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iacetyl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25초

두유(豆乳)에서 젖산균의 생육(生育)과 대두(大豆)요구르트의 향미(香味)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n Soy Milk and Flavor of Soy Yogurt)

  • 문승애;김영배;고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8-123
    • /
    • 1986
  • 농축대두단백으로 두유를 만들고 여기서 Lactobacillus acidophilus, L. bulgaricus, L. casci, Streptococcus lactis or S. cremoris를 각각 접종하여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을조사하고 커드상의 대두요구르트로부터 액상(液狀)의 젖산균음료를 제조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후에 두유와 대두 요구르트에 들어 있는 몇가지 휘발성분을 측정하였다. 생육 실험의 결과를 보면 두유에 접종된 5종의 젖산균가운데 산생성은 대체적으로 L. bulgaricus가 가장 높았고 다음은 L. casci, L. acidophilus, S. lactis, S. cremoris의 순이었다. 관능검사의 결과를 보면 대두젖산균음료의 향미(香味)는 우유젖산균음료의 향미(香味)보다 떨어졌으며, 대두젖산균음료 중에는 산생성도가 가장 높은 L. bulgaricus로 만든 젖산균음료의 향미(香味)가 가장 우수하였고 산생성도가 가장 낮은 S. lactis로 만든 젖산균음료의 향미(香味)가 가장 저조하였다. 두유와 대두젖산균음료의 향미(香味)를 비교할 때 대두젖산균음료의 향미(香味)가 훨씬 우수하였으며, 젖산균발효에 의하여 두유에 들어 있는 n-hexanal은 크게 감소하였고 diacetyl이 새로이 생성되었다.

  • PDF

우유와 과즙으로 만든 발효유의 휘발성 향기 성분 (Volatile Aroma Compounds of Fermented Milk Prepared from Milk and Fruit Juices)

  • 고영태;강정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84-191
    • /
    • 1998
  • 사과쥬스-우유 혼합시료와 포도쥬스-우유 혼합시료를 L. acidophilus (KCTC 2182)로 21시간 발효시키면서 휘발성 향기 성분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발효에 의해 생성된 diacetyl과 acetoin은 6시간 또는 12시간에 처음 탐지되기 시작하여 12시간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인 후, 그 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시료중에 원래 존재하던 acetone과 butanol은 발효 과정에서 점차 감소하였다. 시료 중에 원래 존재하기도 하고, 발효에 의해 생성되기도 하는 ethanol의 함량은 사과쥬스-우유 혼합시료의 경우는 18시간에 가장 높았으며 그 후에는 다소 감소하였고, 포도쥬스-우유 혼합시료의 경우는 발효 전(全) 기간에 걸쳐서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 18시간이 다른 시간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보였다. 사과쥬스에서는 ethanol이, 포도쥬스에서는 ethanol과 acetone의 경우 실험 결과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높은 양이 검출되었다.

  • PDF

저장중 요구르트의 향미성분이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olatile Flavor Compound on Yogur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곽해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39-943
    • /
    • 1995
  • 본 실험에서는 Lactobacillus acidophilus, Bifidobacterium bifidum, Streptococcus salvarius subsp. thermophilus의 혼합균주를 이용한 호상 요구르트의 제조시 $10^{\circ}C$에서 15일간의 저장기간에 따른 휘발성 향미성분과 요구르트 향미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diacetyl을 제외한 acetaldehyde, acetone, ethanol, 2-butanone과 2-heptanone의 함량은 지속적인 증가 경향을 보였다. 그 중 acetaldehyde, acetone과 ethanol 성분은 현저히 증가하였다. 호상 요구르트의 향미는 15일간의 저장기간동안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관능검사에 따른 이취는 증가하였다. 요구르트의 휘발성 향미 성분과 관능검사결과와의 상관 관계는 acetone과 향미와는 (-)의 관계로, ethanol과 이취와는 (+)관계로 나타났으며, 그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10^{\circ}C$에서 15일간의 저장기간에 따른 호상 요구르트의 휘발성 성분 함량과 요구르트의 향미 변화를 조사한 결과, 15일간의 저장은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난백분말 첨가 우유에서 젖산균의 산생성, 요구르트의 관능성 및 휘발성 향기 성분의 경시적인 변화 (Changes in Acid Production, Sensory Properties of Yogurt and Volatile Aroma Compounds during Lactic Fermentation in Milk added with Egg White Powder)

  • 고영태;경현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12-617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우유에 난백분말을 첨가하고 Lactobacillus acidophillus로 30시간까지 발효시키면서 난백분말 첨가 우유에서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 요구르트의 관능성, 휘발성 향기성분의 경시적인 변화를 조사하였다. 난백분말이 첨가된 우유에서 젖산균의 산생성은 30시간까지 완만하게 증가하고, pH는 서서히 저하하며, 생균수는 9시간을 전후로 하여 stationary phase에 도달하였다. 한편 우유에 첨가된 난백분말은 젖산균의 산생성을 촉진시키며 이와 같은 촉진 효과는 1%보다 2%가 다소 높았다. 관능검사의 결과를 보면 우유에 난백분말 2%를 첨가하고 젖산균으로 발효시켜 만든 호상요구르트의 적정 발효 시간은 15시간 전후였다. GC에 의한 휘발 성분 분석의 결과를 보면 acetone과 butanol은 30시간까지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ethanol을 30시간까지 증가하고, diacetyl과 acetoin은 접종 직후에는 존재하지 않았으나 각각 6시간과 9시간에 처음 탐지되어 30시간까지 증가하였다.

  • PDF

난백분말의 첨가가 호상요구르트에서 젖산균의 산생성과 요구르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gg White Powder Addition on Acid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and Quality of Curd Yogurt)

  • 고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58-463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우유에 탈지분유 또는 난백분말을 각각 첨가하고 젖산균(Lactobacillus 3종)으로 발효하여 호상의 요구르트를 만든 후, 난백분말의 첨가가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 및 요구르트의 품질(점도, 관능성, 휘발성 향기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난백분말의 첨가로 젖산균의 산생성이 대조군(우유로만 만든 요구르트)보다 현저하게 촉진되었으며, 산생성 촉진 효과는 난백분말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난백분말이 첨가된 호상요구르트의 점도는 대조군보다 대체로 높았으며, L. acidophilus로 발효시켜 만든 호상요구르트는 thixotropic flow의 특성을 나타냈다. 관능검사의 결과를 보면 표준 시료보다 난백분말 첨가 시료가 우수하였고, 난백분말 첨가 시료 중에서는 2% 첨가 시료가 가장 우수하였다. GC에 의한 휘발 성분 분석에서는 호상요구르트로부터 acetone, ethanol, diacetyl, butanol 및 acetoin의 5가지 성분이 확인되었다.

  • PDF

Gas Chromatography에 의(依)한 Dicarbonyl류(類)의 분리정량(分離定量)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Separation and Determination of Dicarbonyl Compounds by Gas Chromatography)

  • 신미경;남창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85-89
    • /
    • 1976
  •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methylglyoxal, diacetyl 및 triose reductone과 같은 dicarbonyl류(類)를 분리측정(分離測定)할 수 있는 조건(條件)을 실험(實驗)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MG, DAc, DTR의 혼합물(混合物)에 OPD를 반응시켜 quinoxaline 유도체(誘導體)를 만들고 이것을 클로로포름으로 추출(抽出)하면 MG 및 DAc는 거의 100%추출(抽出)되었고, DTR은 에틸에테르에 추출(抽出)되었다. 2. SE-30을 충진제로하여 얻어진 column 조건(條件)에서 MG-OPD와 DAc-OPD는 완전히 분리측정(分離測定)할 수 있었다. 3. 당류중(糖類中) glucose의 OPD 축합물형성조건(縮合物形成條件)은 D-glucose 180mg을 0.1N-NaOH 용액 10ml에서 5분간(分間) 가열후 OPD와 반응(反應)시켜 pH 6. 0에서 클로로포름으로 추출(抽出)하여 GLC에 겉면 5개의 peak가 나타났고, 그 중에서 2개는MG-OPD와 DAo-OPD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중성(中性) 및 산성가열(酸性加熱)인 경우는 peak가 확실치 않았다.

  • PDF

백출 추출물의 암세포증식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the Rhizome Extract of Atractylodes japonica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Tumor Cell Lines)

  • 이성옥;서지희;이정원;유미영;권지웅;최상운;강종성;권대영;김영균;김영섭;유시용
    • 생약학회지
    • /
    • 제36권3호통권142호
    • /
    • pp.201-204
    • /
    • 2005
  • The rhizome extract of Atractylodes japonica Koidzumi(Compositae) exhibited a particular inhibition on the proliferation of cultured human tumor cell lines, in vitro. Thus, the intensive phyti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MeOH extract of Atractylodes japonica have been conducted by the way of activity-guided purification. The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ic separation of the n-hexane soluble part of extract resulted in the isolation of four sesquiterpenes (1-4) and a polyacetylene component (5). Chemical structures of them were identified as atractylon (1), atractylenolide Ⅰ(2), atractylenolide Ⅲ(3), eudesma-4(15),7(11)-dien-8-one (4) and 1,3-diacetyl-atractylodiol (5) by spectroscopic means. Among the isolates, compound 2-4 were shown to give moderate inhibitory effect in a dose dependent manner on the proliferation of cultured human tumor cell lines such as A549 (non small cell lung), SK-OV-3 (ovary), SK-MEL-2 (melanoma), XF498 (central nerve system) and HCT 15(colon), respectively.

커피 로스팅 공정에서 발생되는 향기물질의 유해성 고찰 및 노동자 건강보호 방안 (A Review on the Hazards of Flavoring Chemicals in Coffee Roasting Proces)

  • 임경택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19-140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occurrence of a coffee roasting process-related disorder(bronchiolitis obliterans; published by NIOSH in the US) among workers exposed to chemicals called diacetyl in a coffee processing facility. Flavorings added to coffee contain diacetyl and 2,3-pentanedione, all of which are subject to exposure in a number of food manufacturing processes, including coffee roasting, grinding, and packag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toxicity to workers related to food processing and food additive manufacturing to prevent occupational diseases. Methods: We surveyed the related literature,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ferences, and the status of relevant domestic and foreign professional organizations. The present situation of workers was investigated by reviewing literature on the safety and health of workers in the coffee roasting process using domestic and foreign literature and presentations. Expert advisory opinions were reflected, and experts were consulted by participating in domestic and overseas academic conferences. Results: Most of the fragrance materials for coffee were harmful and hazardous substances according to the GHS classification, and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a second external consultation. A literature review on the measurement of air pollutant emissions from coffee roasters and the estimation of air pollutant emissions during coffee roasting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pollutants emitted during coffee roasting. Conclusions: Two chemicals identified as causing bronchiolitis obliterans in the coffee roasting process are believed to explain why the disease is difficult to treat. This information can be used effectively in the future prevention of this disease. Future studies should clearly identify the potential for toxicity of alpha-diketones and the bases of OELs in relation to the occurrence of obstructive bronchiolitis, including measurement of various organic compounds and alpha-diketones from ground coffee, as well as various coffee grinds and coffee bean varieti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dose-response relationship between alpha-diketone and lung disease in workers involved in coffee roasting.

새로운 광증감제 사용에 따른 UDMA 복합수지의 특성 (The properties of UDMA dental composite resin with novel photosensitizers)

  • 선금주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9-218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know the availability of two photosensitizers, PD, DA, as a photosensitizer instead of CQ in UDMA dental composite resin. We want to know photopolymerization effect of UDMA unfilled resin and surface hardness of composite resin containing PD and DA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Q, most widely used photosensitizer for dental composite resins. Methods: The photopolymerization effect of UDMA studied by FT-IR spectroscopy increased with irradiation time and the amount of photosensitizer. Knoop hardness of experimental composite resins prepared by the addition of the photosensitizer content and irradiation time. Results: The relative photopolymerization effect of UDMA increased in the order of PD > CQ > DA. The composite resin of UDMA containing DA or PD, which shows better Knoop hardness than that containing CQ. Conclusion: PD and DA show as effective photosensizers, suitable for UDMA dental composite resin compare with a higher efficiency than CQ.

치과용 가시광선 중합형 복합수지의 새로운 광개시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new Photoinitiator of Visible Light Dental Composite Resin)

  • 최용석;선금주
    • 대한치과기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9-59
    • /
    • 2002
  • The photopolymerization efficiency and surface hardness of composite resin containing 1,2-phenylpropanedione (PD) and diacetyl (DA) as photoinitiators were studied by IR and Vickers hardnes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at of camphorquinone (CQ). Relative photopolymerization efficiency of the photoinitiators increased in the order of DA < CQ < PD. Vickers hardness of composite resin containing the photoinitiators increased in the order of CQ < PD < DA. Thus, PD is a new visible light photoinitiator for dental composite resin with higher photopolymerization efficiency and surface hardness than that of CQ.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Vickers hardness, diametral tensile strength, and flexural strength of the experimental resin composite prepared by addition of the photosensitizer into a resin of bis-GMA improved with increasing the photosensitizer content and irradiation time. The resin composite of bis-GMA containing DA or PD shows better mechanical properties than that of CQ.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