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dicyclopentadiene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디엔제3성분단위체(第三成分單位體)가 EPDM가황체(加黃體)에 미치는 영향(影響)

  • Baek, Nam-Cheol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v.14 no.3
    • /
    • pp.161-168
    • /
    • 1979
  • 이 논문(論文)의 목적(目的)은 열적안정성(熱的安定性) 및 내노화성면(耐老化性面)에 있어서 디엔제3성분단위체(第三成分單位體)(diene termonomer)의 각각(各各)의 종류(種類)가 EPDM의 중합체(重合體)의 성질(性質)에 미치는 효과(效果)를 구명(究明)하는데 있다. 제3성분단위체(第三成分單位體) 5종(種)으로 각각(各各) 다음과 같다. 즉, ethylidene norbonene(ENB), butadiene(BD), dicyclopentadiene(DCPD), methyltetrahydroindene (MTHI) 및 1,4-hexadiene(HD)이다. 이들을 써서 만든 각각(各各)의 EPDM은 동(同)몰의 불포화도(不飽和度)로 만들어졌다. 또한 가황계(加黃系)는 동일(同一)한 황/촉진제계(黃/促進劑系)를 사용(使用)하였다. ENB-EPDM이 순(純)고무배합체(配合體) 및 충전제함유배합체(充塡劑含有配合體)의 가황(加黃)에 있어서 모두 함께 가장 빠른 가황속도(加黃速度)를 보였다. HD-EPDM은 순(純)고무배합체(配合體)에서 가황속도(加黃速度)가 가장느렸으나 충전제함유배합물(充塡劑含有配合物)에서는 DCPD-EPDM보다는 발랐다. BD-EPDM을 제외(除外)한 이들 중합체(重合禮)는 거의 같은 초기가교밀도(初期架橋密度)를 갖는다. 가교밀도(架橋密度) 및 가교형(架橋型)을 분석(分析)하여 보면 BD-EPDM 쇄(鎖)에서 부타디엔 단위(單位)는 블럭을 이루고 있다. 또한 HD-EPDM은 순(純)고무가황체(加黃體) 및 충전제배합가황체(充塡劑配合加黃體)에 있어서 원가교결합(原架橋結合)의 50%가 monosulfide의 구조(構造)를 가지고있다. 이외(外)의 4종(四種)의 EPDM 폴리머는 보다 낮은 monosulfide구조를 가진다. $177^{\circ}C(350^{\circ}F)$의 노화온도(老化溫度)에서 ENB 및 HD폴리머는 약(約) 65% monosulfide 가교(架橋) 및 거의 동일(同一)한 파괴에너지값$(E_b)$을 가진다. 그러나 1,4HD의 원가교(原架橋)의 monosulfide 구조함량(含量)이 보다 높다고 해서 그의 내노화성(耐老化性)이 다른 폴리머보다 더 좋다고는 생각되지 않는다. DCPD는 $177^{\circ}C(350^{\circ}F)$의 노화온도(老化溫度)에서 똑같은 monosulfide가교(架橋)를 가지나 노화온도(老化溫度)가 $259^{\circ}C(500^{\circ}F)$로 높아짐에 따라 monosulfide 함량(含量)도 증가(增加)한다. $550^{\circ}F(287.7^{\circ}C)$의 노화온도(老化溫度)에서는 EPDM폴리머의 모든 가교(架橋)가 monosulfide구조가 되나 전가교밀도(全架橋密度) 및 $E_b$ (신장률(伸長率), 절단시(切斷時)의)는 대단(大端)히 낮은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산화(酸化)에 의한 노화(劣化)에 기인(基因)되는 것으로 보인다. 질소기류(窒素氣流)속에서의 TGA의 분석결과(分析結果)를 보면 EPDM 가황체(加黃體)는 $800\sim935^{\circ}F(427\sim502^{\circ}C)$의 온도범위(溫度範圍)에서 분해(分解)되며 공기중(空氣中)에서는 $750\sim935^{\circ}F$ 범위(範圍)에서 분해(分解)한다.

  • PDF

Effect of Bio-Sulfur Modified by Slaked Lime on Cement Hydration Properties (소석회에 의해 개질된 바이오 황이 시멘트 수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

  • Woong-Geol Lee;Lae-Bong Han;Sung-Hyun Cho;Pyeong-Su Lee;Myong-Shin Song
    •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 /
    • v.11 no.4
    • /
    • pp.509-516
    • /
    • 2023
  • The use of sulfur(S) in concrete has been variously studied as a way to improve salt resistance in concrete. However, sulfur is a solid material and is difficult to powder, which has disadvantages in its usability as an admixture or mixture for cement and concrete. For these problem, polymers such as dicyclopentadiene have been used to modify sulfur, but this also exists in a sticky state after modifying and does not improve the fundamental problem. So, reforming sulfur with slaked lime and the effect on cement hydration was examined by reforming sulfur with slaked lime,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Depending on the reaction conditions, slaked lime modified bio-sulfur exists in a slurry state containing unreacted sulfur, unreacted slaked lime, calcium-sulfur(Ca-S) compounds and water. When slaked lime modified bio-sulfur is used as a cement mixture, salt resistance of concrete with slaked lime modified bio-sulfur is to be superior to that of plain concrete. This is believed to be because structure of cement hydrates with slaked lime modified bio-sulfur is to be more dense to that of plain cement hydrates by the continued presence of ettringite and can be used as a cement mixture in concre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