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chlorvos

검색결과 49건 처리시간 0.024초

바퀴에 대한 Dichlorvos(DDVP)의 누대도태, 교차저항성 및 효소활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elections, the Cross-Resistance and the Eserase Activity in the Strain of German Cockroack, Blattella germanica L.Selected with dichlorvos)

  • 이형래;김정화;방종렬;최관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74-80
    • /
    • 1994
  • 바퀴에 대한 dichlorvos(DDVP) 약제로 11세대 누대 도태한 계통에 대한 저항성 유발정도, 교차저항성 및 효소활성을 조사한 결과는 반수치사농도 비교시 감수성에 비하여 8.58배 증가하였고 교차정항성은 chlorpyrifos, propowur, fenvalerate 와 permethrin 약제에서 각각 3.35, 4.09, 2.83 및 2.00배의 저항성을 보였으며 효소활성은 filter paper testdptjrka수성 대비 33%가 증가하였고 전기영동시험에서는 4개의 band인 esterase-1,2,4 및 7 band 가 확인되었다.

  • PDF

Dichlorvos 증기(蒸氣)의 지속적(持續的) 흡입(吸入)이 인체(人體) 및 가계(家鷄)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potential hazard of dichlorvos-resin vaporizing insecticide in human and domestic fowl)

  • 오정섭;홍사악;임정규;김명석;신상구;윤효인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5-59
    • /
    • 1975
  • Safety study of the continuous releasing dichlorvos-resin insecticide $(Mopari^{\circledR})$ was conducted in human volunteers and domestic fowls. For the purpose, the potential hazards in using the insecticide were observed in terms of the inhibition of plasma cholinesterase activity and the changes in the liver function (GOT, GPT, Alkaline phosphatase, Bilirubin, Thymol turbidity), the blood picture (RBC, WBC with differential count, Hemoglobin, Hematocrit and ESR) and the urine picture (sugar, albumin, pH and microscopic findings) in 40 healthy adult volunteers and 60 leghorn domestic fowls. In case of the human study the observation was continued for 2 months during the application of the insectiside ($1{\sim}3$ solid formulations/$30m^3$) in the living rooms of ordinary Korean dwelling houses or in the office. In the animal test, however, 1 to 5 solid formulations of the insecticide were applied in the fowl cage of $9.2m^3$ for 5 weeks. Any significant inhibition of the plasma cholinesterase activity was not observed in both the human volunteer and the fowl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And the liver function as well as the blood and urine pictures were also not changed after exposure to the vaporizing insecticide. It is considered from the result that the amount of dichlorvos released into the air by the continuous vaporizing dichlorvos-resin insecticide presents no significant hazardous effect on humans or animals in the present experimental condition.

  • PDF

바퀴에 대한 처리방법에 따른 살충제 감수성 (Susceptibilities of German Cockroach, Blattella germanica to Insecticides According to Application Methods)

  • 한종빈;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41-247
    • /
    • 2004
  • 시판되고 있는 61종 살충제에 대한 식이법으로 바퀴(Blattella germanica) 수컷성충의 우수 살충제를 탐색하고, 활성이 있는 약제를 이용하여 처리부위와 검정법에 따른 감수성 차이와 발현속도를 비교하였다. 식이법에서 $90\%$ 이상의 살충률을 나타낸 세 약제중에서 dichlorvos, fenitrothion, fipronil약제를 선발하여, 식이법과 여지접촉법으로 살충력을 비교한 결과, dichlorvos와 fenitrothion은 여지접촉법에서, fipronil은 식이법에서 더 높은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처리부위(머리, 가슴, 배, 다리)에 따라서는 dichlorvos와 fenitrothion은 머리처리에서, fipronil은 가슴처리에서 감수성이 가장 높았다. Fenitrothion과 fipronil의 $LT_{50}$(일)은 각각 1.05와 0.98로 속효성이었으며, boric acid와 hydramethylnon은 각각 3.92와 2.26으로 지효성이였다.

국내시판 살충제에 대한 미국선녀벌레의 감수성 (Susceptibility commercially of North American planthopper, Metcalfa pruinosa to commercially registered insecticides in Korea)

  • 안기수;이관석;이경희;송명규;임상철;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329-334
    • /
    • 2011
  •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의 방제약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시판되고 있는 31종 살충제의 성충에 대한 살충 활성을 조사하였다. 모든 시험은 살충제의 추천농도(ppm)로 수행하였다. 성충에 대해 직접 분무 처리한 결과, 100%의 살충 효과를 보인 약제는 유기인계 5종(dichlorvos, fenitrothion, fenthion, methidathion, phenthoate), 카바메이트계 1종(methomyl), 합성피레스로이드계 4종(${\alpha}$-cypemethrin, deltamethrin, fenpropathrin, ${\gamma}$-cyhalothrin), 네오니코티노이드계 5종(acetamiprid, clothianidin, dinotefuran, imidacloprid, thiamethoxan), 그리고 기타 약제 1종(endosulfan) 등 총 16종이었다. 분무처리에서 100%의 살충률을 보인 약제를 대상으로 기주식물을 침지 처리하고 성충을 접종한 결과, 100%의 살충률을 보인 약제는 유기인계 5종(dichlorvos, fenitrothion, fenthion, methidathion, phenthoate)과 endosulfan 등 6종이였다. 잔효성 시험에서 유기인계인 fenitrothion, fenthion, methidathion, phenthoate은 처리 후 1일째까지 100%의 살충률 나타내었고, 약제처리 3일 후에 90% 이상의 약제는 fenitrothion, methidathion, phenthoate이었다.

집파리에 대한 Chlorpyrifos, Dichlovos 및 Permethrin의 저항성 유발과 교차저항성 (Resistance Development and Cross-Resistance of Chlorpyrifod, dichorovs and Permethrin-Selected House Fly (Musca domestica L.))

  • 이용규;김정화;이형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66-172
    • /
    • 1994
  • 집파리를 chlorpyrifos, dichlorvos 및 permethrin 등 3종의 살충제로 누대도태하여 저항성 유발과 교차저항성을 조사하였다. chlorpyrifos, dichlorvos 및 permethrin으로 11세대 누대도채한 계통의 저항성 비는 감수성계통의 암컷에 비하여 42.0배, 3.8배 및 18.7배로 증가하였고, 수컷에서는 42.0배, 4.1배 및 16.4배이었다. chlorpyrifos 도태계통은 permethrin에서 암.수컷 각각 7.5배와 9.6배로 다른 살충제보다 높은 교차저항성을 보였으나, propoxur 에 대해서는 역상관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dich-lorvos도태계통은 chlorpyrifos에서 암.수각각 13.3배와 15.9배로 높은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permethrin 도태계통에서도 chlorpyrifos에 대해서 암.수 각각 8.7배와 9.7배로 비교적 높은 교차저항성을 보였다.

  • PDF

Determination of Trichlorfon Pesticide Residues in Milk via Gas Chromatography with μ-Electron Capture Detection and GC-MS

  • Hem, Lina;Khay, Sathya;Choi, Jeong-Heui;Morgan, E.D.;El-Aty, A.M. Abd;Shim, Jae-Ha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149-155
    • /
    • 2010
  • The pesticide trichlorfon is readily degraded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 to dichlorvos. A method has therefore been developed by which residues of trichlorfon in milk are determined as dichlorvos, using gas chromatography with ${\mu}$-electron capture detection. The identification of dichlorvos was confirmed by mass spectrometry. Milk was extracted with acetonitrile followed by centrifugation, freezing lipid filtration, and partitioning into dichloromethane. The residue after partitioning of dichloromethane was dissolved in ethyl acetate for gas chromatography. Recovery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at 0.5, 1.0, and 2.0 of times the maximum permitted residue limits (MRLs) for trichlorfon in milk. The average recoveries (n = 6) ranged from 92.4 to 103.6%. The repeatability of the measurements was expressed as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RSDs) ranging from 3.6%, to 6.7%.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were 3.7 and $11.1{\mu}g/l$, respectively. The accuracy and precision (expressed as RSD) were estimated at concentrations from 25 to $250{\mu}g/l$. The intra- and inter-day accuracy (n = 6) ranged from 89.2% to 91% and 91.3% to 96.3%, respectively. The intra- and inter-day precisions were lower than 8%. The developed method was applied to determine trichlorfon in real samples collected from the seven major cities in the Republic of Korea. No residual trichlorfon was detected in any samples.

뽕잎중 잔류농약의 monitoring 및 안전성 평가 (Monitoring of the residues of some pesticides in mulberry leaves and their safety evaluation)

  • 이재구;권정욱;안기창;문재유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45-52
    • /
    • 1998
  • 농약에 의한 오염가능성이 있는 뽕잎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뽕나무에 등록되어 있는 유기인계 살충제 dichlorvos, acephate, phenthoate와 유기인계 살균제 pyrazophos, 그리고 뽕나무에 등록되어 있지 않지만 인근 포장으로부터 비산오염될 가능성이 있는 pyrethroid계 살충제 deltamethrin과 cypermethrin에 대하여 2년간 그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1996년의 봄시료의 일부에서 검출된 dichlorvos, acephate 및 phenthoate의 잔류량이 각각 $0.018{\sim}0.032$, $0.013{\sim}0.072$, 및 0.051 ppm이었고, pyrazophos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검출빈도는 각각 29, 58 및 4%이었다. 반면 가을시료에서는 dichlorvos, acephate, 및 phenthoate의 잔류량이 각각 $0.012{\sim}0.048$, $0.020{\sim}0.156$, 및 $0.018{\sim}0.050$ ppm이었고, pyrazophos는 역시 검출되지 않았으며, 그 검출빈도는 각각 42, 17 및 13%이었다. 1997년의 봄시료의 일부에서 검출된 dichlouos, acephate 및 cypermethrin 잔류량이 각각 $0.014{\sim}0.064$, $0.033{\sim}0.061$, 및 $0.019{\sim}0.068$ ppm이었고, deltamethrin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검출빈도는 각각 75, 13 및 8%이었다. 반면 가을시료의 일부에서는 dichlorvos, acephate, 및 cypermethrin의 잔류량이 각각 $0.013{\sim}0.062$, 0.015, 및 $0.009{\sim}0.013$ ppm이었고, deltamethrin은 검출되지 않았으며, 그 검출빈도는 각각 88, 4 및 17%이었다. Cypermethrin이 고농도 (0.068 ppm)로 검출된 뽕잎시료 (No. 10, 1997 봄)를 제외한 대부분의 시료는 누에에 무해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phenthoate의 잔류분석에서는 GC column의 적절한 선택과 온도의 조절을 통하여 분리 및 확인이 애매한 화합물들을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었다.

  • PDF

Rat의 Dichlorvos의 독성에 미치는 Synethrin의 영향 (Effect of Synethrin on the Toxicity of Dichlorvos in Rat)

  • 홍사욱;박찬보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7권3_4호
    • /
    • pp.37-55
    • /
    • 1992
  • Effect of Synethrin on the Toxicity of Dichlorvos in Rats. Hematological, biological and enzymatic effects were investigated in rats treated with DDVP and synethrin. Mutagenicity was also examined. In serological analysis, LDH and ALP were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rats treated with the mixture of DDVP (10mg/kg) and synethrin (250mg/kg) than with either DDVP or synethrin. DDVP alone slightly increased cytochrome P-450 in the liver while synethrin or the mixture decreased it. Lipid peroxid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liver when rats were treated with both DDVP and the mixture. Cholinesterase activity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liver and serum when treated with DDVP as well as with the mixture. In mutagenicity test, DDVP was shown to be weakly positive to TA 97a, TA 100 and TA 102, but negative to TA 1537. Synethrin showed negative in all strains tes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ixture of DDVP and synethrin increased the toxicities but not the mutagenicity.

  • PDF

뽕잎중(中) 유기인계농약(有燐燐系農藥)의 잔류성(殘留性)과 잠독성(蠶毒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Persistence of Organophosphorus Insecticides in/on Mulberry Leaves with Reference to Silkworm Mortality)

  • 오병렬;김영구;박영선;이병무;백현준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6-21
    • /
    • 1984
  • 기린계(有機燐系) 살충제(殺蟲劑)인 dichlorvos 유제(乳劑)(50%), fenthion 유제(乳劑)(50%), fenitrothion 유제(乳劑)(50%) 및 phenthoate 유제(乳劑)(47.5%)의 뽕잎중(中) 잔류성(殘留性)과 이들 잔류수준(殘留水準)이 누에에 대한 사충률(死蟲率) 및 수견양(收絹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무강우조건하(無降雨條件下)에서 포장시험(圃場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Fenitrothion, fenthion, phenthoate의 뽕잎중(中) 반감기(半減期)는 $2{\sim}3$일(日)의 범위(範圍)이었고 dichlorvos는 8시간(時間) 내외(內外)이었다. 뽕나무의 재배시기별(栽培時期別) 뽕잎중(中) 농약잔류기간(農藥殘留期間)은 봄재배(栽培)의 경우(境遇)가 가을재배(栽培)보다 길었다. 누에에 안전(安全)한 적엽전(摘葉前) 농약철포(農藥撤布) 완료일(完了日) 은 dichlorvos유제(乳劑)는 3일(日), fenitrothion유제(乳劑)는 20일(日), fenthion유제(乳劑)와 phenthoate유제(乳劑)는 15일(日)이었다. 뽕잎중(中) 농약잔류수준(農藥殘留水準)으로부터 누에의 사충률(死蟲率)을 예측(豫測)할 수 있는 각약제(各藥劑)의 관계식(關係式)과 누에에 안전(安全)한 뽕잎중(中) 농약(農藥)의 최대(最大) 잔유허용량(殘留許容量)을 설정(設定)하였다.

  • PDF

콩나물 재배중 잔류농약 함량에 미치는 오존수 처리 효과 (Effect of Ozone Water on Pesticide-Residual Contents of Soybean Sprouts during Cultivation)

  • 김순동;김일두;박미자;이윤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77-283
    • /
    • 2000
  • 콩나물의 성장은 콩의 수침 및 주수시 용존오존농도 0.3 ppm으로 처리하였을때가 가장 양호하였다. 콩의 수침시 용존오존농도 0.3 ppm으로 30분간 처리하여 5일간 재배한 콩나물의 배축신장도는 무처리보다 19%가 높았으며 시루당의 총중량은 27%가 증가하였다. 반면에 뿌리의 중량은 27%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수침시와 주수시 처리와 수침시 처리 사이의 성장도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Carbendazim, captan, diazinon, fenthion, dichlorvos 및 chlorpyrifos 등 6종의 농약을 $4.75{\sim}8.35\;ppm$으로 오염시킨 콩의 수침과정 및 5일간 재배중의 잔류농약의 자연분해율은 $85{\sim}99%$였으나 주수시 0.3 ppm의 오존수로 처리하였을 때는 $89{\sim}100%$, 수침시와 주수시에 처리하였을 때는 $94{\sim}100%$이였다. 또 농약별 오존수에 의한 분해율은 captan>dichlorvos>fenthion>carbendazim>diazinon>chlorpyrifos순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