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etary Ca

검색결과 758건 처리시간 0.021초

구운 마늘의 이화학적 성분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Baked Garlic)

  • 이재준;이현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75-583
    • /
    • 2011
  • 구운 마늘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구운 마늘의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 성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건물량 기준으로 수분 5.30%, 조단백질 36.89%, 조지방 12.60%, 조회분 4.36%, 식이섬유소 2.88% 및 탄수화물 37.97%였다. 구성당은 총 6종의 유리당 중 galactose 61.59 mg/100 g만이 검출되었으며, 구성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함량이 5,275.00 mg/100 g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aspartic acid, arginine, ammonia, lysine, proline, valine, leucine 순이었으며 총 아미노산에 대한 필수아미노산의 비율은 36.60%로 나타났다. 구성 지방산은 linoleic acid, oleic acid, lauric acid 및 linolenic acid가 구운 마늘의 주요 지방산으로 전체 지방산의 96.50%로 나타났고, 불포화지방산이 85.22%로 포화지방산에 비하여 약 5.8배 높게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산은 총 3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는데, 이 중 oxalic acid 함량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benzoic acid, formic acid 순이었었다. 비타민 A, C 및 E의 함량은 각각 0.064 mg/100 g, 1.452 mg/100 g 및 0.037 mg/100 g로 모두 미량 검출되었으며, 비타민 C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은 K 함량이 980.80 mg/100 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다음으로 Mg, Ca 순이었으며 Na, Zn, Fe는 미량 검출되었다. 총 polyphenol, flavonoids 및 thiosulfates 함량은 각각 2.85 mg/100 g, 0.97 mg/100 g 및 0.61 OD/g 이었다.

모시잎의 이화학적 성분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Ramie Leaves (Boehmeria nivea L.))

  • 박미란;이재준;김아라;정해옥;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53-860
    • /
    • 2010
  • 모시잎 분말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모시잎 분말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수분 함량 5.42%, 조단백질 28.15%, 조지방 6.95%, 조회분 15.27% 및 탄수화물 54.79%를 함유하였다. 총식이섬유소 함량은 39.66 g/100 g이며, 그 중 불용성 식이섬유소와 수용성식이섬유소 함량은 각각 20.32 g/100 g와 19.34 g/100 g로 나타났다. 구성당은 glucose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lactose, galactose 순으로 총 3종이 검출되었다. 구성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함량이 2,432.53 mg%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glutamic acid, leucine, histidine, phenylalanine, valine, alanine 순이었다. 유리 아미노산은 asparagine이 983.57 mg%로 가장 많아 총 유리 아미노산 함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그 외에는aspartic acid, ${\gamma}$-amino-n-butyric acid, valine, phenylalanine, alanine, threonine, phosphoserine 순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으로 구성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 함량은 caproic acid methyl ester가 58.23%, pentadecanoic acid가 41.77% 검출되었으며, 불포화지방산은 극미량으로 검출되었다. 비타민 함량 분석으로 항산화 비타민 A, E 및 C의 함량은 각각 0.0194 mg%, 0.0184 mg% 및 0.1833 mg%로 검출되었으며, 비타민 C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을 분석한 결과, Ca 함량이 3,135.20 mg%로 가장 많았으며, K이 1,434.60 mg%였고 다음으로 Mg, Na, Mn, Fe, Zn, Cu 순으로 검출되었고 Zn과 Cu의 함량은 미량으로 나타났다. 유기산은 총 3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succinic acid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citric acid, male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산지별 고초균 발효누에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Water Extracts from Bacillus subtilis-fermented Silkworm (Bombyx mori L.) Powder by Origin)

  • 김태훈;안희영;김영완;심소연;서권일;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470-1478
    • /
    • 2017
  • 본 연구는 건강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서 활용하기 위해 부안, 남원 및 보은의 산지별 누에분말을 단백질 분해능이 뛰어난 Bacillus subtilis KACC 91157 균주로 발효시켜 제조한 발효누에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구성 아미노산 함량은 부안 누에군(BU)에서 가장 높았으나, 발효 후에는 보은 발효누에군(BBO)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미네랄 함량은 K, Ca, Mg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나, Na가 가장 높은 미네랄 함량의 증가율을 보였다. DPPH를 통한 자유라디칼 소거능과 혈전용해 효소활성은 발효 전에 비하여 발효누에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BBO군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전립선암 세포(LNcaP)와 유방암 세포(MCF-7) 성장 저해능은 BBO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LPS 처리 RAW 264.7세포의 NO생성 억제활성 역시 BBO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산지별 고초균 발효누에 추출물을 비교해본 결과 보은 누에가 건강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서 활용할 가치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여대생의 체지방률에 따른 식이섭취와 혈중지질농도, 철분지표 및 항산화능 (Dietary Intake, Serum Lipids, Iron Index and Antioxidant Status by Percent Body Fat of Young Females)

  • 배현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323-333
    • /
    • 200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and compare nutrient intak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serum indices by percent body fat as one of the index of obesity degree in female college students. Additionally we attempted to investigate percentile distribution of fat free mass index (FFMI) and fat mass index (FMI) for developing reference values for these two parameters. The subjects were 91 female college students who were classified to 4 groups according to the percentile of percent body fat (Group1: 25 th < percentile of percent body fat, Group 2 : 25 th ${\le}$ percentile of percent body fat < 50 th, Group 3 : 50 th ${\le}$ percentile of percent body fat < 75 th, Group 4 : percentile of percent body fat ${\ge}$ 75 th). The mean percent body fat and body mass index were 28.2%, $20.5 kg/m^2$ respectively. The mean energy intake was 1707 kcal(81% of KDRIs) and vitamin C, folate, Ca and Zn intake were 73.9%, 54.7%, 79.6%, 97.5% of KDRIs respectively. Most nutrient intake (energy, carbohydrate, cholesterol, fatty acid, Ca, Fe) of G4 was lower than that of G1, G2 and G3. Serum HDL-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G4 than G1, G2, G3 and it tended to increase as percent body fat decreased. LDL/HDL, A1 of G4 were significantly the highest among the 4 groups and increased as percent body fat increased. The mean fat free mass index and fat mass index were $14.5 kg/m^2$, $6.0 kg/m^2$ respectively. The criteria of sarcopenic obesity which has been defined as under 25 th percentile of FFMI and below 75 th percentile of FMI were shown $12.8 kg/m^2$, $8.2 kg/m^2$ respectively in this study. In conclusion, we should continue to more systematically research on the studies of new obesity measurement which includes FFMI and FMI as one of the variables. And the public education for weight control that emphasizes both the understanding of body composition and the importance of nutrition balance is also required.

숙성온도를 달리한 섬쑥부쟁이 김치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Aster glehni Kimchi during storage at different fermentation temperatures)

  • 김은미;김건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16
    • /
    • 2004
  • 국내산 식용식물자원 중 민간요법에서 천식 및 이뇨효과로 알려진 섬쑥부쟁이의 이용 증진을 위해 일반적인 품질 특성과 섬쑥부쟁이 김치의 숙성에 따른 변화특성을 살펴보았다. 섬쑥부쟁이의 일반적인 품질 특성을 조사한 결과 색도는 Hunter L값 34.23$\pm$2.80, a 값 -10.89$\pm$1.80, b값은 13.29$\pm$2.51이었으며, shearing force는 4701.2g이었다. Tannin 함량은 100.9 ppm이었으며 섬유소와 무기성분 함량은 섬유소가 37 1%이었고, Ca 6.93mg/kg, K 45.36mg/kg, Mg 1.70mg/kg, Fe 0.36mg/kg, Na 1.26mg/kg으로 K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섬쑥부쟁이 김치는 4$^{\circ}C$와 2$0^{\circ}C$ 저장모두에서 Hunter L, a, b값이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그 변화는 4$^{\circ}C$ 저장이 완만하게 나타났다. pH는 김치가 발효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산도는 pH 변화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며 증가하였으며 발효온도가 높은 2$0^{\circ}C$에서 상승속도는 빠르게 나타났다. 비타민 C의 함량도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감소율이 높게 나타나 2$0^{\circ}C$는 저장 5일에 85%, 4$^{\circ}C$는 저장 30일에 73%가 감소하였다. 환원당은 저장기간 동안2$0^{\circ}C$와 4$^{\circ}C$에서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감소하였다. 관능검사결과와 pH, 산도 변화 등과 관련지어 볼 때 2$0^{\circ}C$ 저장은 발효초기 1∼3일, 4∼ 저장은 발효 20일 이전이 적숙기임을 알 수 있었다.

일부 성인남녀의 무기질 (Ca, P, Fe, Na, K, Zn) 섭취와 혈압 및 혈중 지질과의 관련성 (Relation among Mineral (Ca, P, Fe, Na, K,Zn) Intakes, Blood Pressure, and Blood Lipids in Korean Adults)

  • 최미경;이원영;박정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10호
    • /
    • pp.827-83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 among mineral intakes, blood pressure, and blood lipids for health management of Korean adults over 20 years old. Subjects were recruited from the district where they lived, which included rural (Yoju, n = 137) , coastal (Taean, n = 100) , and urban district (Suwon, n : 117) . hnthropornekical measurement, blood pressure measurement, dietary intake assessment using 24-hour recall method, and blood collection and analysis of blood lipids were conducted. The average age, height, weight, and BMI were 54.1 years, 168.5 cm, 67.3 kg, and 24.5 kg/$m^{2}$ for men and 53.9 years,153.8 cm,59.2 kg, and 25.0 kg/$m^{2}$ for women, respectively. The mean daily intakes of total food and energy were 1219.1 g and 1740.9 kcal for men and 1071.3 g and 1432.6 kcal for women. The mineral intakes of men and women were 448.5 mg and 400.4 mg for calcium,955.3 mg and 803.7 mg for phosphorus, 13.3 mg and 11.1 mg for iron, 4302.8 mg and 3393.3 mg for sodium,2588.0 mg and 2264.9 mg for potassium, and 8.9 mg and 7.3 mg for zinc. The daily intakes of energy, calcium, zinc, vitamin $B_{2}$, and vitamin I were $76.1\%$, $60.1\%$, $73.1\%$, $68.6\%$, and $80.4\%$ of RDAs, respectively. The intakes of energy, calcium, zinc, vitamin $B_{2}$ and I were not meet Korean RDAs. Especially, calcium, zinc, and vitamin $B_{2}$ were less than $75\%$ of RDAs. Blood pressure of the subjects was 128.3/75.5 mmHg for men and 124.1/73.7 mmHg for women. Serum lipids of men and women were 180.2 mg/dL and 184.9 mg/dL for total cholesterol, 160.8 mg/dL and 137.6 mg/dL for triglyceride,41.5 mg/dL and 44.7 mg/dL for HDL-cholesterol,106.6 mg/dL and 112.7 mg/dL for LDL-cholesterol, and 3.5 and 3.3 for atherogenic index. While serum triglyceride and AI of men was significantly higher, HDL-cholesterol was lower than those of women. In the relation among mineral intakes,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s, we found a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of intakes of calcium, calcium/phosphorus, calcium density with systolic blood pressure. There were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take of calcium/phosphorus and serum cholesterol, calcium density and serum cholesterol, sodium intake and serum HDL-cholesterol.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high intakes of calcium, calcium/phosphorus and low sodium intake were associated with favorable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 profiles in adult men and women. (Korean J Nutrition 38(10): 827$\sim$835,2005)

단백질원으로 어분이 첨가된 조피볼락 실험사료의 비타민 혼합물 평가 (Evaluation of Supplemental Vitamin Premix in a Test Diet Containing Fish Meal as Protein Source for Juvenile Korean Rockfish (Sebastes schlegeli))

  • 이상민;김선명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59-166
    • /
    • 1996
  • 조피볼락용 실험 대조사료에 적합한 비타민 혼합물을 검토하기 위해, 평균체중 4.25 g의 치어를 대상으로 실험 사료마다 3반복으로 사육 실험하여 성장효과 및 체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실험사료는 단백질원으로 casein과 탈지 북양어분을, 탄수화물원으로 a 및 b형 감자전분을, 지질원으로 EPA와 DHA가 $85\%$ 함유된 정제유와 corn oil을 사용하여 기본사료를 제조하였다. 기본사료에 첨가될 vitamin 혼합물은 모두 4종류를 준비하였는데 premix-1에 첨가한 혼합물은 Halver (1957)가 제안한 처방 수준으로, premix-2에는 수산청 (1995)에서 제시한 수준으로, premix-3은 다른 어종들을 대상으로 연구된 결과 (NRC, 1983, 1993 ; Halver, 1972)를 토대로 요구량이 대부분의 어종에 충족되도록, premix-4는 각각의 비타민이 몇몇 어종의 최소요구량에 가깝도록 배합하여 준비하였다. 10주간 사육 실험한 결과, premix-1이 첨가된 실험구가 다른 실험구보다 증중율, 사료효율 및 영양소 축적율이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그 외 세 실험구들은 서로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근육 및 전어체의 일반성분, 간의 지질 함량 및 간 조직 성상은 사료의 비타민 혼합물에 특별한 영향을 받지 않았다. 본 실험의 결과로부터, pre-mix-1에 배합된 비타민 혼합물은 필수영양소의 요구량을 구명할 때 대조구(positive control diet)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토양 pH가 배추(Brassica rapa ssp. campestris)의 영양성분과 기능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pH on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ssp. campestris))

  • 이조은;왕평연;김경연;김성한;박수형;황용수;임용표;이은모;함인기;조만현;안길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3호
    • /
    • pp.353-362
    • /
    • 2010
  • 비닐하우스의 낮은 pH 토양(pH6.2)과 노지의 높은 pH 토양(pH7.6) 의 pH 차이가 배추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3종 배추의 기능성 성분과 영양성분을 분석하였다. 낮은 pH 토양에서 재배된 배추는 높은 pH 토양에서 재배된 배추에 비하여 펙틴, 조단백질, 비타민 C, 비타민 E의 함량이 현저히 높았으며 회분과 무기질(Ca, Fe, Na, Mn) 또한 높았다. 그러나 환원당, 셀룰로오스, 조지방의 함량은 낮은 pH 토양의 배추가 높은 pH 토양의 것 보다 40-50% 낮았다. 글루코시놀레이트의 일종인 gluconasturtiin(18.33 vs. $1.16nmol{\cdot}g^{-1}$ wet weight)과 gluconapin(145 vs. $2nmol{\cdot}g^{-1}$ wet weight) 은 높은 pH 토양의 배추에서 낮은 pH 것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본 연구 결과 낮은 pH 토양에서 재배된 배추는 펙틴의 함량이 높고 셀룰로오스의 함량이 낮아 조직감이 좋으며 단백질, Ca, Fe, vitamin C와 E의 함량이 높아 영양성분이 향상 되었으나 높은 pH 토양에서 재배된 배추는 환원당과 글루코시놀레이트의 함량이 많아 맛과 항암성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Evaluation of Antioxidant Status and Correlation among Antioxidant Indices in Female College Students

  • Kim, Jung-Hee;Heajoon Ahn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5권1호
    • /
    • pp.13-20
    • /
    • 2003
  • This study was done to evaluate the antioxidant status of female college students by determining their intakes and plasma levels of antioxidnt vitamins (vitamin C, A and E) and total antioxidant status (TAS). Subjects were 46 healthy female college students aged 20 - 29 years. Body composition was determined by a multifrequenc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Dietary intakes were examined by 24hr record method and nutrients intakes were analyzed by the Computer Aided Nutritional analysis program for professional (CAN-pro). Plasma vitamin C level were measured by spectrophotometric method and retinol, ${\beta}$-carotene, ${\alpha}$-tocopherol were measured by HPLC. Plasma TAS was measured with a Randox kit using the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method. Daily energy and protein intakes of the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1670.5㎉ (83% of RDA) and 63.3g (115.1% of RDA), respectively. However their intakes of Ca and Fe were below 75% of RDA. Their intakes of vitamin A and C were 596.6 ${\mu}$ gRE (85.2% of RDA) and 71.0mg (101.4% of RDA), respectively. Plasma levels of vitamin C, retinol, ${\beta}$-carotene and ${\alpha}$-tocopherol were 14.7mg/L, 0.7mg/L, 0.2mg/L and 9.1mg/L, respectively which were within normal range. There was no subject with deficiency or marginal level in plasma vitamin A and C. However 1.6% of the subjects had below adequate level in vitamin E. Plasma TAS level was 1.2mmol/L. Correlation data showed that all plasma antioxidant vitami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lasma TAS. Overall data indicate that the antioxidant status of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pretty good. However it might be necessary to educate them to eat more fruits and vegetables for preventing many chronic diseases in a later life. (J Community Nutrition 5(1) : 13∼20, 2003)

보리순의 영양성분과 항산화 효과 (Nutrient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Young Barley Leaf)

  • 손희경;이유미;이재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851-862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young barley leaf(YBL). YBL powder(all w/w) was 2.98% moisture, 17.13% crude protein, 4.00% crude fat, 10.72% crude ash, and 65.17% carbohydrate. The contents of total, insoluble, and soluble dietary fiber were $36.62{\pm}2.33$, $19.05{\pm}1.04$, and $17.57{\pm}1.01g/100g$, respectively. The essential and non-essential amino acids contained in the YBL powder accounted for 46.56% and 53.44% of the total amino acids, respectively. The major unsaturated fatty acid was linolenic acid. The ratio of polyunsaturated fatty acids to saturated fatty acids was 4.84. Only tartaric acid was detected. The contents of vitamins A, C, and E were 0.761, 398.05, and 0.936 mg%, respectively. The mineral contents of YBL powder were in the order of Na$IC_{50}$ value fo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of the YBL ethanol extract was $365.74{\pm}6.98mg/mL$. The antioxidative index was high and was similar to that of t-butylated hydroxytouene. These results suggest that YBL can be recommended as a baby vegetable of high nutritional quality and antioxidative proper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