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butyltin Dichloride (DBTC)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초

정전가미이진탕(正傳加味二陳湯)이 Dibutyltin Dichloride(DBTC)로 유발된 흰쥐의 췌장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Jengjengamiyjin-tang on Pancreatitis induced by DBTC in Mouse)

  • 최흥민;김학재;한이수;임성우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8권3호통권71호
    • /
    • pp.273-288
    • /
    • 2007
  • Objectives : We examined the effect of Jengjengamiyjin-tang, a traditional herbal formula, on the experimental pancreatitis induced by Dibutyltin Dichloride(DBTC). Methods : 15 mice were divided into 3 groups; the norm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hich were administered water only after pancreatitis elicitation and the test group which were administered Jengjengamiyjin-tang for 7 days after pancreatitis elicitation. Results : In the activities of amylase, lipase and alkaline phosphatase in serum, the test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fter 21 days. In the common morphology and histochemical study, various injuries by hemorrhagic erosion were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while the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test group. In the immunohistochemical study, the manifestation of COX-1, 2, HSP27, HSP70, MAC387, Ki-67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14th day in the test group, however, they increased in the 21st day more than the control group(p<0.05). Conclusion :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supposed that Jengjengamiyjin-tang has anti-inflammatory effect on the experimentally induced pancreatitis and may be applicable to pancreatitis especially in the acute stage.

  • PDF

야콘(Smallanthus sonchifolius) 추출물이 흰쥐의 췌장 섬유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Extract on Pancreatic Fibrosis in the Rat)

  • 최난희;김종봉;김진택;박인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904-911
    • /
    • 2012
  • 야콘(Smallanthus sonchifolius)은 저혈당에 민간요법으로 이용해 오고 있는 구근작물이다. 최근에는 야콘잎이 항산화, 항균, 항진균 활성과 세포보호 기능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는 이러한 생리활성을 지니는 야콘잎을 이용하여 흰쥐에 DBTC (8 mg/kg)를 주사하여 췌장염을 유발시킨 후 1% 야콘추출물이 췌장의 섬유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유발 21일째 처리군에서 췌장의 실질조직의 많은 부분이 collagen으로 재구성되어 있었으나 유발군에서는 처리군에 비해 현저히 감소되어 있었다. COX-2 발현에서, 대조군은 반응이 나타나지 않거나 매우 약한 반응이었으나, 유발군에서는 14일째 매우 증가되었으며, 특히 21일째는 침윤하고 있는 많은 염증세포에서 COX-2의 발현이 확인되었다. 처리군은 유발군에 비해 발현이 감소되었다. TGF-${\beta}1$ 발현은 21일째 염증세포에서는 유발군이 처리군에 비해 현저한 증가 현상이 나타났으나, 샘꽈리세포에서의 TGF-${\beta}1$의 발현은 처리군에서 증가되었다. VEGF 발현은 TGF-${\beta}1$의 발현과 거의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야콘추출물이 DBTC로 유도된 췌장염의 섬유화 진행을 억제하는데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