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sign Thinking

검색결과 1,273건 처리시간 0.033초

모던 디자인 (Modern Design)의 디자인 사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thinking of Modern Design)

  • 오창섭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1호
    • /
    • pp.87-100
    • /
    • 2000
  • 본 논문은 디자인 사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모던 디자인 현상에 자리하는 디자인 사고를 고찰하고 있다. 디자인이라는 언어를 통해 일상 삶을 변화시키고자 했던 모던 디자인의 기획은 기하학적 조형과 기능에의 집착, 기계의 적극적 수용 등과 같은 구체적 현상으로 발현되었다. 그 이면에는 '효율과 편리에 대한 집착', '환원된 필요를 기능과 대응시키는 전략', '전문가 시스템을 바탕으로 한 부분의 합이 전체라는 믿음', '사적 공간과 공적 공간을 구분하는 것과 같은 이분법적 사고'들이 자리하고 있다. 수공예적인 생산양식에서 기계적 생산양식으로의 이행과 자아에 대한 인식 등이 가능했던 사회 분위기가 이러한 디자인 사고를 가능하게 하였다.

  • PDF

루트번스타인(R. Root-Bernstein)의 생각도구를 활용한 패션일러스트레이션의 창의적 표현 분석 (Analysis of the Creative Expression of Fashion Illustration using the Idea Tool of R. Root-Bernstein)

  • 권정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43-15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creative fashion illustration based on the theory of creativity by using the conceptual ideas related to visual expression in the theory of creativity of R. Bernstein.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theoretical basis of creativity theory and R. Bernstein's creative thinking tool. A specific checklist applying 13 creative thinking tools was developed to analyze individual cases and characteristics of creative thinking tools applied to visual arts and fashion illustrations. As a result, the application of a creative thinking method by the utilization, transformation and integration of R. Bernstein's thought tool yielded creative thinking about fashion illustration and the value of improvement creativity that can expand expression areas.

  • PDF

언어/시각정보의 유추에 의한 창조적 디자인 사고 (Creative Design Thinking with Analogy of Verbal/Visual Information)

  • 우흥룡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4-15
    • /
    • 1999
  • 디자인은 일반적으로 목적지향의 창의적인 문제해결 과정으로 볼 수 있으며, 그 결과로 구체적인 대상이 세상에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즉 무형적인 컨셉트를 가시적인 대상으로 전환시키는 산업 디자인분야에서 시각심상의 표현을 통한 조형성과 창의성은 디자이너의 중요한 소양중의 하나가 된다. (중략)

  • PDF

디지털 건축에 나타난 디자인 프로세스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Design Process on the Digital Architecture)

  • 이소연;이낙운
    • 산업기술연구
    • /
    • 제25권B호
    • /
    • pp.107-114
    • /
    • 2005
  • Digital media was realized by two-dimensional design backup. But, digital medium decides form of architecture, and act as a design tool that can expand area of thinking. With such social change, investigate for digital architecture. And, wish to analyze design process of digital architecture and search the characteristics. Through comparison of digital and analogue, clear up that the digital world had complex and ambivalent attribute. Define digital design process as "Digital continuum" with characteristic of digital architecture and divided in 3-steps of concept - development - representation. Analyzed digital design process of Frank O, Ghery, Peter Eisenman and Greg Lynn on th assumption division. As a result, design concept is starting from three-dimensional thinking instead of existent two-dimensional thinking. And because general work of process was gone by digital media, "mass costomization" was possible. Also, it gave architect new role. Differ with former days, select various variables, should tuning and cording, and emphasize role as coordinator who must select the result. Digital is summoning very radical and epoch-making change in architecture. At center of these change, digital design process asks architect complex thinking and creative concept.

  • PDF

디자인 사고과정의 인지 과학적 해석 (A study on the Cognitive Scientific explanation for Design Ideation)

  • 박영목;이동연
    • 디자인학연구
    • /
    • 제21권
    • /
    • pp.1-12
    • /
    • 1997
  • 본 연구는 인지과학으로부터 몇 가지의 이론을 이용하여 디자인의 사고과정 중의 일부를 설명함으로서, 인지과학으로부터의 지식을 디자인의 문제 해결에 응용하거나, 새로운 사고 발상 방법을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디자인은 복합적이고 고도의 두뇌활동을 필요로 하는 영역이다. 그리고 인지과학은 인간의 두뇌활동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디자인과 인지과학의 연결은 디자인의 거의 전반에 걸쳐 응용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그 연결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본 논문은 주로 아이디어 발상부분에 대한 사고의 과정을 인지과학으로 부터의 지식을 빌어 설명하여 보았다. 디자인의 프로세스와 사고 발상 과정을 인지과학의 지식구조에 대한 이론으로 해석해 본 결과, 디자인 사고 발상의 새로운 전개 가능성을 찾을 수 있었다.

  • PDF

집단 창의성 교육을 위한 방안으로서 과학 교육에 디자인적 사고의 도입과 속성 탐색 (The Introduction of Design Thinking to Science Education and Exploration of Its Characterizations as a Method for Group Creativity Education)

  • 이도현;윤지현;강성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93-105
    • /
    • 2014
  • 최근 미래 인재가 갖추어야 할 21세기 핵심 역량으로서 집단 창의성이 강조됨에 따라, 집단 창의성 계발 방안으로서 협업과 공감을 강조하는 디자인적 사고를 과학 교육에 도입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고 디자인적 사고의 효과적인 도입과 전략 마련을 위하여 디자인적 사고에 대한 이해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일반모델 덧씌우기 방법, 초점집단면접, 중요사건기법 분석을 통해 디자인적 사고의 속성을 규명하였다. 연구 결과, 4개의 역량군과 15개의 핵심 역량을 추출할 수 있었다. 즉, '팀의 조직', '의사소통', '자기조절', '설득력', '주도성'의 5개 역량으로 구성된 협업 역량군, '분석적 사고력', '전략적 사고력', '직관적 사고력'의 3개 역량으로 구성된 통합적 사고 역량군, '사용자 지향', '관계형성', '대인이해'의 3개 역량으로 구성된 인간중심 역량군, '성취지향', '정보수집', '호기심', '유연성'의 4개 역량으로 구성된 다학제 역량군을 들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국내 과학 교육에 디자인적 사고를 효과적으로 도입하고, 집단 창의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이나 전략 마련 등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동차 산업에 적용된 Fashion Thinking의 특성 및 가치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Fashion Thinking in the Automobile Industry)

  • 김미경;임은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62-578
    • /
    • 2019
  • Fashion in modern society reflects contemporary times as well as plays an important role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with various objects and socio-cultural phenomena. Fashion is also based on the idea that is accepted as suitable under contemporary judgement that forms an aesthetic notion of beauty and creates infinite ideal and fantasy. There is a need to see fashion from a broad approach within the socio-cultural concept. Fashion Thinking, based on diversified research on social roles and fashion value has been widely used in other industrial fields; consequently, this study examines phenomena that appears in the automobile industry. This study helps reveal the implied influence of Fashion Thinking toward other industries and socio-cultural aspects, by deriving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Fashion Thinking through an analysis of the applied cases of Fashion Thinking in the automobile industry.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a practical meaning that lays the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Fashion Thinking for innovative creative management and utilizing it effectively in other industrial fields such as the automobile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