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meter at breast height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19초

전남 신안군 한반도해송숲의 곰솔 수세약화 원인 분석 (Causes of Weakening Tree Vigor of Pinus thunbergii in Hanbando Coastal Forest in Shinangun, Jeollanamdo Province)

  • 김선화;박석곤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98-407
    • /
    • 2021
  • 한반도해송숲의 지형환경, 기상조건, 토양 이화학적 성질과 곰솔의 생육상태를 조사해, 이곳 곰솔의 수세약화 원인을 찾아내고자 했다. 곰솔의 수세가 불량하거나 고사한 지역(수세불량지)과 대조구로서 곰솔의 생육상황이 양호한 지역(수세양호지)으로 나눠 조사했다. 그 결과, 수세불량지의 입목밀도는 수세양호지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지만, 수관폭은 반대로 수세양호지에서 더 넓었다. 고사목 개체수와 입목밀도는 서로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또 입목밀도와 흉고직경·수고·수관고(crown height)·수관폭 사이에서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입목밀도가 높으면 개체의 수관이 겹쳐 하부 가지가 죽어 수관고와 수관폭이 작아졌다. 이에 엽량 감소에 따른 광합성량이 줄어들어 수고와 직경의 생장량이 적어졌다고 본다. 이로 인해 수세가 약해지면서 해안사구라서 수분·양분의 부족과 강한 조풍 등의 환경압이 가중되어 해안가 근처의 곰솔이 대규모로 죽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반도해송숲의 고사목 발생과 수세약화 원인은 복합적이지만, 곰솔 생장에 따른 적정한 입목밀도 관리 부족이라는 내부요인을 제1 요인으로 꼽을 수 있다. 또 곰솔 생육에 불리한 토양조건과 조풍, 강풍 등의 환경압을 제2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Temporal Change in Vertical Distribution of Woody Vegetation on the Flank of Sakurajima Volcano, Southern Kyushu, Japan

  • Teramoto, Yukiyoshi;Shimokawa, Etsuro;Ezaki, Tsugio;Lim, Young-Hyup;Kim, Suk-Woo;Chun, Kun-Wo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2권3호
    • /
    • pp.270-279
    • /
    • 2016
  • This study explained vertical distributions and growth environments for woody vegetation. It had been degenerated by long-term volcanic activity of Sakurajima; vegetation and thicknesses of tephra layers and forest soils were investigated at 5 sites (250-700 m in altitude) with different altitudes localized at the northwestern-northern flanks of Sakurajima in Kagoshima Prefecture. The results in 2015 were compared with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woody vegetation in 1963, when the volcanic activity of Sakurajima was relatively moderate. Thus, we investigated temporal changes i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woody vegetation owing to volcanic activity over about 50 years (1963-2015). We indicated altitude decreased, the number of woody vegetation, number of species, sum of cross-sectional area of tree diameter at breast height, Fisher-Williams's diversity index ${\alpha}$, and forest soil thickness increased. However, these values were found to be degenerated when compared to climax forest values, and succession was incomplete. It seems that because the woody vegetation of the flank was affected by volcanic activity for a long time, exposing them to severe growth environments, areas with lower altitudes became distant from the craters of Sakurajima, thereby weakening the effect of volcanic activity in these areas at lower altitudes. a at the same altitudes over about 50 years (1963-2015) decreased by about 31-72%, and the sum of the cross-sectional area in tree diameter at breast heights decreased by about 14-62%. Thus, comparative growth environments for woody vegetation in 2015 were more severe than that of 1963, with respect to tephra layer thickness. In addition, for vegetation succession in the flank of Sakurajima, vegetation restoration should be promot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rtificial woody plants covered by symbiotic microorganisms or organic materials.

국가산림자원조사를 이용한 혼효림의 입지환경 탐색 및 임분수확량 추정 (Detection of Site Environment and Estimation of Stand Yield in Mixed Forests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 정성엽;임종수;이선정;송정은;박효근;이정빈;염규진;손영모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1호
    • /
    • pp.83-92
    • /
    • 2023
  • 본 연구는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우리나라 혼효림에 대한 산림 입지조건을 탐색하고 임분의 생장 및 수확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혼효림의 생장은 흉고직경, 수고, 흉고단면적을 변수로 하는 Chapman-Richards 모델을 적용하여 식을 도출하였으며, 수확량은 흉고단면적, 지위지수, 임령, 입목밀도 등의 인자를 단계적회귀분석 적용으로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국내 혼효림은 다양한 입지에 생육하고 있었는데, 기후대별로는 온대중부권역에 과반수 이상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해발고별로는 101~400 m 지역에 약 62%가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령을 설명변수로 하는 혼효림 생장모형의 적합도(FI)는 흉고직경 0.32, 수고 0.22, 흉고단면적 0.18로 도출되어, 다소 낮은 적합도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추정식의 실측치와 추정치 간의 관계 그래프 및 잔차 등을 고려할 때, 임령을 설명변수로 이용하는 추정모형의 사용은 특별한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혼효림의 수확모형은 여러 생장인자 중 흉고단면적(BA), 지위지수(SI), 임령(Age)이 단계적으로 투입되는 회귀식 Stand volume =-162.6859+6.3434 ∙ BA+9.9214 ∙ SI+0.7271 ∙ Age이 도출되었으며, 식의 설명력 (R2)은 약 96% 였다. 앞서 도출된 최적의 생장 및 수확모형을 이용하여 임시 임분수확표가 만들어 졌다. 또한 임시 임분수확표 자료를 활용하여 혼효림의 재적수확최대벌기령을 도출하였다.

상수리나무임분의 낙엽낙지량과 임분특성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Litterfall Amounts and Stand Attributes in a Quercus accutissima Stand)

  • 김춘식;박진영;변재경;정재엽;신현철;이상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02-106
    • /
    • 2008
  • 상수리나무임분을 대상으로 산림지역에서 쉽게 측정이 가능한 임목밀도, 평균 흉고직경, 평균 수고, 흉고단면적합 등의 임분특성과 낙엽낙지량과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임분 특성은 꽃과 기타물질을 제외하고 낙엽낙지 구성성분과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 20개월의 조사기간동안 낙엽낙지 구성성분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낙엽량의 경우 흉고단면적합과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임목밀도도 낙엽량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흉고직경의 경우 임목밀도의 영향을 많이 받기때문에 임목밀도의 결과와 유사하며, 평균 수고와 낙엽량의 경우도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숙한 상수리나무임분의 경우 임관이 울폐되어, 여러 가지 임분특성이 낙엽낙지량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기 때문으로 그 결과 낙엽낙지량의 년 변화도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서 번식하는 참매 Accipiter gentilis 의 영소지 및 둥지 특성에 관한 연구 (Studied on Habitat and Nest Characteristic of the Breeding Goshawk [Northern Goshawk] Accipiter gentilis in South Korea)

  • 이진희;이인균;백충렬;조삼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83-92
    • /
    • 2013
  • The present study documented the characteristics of habitats and nests of Goshawk [Northern goshawk] Accipiter gentilis breeding in Gongju-si, Chungcheongnam-do and Haepyung, Kyungsangbuk-do, Eumsung-gun, Chungju-si, Chungcheongbuk-do from April 2007 to August 2011. Breeding habitat includes of mixes and deciduous trees and ravine forest, ranging from small to large areas and it used make a new nest and fix up the old nest at Goshawk. Goshawk make nests on Japanese larch Larix leptolepis, Japanese red pine Pinus densiflora and Pitch pine Pinus rigidae of $15.8{\pm}2.36m$ (range=7.4~18.7m) in height and $34.6{\pm}7.38cm$ (range=20.8~47.4cm) in diameter-at-breast height (DBH). It has $135.8{\pm}3.37cm$ in outer diameter of nest, $26.2{\pm}2.39cm$ in inner diameter, $7.1{\pm}1.41cm$ of depth, and $3.1{\pm}0.40Kg$ of weight. Breeding habitat (n=13) has 5~7 nests. It has 7 (53.8%) nest in fix up the old nest and 4 (30.8%)nests in make a new nest.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Plant Resources of Pyrus and Malus sp. in Jindong Valley, Gangwon Province

  • Ahn, Young-Hee;Chung, Kyu-Hwan;Choi, Kwang-Yool;Park, Dae-Sik
    • Plant Resources
    • /
    • 제4권3호
    • /
    • pp.130-139
    • /
    • 2001
  • Four major naturally populated areas around the Jindong valley in Inje-Gun, Gangwon province for wild Pyrus ussuriensis, Malus sieboldii, and Malus baccata are mostly located on the southeast side of the mountains at 630-745m in altitude at sea level and are in very good sunny areas. The total of 77 taxa dividing into 32 families, 58 genera, 65 species, and 12 varieties has been inhabited in these areas. Most of these plants are heliophytes, which love sunshine, but some of rhizo-plants such as Sasa borealis, climbing plants such as Actinidia arguta and Celastrus orbiculatus, or naturalized plants like Bidens frondosa are also shown. These areas have been continually destroyed, so it is possibly thought that the second transition has been progressed. The index of species diversity of plant groups in these areas is 0.672∼1.465 based on the Shannon-Wiener's method, but its index for the area that rhizo-plants like Sasa borealis are growing as an under planting decreases relatively. In this study, the oldest plant of Pyrus ussuriensis in Korea, which is 120cm in diameter at breast height (DBH), 19m in tree height and 25m in width, has been found.

  • PDF

삼림의 생산구조와 생산력에 대한 연구 I. 리기다소나무 조림지에 대하여 (Studies on the Productivity and the Production Structure of the Forests I. On the Productivity of Pinus rigida Plantation)

  • 김준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4권4호
    • /
    • pp.19-26
    • /
    • 1971
  • The sample stand of Pinus rigida plantation was chosen from those at the Choongnam Forest Experiment Station, Choongnam.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 (D) and the height of tree (H) of each tree in the sample plot of 200$m^2$ were measured yearly a from 1967 through 1969. The stand was 12.7-13.4cm in mean diameter and had a stand density of 2,150 trees per ha. The trunk, branches and leaves of each sample tree were separately weighed according to the stratified clip technique. The allometric relation between D2H and dry weight of trunk (Ws), branches (Wb) and leaves (Wl) were approximated by $$W_s=0.05917 (D^2H)^{0.837}$$ $$W_0=0.00655 (D^2H)^{0.989 }$$ $$W_l=0.04466(D^2H)^{0.690}$$ From the above, the standing crops in the sample stand was estimated to be as much as 76.7, 81.7 and 88.2 tons of dry matter, above ground, per ha in 1967, 1968 and 1969, respectively. Annual net production, as the sum of the biomass newly produced during one year, was estimated at 4.97-5.47 tons per ha per year. The respiratory and the photosynthetic rate deduced from theoretical calculations were 0.045 and 0.74kg of dry matter per kg per year. Tentative estimate of annual respiratory loss was made and annual gross production was roughly estimated at 4.4-4.7 and 10.7-12.9 tons of dry matter per ha per year. The ratio of respiratory loss to gross production was approximately 36-41:1.

  • PDF

국내외 조경식물의 규격 및 품질기준 비교분석 (A Comparison of the standard and instruction for grade and quality of Landscape Plants in foreign countries and korea)

  • 권영휴;김석진;박채란;한상균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17권1호
    • /
    • pp.73-84
    • /
    • 2015
  • Comparison of the standard and instruction for grade and quality of landscape plants between Korea and foreign countries indicates that the individual country characteristically develops and uses their own standards for landscape plants. Ultimate aim of these regulations is to develop the standard of landscape plants classified by kinds, types and purpos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andscape plants.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of standards and instructions for landscape plants between Korea and other countries such as Germany, Switzerland, America, Canada and Japan. Our results indicated that Korea and Japan used the diameter at 1.2m above from ground surface for the diameter at breast height(DBH) whereas Germany and Switzerland at 1.0m above from ground surface. In case of America and Canada, the standard of landscape plants included crown width, height and DBH of plants. In Germany, the standard for creeping plants and herbaceous flowers was determined by the type and the root size of plants with the standard of containers(seven to eleven types). This research would be helpful for developing the practical and environmentally suitable guideline for the grade and quality of landscape plants and also for developing the standardized distribution structures and cultivation techniques for landscape plants in Korea.

국내 산림의 간벌에 따른 직경 생장량 및 탄소 저장량 변화에 관한 메타 분석 (A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Forest Thinning on Diameter Growth and Carbon Stocks in Korea)

  • 이종열;한승현;김성준;이소혜;손영모;손요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527-535
    • /
    • 2015
  • 본 연구는 간벌에 따른 국내 산림의 직경 생장량과 탄소 저장량(임목, 고사목, 낙엽층, 토양)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관련 결과들을 메타 분석한 것이다. 메타 분석 결과 간벌에 의하여 직경 생장량과 토양 탄소 저장량은 각각 39.2% 및 12.8% 증가하였고 임목 탄소 저장량은 30.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고사목과 낙엽층 탄소 저장량은 간벌에 따른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직경 생장량과 임목 탄소 저장량은 간벌 강도 및 회복 시간(간벌 후 시간의 경과)과 상관 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낙엽층 탄소 저장량은 회복 시간과 상관 관계를 보였으나, 고사목과 토양 탄소 저장량은 간벌 강도 및 회복 시간과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간벌 강도와 회복 시간에 따른 직경 생장량과 임목 탄소 저장량의 회귀식을 개발하였다. 고사목, 낙엽층 그리고 토양 탄소 저장량은 간벌 강도와 회복 시간과의 상관 관계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이들의 변화를 정량화하기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임목 탄소 저장량 회귀식과 산림 탄소 모델의 연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간벌에 의한 산림의 변화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 대상 수종 확대, 장기 모니터링 및 측정 주기 단축, 그리고 하층 식생 조사 등을 제언하였다.

맹종죽(孟宗竹) (Phyllostachys pubescens) 임분(林分) 내(內) 지상부(地上部) 생체량(生體量) 및 지하부(地下部) 양분(養分) 함량(含量) 추정(推定) (Estimation of Aboveground Biomass and Belowground Nutrient Contents for a Phyllostachys pubescens stand)

  • 황재홍;정영교;이상태;김병부;신현철;이경재;박규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3호통권160호
    • /
    • pp.161-167
    • /
    • 2005
  • 맹종죽의 지상부(죽간, 가지, 잎) 및 지히부(지하경, 뿌리) 부위별 현존량과 낙엽층 및 토양 내 양분 함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경상남도 진주시 내 맹종죽 임분을 대상으로 $20m{\times}20m$ 표본지 조사구 3개를 설치한 후 입죽 밀도 및 임분 구조 등을 조사한 다음 발순 연도별 3본씩의 맹종죽을 벌채한 후 흉고직경변수 모형을 적용하여 생체량 추정 대수회귀식 (log Y=a + blogX)을 조제하였다. 조사지 맹종죽 임분 지상부 전체 생체량은 69.7 ton/ha였으며, 지하경 및 뿌리 생체량은 13.7 ton/ha과 7.5 ton/ha로 각각 조사되었다. 전체 지상부 생체량 중 죽간은 약 60%, 엽은 24%, 가지는 16%를 차지하였다. 한편, 흉고직경이 굵어질수록 전체 생체량 중 죽간이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하였다. 죽간의 건중량 대 생중량 비는 시료 채취 부위가 올라갈수록 또한, 죽령이 증가할수록 연차적으로 증가하였다. 맹종죽 임분 내 낙엽층의 양분 분포는 질소가 45.1 kg/ha로 가장 높았고, 칼슘>칼륨>마그네슘>인산>나트륨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하경의 양분은 질소와 칼륨이 가장 많았고, 마그네슘, 나트륨, 칼슘 순이었다. 뿌리의 양분은 칼륨이 가장 많았으며 질소와 인산 순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맹종죽 임분 내 탄소 저장량 계량화 및 확대를 위한 관리 방안 도출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