈의 증체량, 사료섭취량과 사료효율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혈청 내 지질의 조성과 IgG 함량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체육전공과 체육비전공 남자대학생의 식이섭취 실태조사 및 혈청 지질 함량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rum Lipid Levels and the Dietary Intake of Physical Education Major and Non-Major Male Students)

  • 최경아;김명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667-674
    • /
    • 2003
  • The paper examines the effect of physical exercise on blood lipid with young male students. Our analysis is based on the body measurement, food intake and blood lipid component for 70 male students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who either major in physical exercise (group A) or do not major in physical exercise (group B). The average weight of group A is 71.97 $\pm$ 10.79 kg while that of group B is 67.57 $\pm$ 8.66 kg. The former i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e latter. The SBP of group A (128.20 $\pm$ 11.40 mmHg) is significantly (p<0.001) higher than that of group B (136.27 $\pm$ 13.18 mmHg). In terms of the intake of total kcal, group A marks significantly higher than group B; group A goes with 2190.26 $\pm$ 581.96 kcal and group B goes with 2392.94 $\pm$ 769.03 kcal.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hree nutrient intake shows that the intake proportions for group A are carbohydrate 55.08 $\pm$ 6.03%, protein 15.58 $\pm$ 2.75%, and lipid 29.34 $\pm$ 5.16% while the intake proportions for group B are carbohydrate 57.29 $\pm$ 8.09%, protein 15.62 $\pm$ 3.26%, and lipid 27.10 $\pm$ 6.90%. For group A, the vitamin B$_1$ intake amounts to 1.50 $\pm$ 0.5 mg which fulfills 100% of RDA, and the niacin intake amounts to 16.57 $\pm$ 5.54 mg N.E which is less than RDA. In contrast, both intakes for group B are more than the RDA. In the case with minerals except calcium, both group A and B mark more intake than RDA. Group A's calcium intake is 517.12 $\pm$ 200.63 mg and group B's is 409.56 mg. The total cholesterol intake for group A is 447.00 $\pm$ 245.08 mg which i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for group B with 352.35 $\pm$ 200.25 mg. The total cholesterol in the lipid of serum is 151.30 $\pm$ 12.92 mg/dl for group A and 182.30 mg/dl for group B, where the dominance of group B over group A is true at the level of significance 0.01. In the case with triglyceride, group A is 107.57 $\pm$ 31.60 mg/dl and group B is 108.07 $\pm$ 33.93 mg/dl so that the group difference is non-significant. The HDL-cholesterol for group A is 54.67 $\pm$ 6.49 mg/dl which is significantly higher (p<0.001) than for group B with 36.13 $\pm$ 4.64 mg/dl. We conclude that regular exercise may have an effect on blood lipid metabolism among young males.

알레르기 질환을 가진 초등학교 고학년의 식생활·환경적 요인 및 성장과의 관련성 분석 (Risk Factors for Allergic Diseases in School-Aged Children)

  • 민선애;조미진;박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9호
    • /
    • pp.1387-1394
    • /
    • 2013
  • 본 연구는 대구 지역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알레르기 질환 환자군과 대조군으로 분류한 후, 알레르기 유병과 관련이 있는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고 알레르기 유병여부에 따른 대상자의 성장 수준 및 영양 섭취 상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대조군과 비교하여 환자군의 어머니 교육수준이 더 높았으며, 부모 및 형제의 알레르기 질환 유병 비율이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둘째, 환자군이 대조군보다 출생 순위가 더 낮은 경향을 보였고, 출생 당시 질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와 이유식 섭취 후 부작용을 경험한 비율이 더 높았다. 셋째, 현재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반영하는 최근 병원 진료 경험 빈도와 감기 및 소화질환 경험 빈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환자군에게서 더 높은 경향을 보였다. 넷째, 아동의 알레르기 질환 위험을 높이는 가장 강력한 요인은 부모 및 형제의 알레르기 질환력이었다. 전 세계적으로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위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