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tonator volum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09초

뇌관당 파쇄암량을 고려한 발파작업수량 산정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otal Amounts of Blasted Rock by Detonator Volume used in the Blasting)

  • 김민규;안명석
    • 화약ㆍ발파
    • /
    • 제21권1호
    • /
    • pp.41-47
    • /
    • 2003
  • 도로, 항만, 터파기 등의 공사에서 대량의 발파 작업이 선행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발파작업은 시공을 맡은 원청 회사측에서 직접 행하는 수도 있지만 대개는 전문적으로 발파를 시행하는 업체에게 하청을 주게 마련이다. 이럴 경우 종종 발파작업이 완료된 이후 원청회사와 하청회사 사이에 발파작업 수량에 대한 원만한 합의를 보지 못할 경우가 있는 이럴 경우 쌍방 혹은 쌍방이 위임한 제3자가 발파작업 수량을 추정하게 된다. 사후에 발파작업수량을 추정하는 방법으로는 일위대가표를 적용한 추정, 시행된 발파의 비장약량을 적용한 추정, 발파작업일보를 비교하여 뇌관당 발파암량을 적용하는 방법들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한 사례를 통하여 뇌관당 발파암량을 적용하여 발파작업수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이 방법이 다른 여타의 추정 방법에 비하여 가장 신회성이 높음을 입증하였다.

전자뇌관과 다단장약을 이용한 발파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Multiple-deck-charge Blasting with Electronic Detonators)

  • 고태영;신창오;이효;이승철
    • 화약ㆍ발파
    • /
    • 제30권2호
    • /
    • pp.52-58
    • /
    • 2012
  • 싱가포르 DTL2 C915 건설공사 중 TBM 발진을 위한 개착구간의 암발파 공사를 위해 당초 전기뇌관과 ANFO로 발파시공이 계획되었으나 1회 발파공수 제한 및 가시설에 대한 엄격한 진동관리 규정 등으로 인해 작업공정이 많이 지연되어 TBM 발진을 위한 예정된 공기를 준수하지 못하는 것으로 검토되었다. 따라서 암발파 공법의 효율을 개선하고 1회 발파공수 및 파쇄면적의 최대화를 위해 다단장약이 검토되었으며, 다단장약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정밀성이 장점인 전자뇌관이 선정되었다. 다단장약 적용으로 천공장이 길어짐에 따라 커지는 암반 구속력에 대응하기 위해 폭약의 위력을 증대시키는 방안으로 Emulsion Cartridge 폭약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발파효율과 시공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가시설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효율적 하부데크의 자유면 형성을 위한 수직방향 데크 단차 제안 (Proposal of Vertical Direction Deck Delay Time for Efficient Formation of Free Surface of Bottom Deck)

  • 정승원;이승중;송진혁;김영호;송영석;황남순
    • 화약ㆍ발파
    • /
    • 제41권4호
    • /
    • pp.41-5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굴착 물량 증대와 발파공해 저감을 위해서 전자뇌관을 이용한 수직방향 더블 데크 공법을 적용하였다. 더블 데크 공법은 상부 데크 발파 후 자유면이 완전히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부 데크 발파가 진행되면 발파 효율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더블 데크 공법은 데크 단차에 따라서 발파 효율이 달라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홀 단차의 1~5배를 적용한 4가지 데크 단차를 제안하였고, 발파 후 파쇄도 분석을 통해 발파 효율을 평가하였다. 파쇄도 평가 결과 패턴 4(데크 단차=홀 단차×5)의 파쇄도가 가장 좋았으며, 패턴 3(데크 단차=홀 단차×3) 이상에서 파쇄효율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수직방향 더블 데크 발파 시 데크 단차는 최소 홀 단차의 3배 이상이 되어야 효율적인 발파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분석되었다.

원환형 영구자석을 이용한 관성력 발전장치 소형화 설계 (Miniaturized Setback Generators Using Ring-Shaped Magnet for Power Supply of Small-Caliber Electronic Fuze)

  • 윤상희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58-66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miniaturized setback generators based on the conversion of mechan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for military applications, especially power supply for electronic fuzes. In order to minimize the volume of setback generators, a ring-shaped magnet enclosing a coil assembly is adopted. A mechanical safety system, shear plate, is used as a release mechanism of the setback generators to prevent the generators from operating accidentally. The setback generators are intended not to ignite an electrical detonator but to charge a capacitor which is capable of driving electronic circuit of fuze. We design the setback generators using the simulation results of an electromagnetic analysis tool, $Maxwell^{(R)}$ 2D. In experimental study, we perform safety tests of the shear plate and firing tests of the fabricated setback generators. The present setback generators show that the voltage of 14.2V is charged at the capacitor of $30{\mu}F$ within the charging time of 0.68msec and the critical acceleration for safety is 5,000G, thus verifying that the setback generators with a ring-shaped permanent magnet can be applicable to the power supply of small-caliber electronic fuze.

표준단면을 이용한 터널 공사비 예측모델 개발 (I) - 공사비 영향요인 분석 - (Tunnel Cost Estimating Model Based on Standard Section and Cost Variance Index (I) - Analysis Of Critical Cost Factors -)

  • 조정연;김경주;김경민;김상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5D호
    • /
    • pp.665-675
    • /
    • 2008
  • 본 연구는 터널공사를 대상으로 사업 초기단계에서 터널공사의 설계 대안에 대한 공사비를 신속히 추정하고, 사업이 진행되면서 상황변화에 따른 사업비 측면에서의 영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정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개략적 터널공사비 추정모델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터널공사의 수행에 있어 공사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공사비 영향요인별 공사비 변화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공사비 영향요인은 천공방식, 굴착방법, 기폭장치, 적재장비 용량, 버력의 단위중량 및 토량환산계수, 터널 연장을 포함하는 7개의 요인을 대상으로 하여 각 영향요인의 변화에 따른 공사비 변동 크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기획단계에서 사업의 기본적인 조건을 바탕으로 사업비를 추정하고,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설계 대안에 대한 공사비의 영향을 효율적으로 평가하는데 필요한 공사비 추정모델의 구축을 위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