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tour factor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8초

지하철 우회계수 산정을 통한 수도권 지하철의 거리 효율 평가 모형 (A Method to Evaluate Distance Efficiency of Seoul Metropolitan Subway by Estimating Subway Detour Factor)

  • 이재민;김남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04-314
    • /
    • 2015
  • 대도시권에서 지하철의 우회는 승용차 통행에 비해 지하철의 경쟁력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지적되어 왔다. 그러나 새로운 지하철 시스템을 계획하거나, 기존의 운행 노선을 개선할 때 다른 가치들 (영업이익, 수요, 노선의 균등 분배 등)과의 관계에서 우회에 대한 최소기준 정도만 존재할 뿐 다른 가치들과의 가중에 대한 기준이 모호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우회의 개념을 사용하여 수도권 지하철의 거리 효율 평가 모형을 다루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의 우회율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에 대해 요약을 하고 새로운 거리 효율 평가 모형을 만들어보며, 이 모형을 수도권 지하철 3호선에 적용하는데 있다. 주요 결과는 두 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첫째, 가장 크게 우회하는 OD는 '대치'역부터 '압구정'역까지였으며 우회계수는 1.93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로의 네트워크보다 약 1.93배 더 길게 우회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수도권 지하철 3호선을 전체적으로 분석을 해본 결과, 도로의 네트워크보다 평균적으로 약 20% 더 우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결정나무와 신경망 모형 결합에 의한 운전자 우회결정요인 분석 (Drivers Detour Decision Factor Analysis with Combined Method of Decision Tree and Neural Network Algorithm)

  • 강진웅;금기정;손승녀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67-176
    • /
    • 2011
  • 본 연구는 불특정 다수의 도로이용자들이 경로우회 시 갖는 의사결정과정속에 내포된 비선형성과 불확실성을 고려한 정도 있는 모형구축으로 주요 우회결정요인을 분석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고속도로 및 국도를 이용하는 운전자를 대상으로 우회여부에 관련된 SP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결과에 대하여 의사결정나무와 신경망이론의 결합된 모형을 구축하여 운전자 우회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운전자 우회여부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회도로 인지여부, 교통정보 신뢰도 및 이용빈도, 경로전환빈도, 나이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분류표를 통한 기존 모형과의 예측력의 비교결과 결합된 모형의 오분류율이 8.7%로 기존 모형인 로짓모형 12.8%, 의사결정나무 단독 모형 13.8%와 비교했을 때 가장 예측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운전자 우회결정요인 분석에 관한 모형의 적용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교통량 분산효과와 도로망 효율 증대를 위한 효과적인 우회관리전략 수립 시 기초 자료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된다.

MAS 기반 피난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분산대피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for dispersion model in evacuation plan by using MAS-based evacuation simulation)

  • 장재순;이동호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9-63
    • /
    • 2014
  • Smoke is one of the most critical factor when escaping from the fire since it reduces visibility and interrupts finding emergency exit lights.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an evacuation simulation program should incorporate the smoke factor. In addi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program should include not only the unilateral damage by the smoke but also the detour evacuation by risk communication. In this study, MAS (Multi Agent System)-based simulation program which incorporates the reduced walking speed by smoke and adopts the dispersion evacuation logic during escaping from the fire. To make comparison, a commercial evacuation program, Pathfinder was used. It was found that the simulation results of MAS (Multi Agent System)-based program is better than Pathfinder in terms of safe evacuation. It means that evacuation simulation need a additional evaluation categories that include not only quick evacuation time but also safe evacuee number.

무선 멀티미디어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위험요소 우회 다중 경로 라우팅 기법 (A Risk Factor Detour Multi-Path Routing Scheme in Wireless Multimedia Sensor Networks)

  • 황동교;손인국;박준호;성동욱;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30-39
    • /
    • 2013
  • 초소형 CMOS 카메라 센서나 마이크로 폰과 같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모듈들이 개발되면서 기존의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확장한 무선 멀티미디어 센서 네트워크 기술 및 응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응용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저장 및 처리 기술, 데이터 전송 기술 등과 같은 다양한 기반 기술들이 요구된다. 특히, 실제 환경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멀티미디어 데이터에 대한 보안 기술은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다양한 해킹 기술 중 하나인 스니핑 공격을 방어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 경로를 위험요소로부터 물리적으로 회피시키기 위한 다중 경로 라우팅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위험요소의 움직임을 토대로 지리적으로 인근에 위치한 센서 노드에 준비태세 단계와 데이터의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설정한다. 이를 기반으로 준비태세 단계와 데이터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안전한 경로를 통해 위험요소 우회 다중 경로 라우팅을 수행한다. 시뮬레이션 결과 기존 기법에 비해 약 5% 전송지연 시간을 갖지만 위험요소가 데이터를 공격 및 감청 할 수 있는 감청율은 약 18% 낮음을 확인함으로써 제안하는 기법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멀티미디어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준비태세기반 위험요소 우회 다중 경로 라우팅 기법 (A Risk Factor Detour Multi-Path Routing Scheme Based on DEFCON in Multimedia Sensor Networks)

  • 황동교;손인국;박준호;성동욱;유재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D)
    • /
    • pp.199-201
    • /
    • 2012
  • 무선 멀티미디어 센서 네트워크를 활용하기 위한 응용에서는 대용량 멀티미디어 데이터 저장 및 처리 기술, 데이터 전송 기술 등과 같은 다양한 기반 기술들이 요구된다. 특히, 응용을 실제 환경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대용량 데이터에 대한 데이터 보안 기술은 필수적이다. 본 논문은 여러 해킹 기술 중 하나인 스니핑 공격으로부터 원천적인 방어를 위해, 데이터 전송 경로를 위험 요소로부터 물리적으로 회피시키기 위한 다중 경로 라우팅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위험 요소의 감지 반경과 움직임을 토대로 위험 요소의 인근에 위치한 센서 노드에 준비태세 단계를 설정한다.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여 데이터 라우팅 과정에서 준비태세 단계와 데이터의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우선순위에 맞는 안전한 경로를 통해 위험요소 우회 다중 경로 라우팅을 수행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의 구현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준비태세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위험요소 우회 다중 경로 라우팅을 보였다.

Implementation of Timing Synchronization in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 Lee, Sang-Yub;Lee, Chul-Dong;Kwak, Jae-Mi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8권3호
    • /
    • pp.289-294
    • /
    • 2010
  • In the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transferred information is needed to be detected as possible as fast in order to inform car status located in front and rear side. Through the moving vehicle information, we can avoid the crash caused by sudden break of front one or acquire to real time traffic data to check the detour road. To be connect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vehicles, fast timing synchronization can be a key factor. Finding out the sync point fast is able to have more marginal time to compensate the distorted signals caused by channel variance. Thus, we introduce the combination method which helps find out the start of frame quickly. It is executed by auto-correlation and cross-correlation simultaneously using only short preambles. With taking the absolute value at the implemented synch block output, the proposed method shows much better system performance to us.

전라남도 $\bigcirc\bigcirc$우회도로 붕괴절토사면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Collapsed Cut-Slope in $\bigcirc\bigcirc$ detour at JeonranamDo)

  • 김승현;구호본;이정엽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966-973
    • /
    • 2008
  • In recent, the collapses of cut-slope is gradually increased due to the heavy rains accompanied by typhoon. Specially, many cut-slope failures and landslides was happened to Goheung, Yeosu, Suncheon region, Jeonranamdo in the middle of September 2007. The slope of investigation is width 20 m, height 22 m, and the circular failure was occurred. The parent rocks of the slope are pyroclastic rock, namely andesite, andesitic tuff et al. and the weathering grade is completely weathered to residual soils owing to rapid weathering process and has the existence of fault zone and mafic dyke. Also, lots of extension cracks are presented and the hydrologic condition is very deteriorated. As a result of the limit equilibrium analysis, the safety factor is 1.09(in dry season) and 0.64(in wet season). For the stabilization of the cut-slope, we decided to use the retaining wall, anchors and drainage apparatus.

  • PDF

가변안내표지판 메시지 표출형식 및 지체수준 별 운전자 우회율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Diversion Rate by The types of Display and The levels of Delay on VMS (Variable Message Sign))

  • 유수인;김병종;김원규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54-67
    • /
    • 2013
  • 본 연구는 가변안내표지판(VMS, Variable Message Sign)의 표출방식과 제공되는 정보의 지체수준에 따른 운전자 우회율을 분석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20대 이상의 운전면허소지자를 대상으로 차량시뮬레이터를 이용한 가상주행 실험 후 SP 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결과에 대하여 로짓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결과 문자식과 도형식 간 표출형식에 따른 운전자 우회에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우회도로가 원활상태 일 경우, 주도로의 지체수준 125% 시점에서 우회하기 시작하였고, 지체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우회율은 근소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회도로가 지체상태 일 경우, 주도로의 지체수준 125% 시점에서 우회하기 시작하였고, 지체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우회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운전자의 우회시점에 대한 기준점을 제시하고 있으며, 향후 교통성능향상을 위한 교통정보제공 전략 수립 시 이를 반영한 교통정보제공전략이 검토 적용 되어야 할 것이다.

소형차 전용 지하차도 도입에 따른 지체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lay Time Building of Underpass for Small Car)

  • 이영우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131-137
    • /
    • 2011
  • 근래의 폭발적인 차량의 증가와 지가 상승, 도시부 시가지 내에서의 지상공간의 공급한계, 자연환경 및 경관에 대한 사용자 요구수준의 증대 등 여러 이유로 지하공간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지하공간의 개발은 필연적으로 건설비의 증가로 이어지며 대형 구조물의 설치는 도시 미관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최근에 가능하면 도심 구조물의 경우 경량화, 소형화 하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지하공간의 개발을 위해 대구광역시의 도시부 도로에 설치되어 운영 중인 지하차도 구조물을 대상으로 미시적 소프트웨어인 VISSIM 5.20을 이용하여 소형차 전용 지하차도 도입에 따른 지체시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소형차 전용 지하차도 도입 시 운영 방식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 대형차량을 지하차도를 통해 통행시키지 않고 지하차도 상부 평면교차로를 이용해 통행하도록 하였으며, 교통특성에 따른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접근로의 포화도(v/c)와 대형차량 혼입률을 순차적으로 증가시켜 통행시간의 변화를 알아보고 기존 지하차도와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소형차 전용 지하차도의 도입은 토지매입에 따른 경제적 손실, 구조물의 대형화에 따른 환경훼손 및 친환경적 녹색교통 측면에서도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