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th shallower than 30 m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1초

우리나라 지진공학적 지반 분류를 위한 30m 미만 심도 평균 전단파 속도의 활용 (Utilization of Mean Shear Wave Velocity to a Depth Shallower than 30m for Efficient Seismic Site Classification in Korea)

  • 선창국;정충기;김동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62-571
    • /
    • 2006
  • Mean shear wave velocity of the upper 30m $(V_s30)$ used as the current site classification criterion for determining seismic design ground motions in Korea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typical depth of site investigations in western US, in which the depth to bedrock is much deeper than that in Korea. In this study, to establish appropriate site classification system for site conditions of Korea, site investigations including in-situ seismic tests to determine shear wave velocity $(V_s)$ were carried out at total 72 sites in Korean peninsula. The mean $V_s's$ to the depths of 5m, 10m, 15m, 20m and 25m together with the $V_s30$ at the testing sites were determined,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n $V_s$ to a depth shallower than 30m and the $V_s30$ was drawn and suggested for the efficient seismic site classification in Korea. The proposed correlation could be utilized for the seismic design in case of the $V_s$ profiles shallower than 30 m in depth. The correlation in this study, nevertheless, requires further modification by means of the accumulation of various site data in Korea.

  • PDF

얕은 심도 전단파속도 분포를 이용한 30m 심도 평균 전단파속도의 결정 (Determination of Mean Shear Wave Velocity to the Depth of 30m Based on Shallow Shear Wave Velocity Profile)

  • 선창국;정충기;김동수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45-57
    • /
    • 2007
  • 미국 서부 지역을 근간으로 도출된 30m 심도까지의 평균 전단파속도(Vs30)는 부지 증폭 정도에 따른 설계 지진 지반 운동 결정을 위한 현행 지반 분류 기준이다. 부지의 Vs30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현장탄성파 시험으로부터 적어도 30m 심도까지의 전단파 속도(Vs) 분포를 획득해야 한다. 그러나 많은 경우에서 현장의 불리한 여건 및 적용 시험 기법의 제한으로 인해 Vs분포 결정 심도가 30m에 이르지 못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총 72개소 부지들에서 다양한 탄성파 시험 수행을 통해 30m 이상 심도까지 Vs 분포를 획득하여 Vs30과 30m보다 얕은 심도까지의 평균 전단파속도(VsDs)들을 산정하고, 이로부터 Vs30과 VsDs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또한, 모든 Vs 분포 자료의 평균에 근거한 형상 곡선을 작성하여 Vs 분포를 얕은 심도부터 30m까지 외삽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얕은 심도 Vs 분포로부터의 Vs30 산정을 위하여 VsDs와 형상 곡선을 이용하는 두 기법은 최하단 Vs를 30m 심도까지 동일하게 연장하는 단순 기법에 비해 편향 정도가 적었으며, 특히 최소 10m 이상 심도까지 확보된 Vs분포의 경우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지반특성에 적합한 지반분류 방법 및 설계응답스펙트럼 개선에 대한 연구 (II) - 지반분류 개선방법 (Development of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Modification of Design Response Spectra considering Geotechnical Site Characteristics in Korea (II) - Development of Site Classification System)

  • 윤종구;김동수;방은석
    •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51-62
    • /
    • 2006
  • 동반논문 (I)에서는 국내 지반특성에 적합하도록 국내 내진설계기준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논문에서는 우수한 지반분류 방법을 찾기 위하여 상부 토층 30m의 평균 전단파속도$(V_{S30})$, 지반의 고유주기$(T_G)$ 및 기반암 깊이를 이용한 지반분류 방법에 대하여 심도있게 검토하였다. 증폭계수$(F_a,\;F_v)$의 표준편차, 해석결과의 평균 스펙트럼 가속도와 재산정된 응답스펙트럼을 비교한 결과 각각의 방법에서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아 특정한 방법이 우수하다고 판단하기 힘들었다. 그러나, $T_G$를 이용한 방법에서 RRS 값의 증폭구간이 좁은 구간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여 지진시 유사한 거동특성을 나타내는 지반을 같은 지반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또한, 증폭계수와 $T_G$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추세선의 경우, $V_{S30}$ 방법 보다 입력 가속도의 증가에 따른 지반의 비선형성 효과를 더욱 명확하게 나타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V_{S30}$을 이용하여 지반을 분류할 경우 기반암이 30m 보다 얕은 곳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무조건 심도 30m까지 기반암의 전단파속도를 가정하여 계산해야 하나, $T_G$를 이용할 경우 이러한 불확실성을 제거할 수 있어 우수한 방법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는 지반의 고유주기를 이용한 방법을 기반암 깊이가 얕은 국내지반특성에 적합한 지반분류 방법으로 제안하였다.

인공용승구조물 주변해역의 열염구조 변화 (Variation of Thermohaline Structure Around Ocean Area of Artificial Upwelling Structure)

  • 김동선;황석범;김성현;배상완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1-7
    • /
    • 2007
  • 한국 남해안 거제도 앞바다에 투하된 인공용승구조물에 대한 해황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CTD를 이용하여 계절별 관측을 실시하였다. 동계의 수온, 염분 및 밀도의 분포를 살펴보면 표 ${\cdot}$ 저층간의 연직혼합에 의하여 그 차가 작게 나타났으며 춘계에는 표층 10m 이천에서 태양 복사열에 의한 가열현상을 볼 수 있었다. 하계는 표층 수온의 상승으로 표 ${\cdot}$ 저층간의 성층이 약 $10{\sim}20$ m에 형성되었으며 추계에는 하계에 존재한 강한 성층이 서서히 파괴되어 하계보다 약 20m 깊어진 수심 $30{\sim}40$ m 에 성층이 존재하였다. 수온의 기울기 분포를 보면 하계에는 해중산 동쪽보다 서쪽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추계에서도 서쪽에서 기울기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인공구조물 구축 선과 후의 성층분포틀 비교하였을 때 그 형성수심의 변화를 볼 수 있다.

  • PDF

Multichannel Analysis of Surface Waves (MASW) Active and Passive Methods

  • Park, Choon-Byong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물리탐사학회 2006년도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22
    • /
    • 2006
  • Shear modulus is directly linked to material's stiffness and is one of the most critical engineering parameters. Seismically, shear-wave velocity (Vs) is its best indicator. Although methods like refraction, down-hole, and cross-hole shear-wave surveys can be used, they are generally known to be tougher than any other seismic methods in field operation, data analysis, and overall cost. On the other hand, surface waves, commonly known as ground roll, are always generated in all seismic surveys with the strongest energy, and their propagation velocities are mainly determined by Vs of the medium. Furthermore, sampling depth of a particular frequency component of surface waves is in direct proportion to its wavelength and this property makes the surface wave velocity frequency dependent, i.e., dispersive. The multichannel analysis of surface waves (MASW) method tries to utilize this dispersion property of surface waves for the purpose of Vs profiling in 1-D (depth) or 2-D (depth and surface location) format. The active MASW method generates surface waves actively by using an impact source like sledgehammer, whereas the passive method utilizes those generated passively by cultural (e.g., traffic) or natural (e.g., thunder and tidal motion) activities. Investigation depth is usually shallower than 30 m with the active method, whereas it can reach a few hundred meters with the passive method. Overall procedures with both methods are briefly described.

  • PDF

남극큰띠조개 Laternula elliptica (이미패강 : 띠조개과 ) 의 생태 및 생물학적 특성 (Ecology and Biology of the Antarctic Soft - shelled Clam, Laternula elliptica ( Bivalvia : Laternulidae ))

  • 안인영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1-46
    • /
    • 1994
  • The Antarctic soft-shelled clam, Laternula elliptica is widely distributed in shallow waters around the Antarctic Continent and islands. This bivalve species occurs in densepatches particularly in sheltered but frequently ice-impacted areas. This species mostly occurs at atound 20-30 m depth and is rarely found at depths shallower than 5 m where ice abrasion by drifting or grounded icebergs is severe. It burrows deep into sedimint(frequently >50 cm), which seems to be primarily a means for avoiding ice impacts. A pair of stout and highly extendable siphons appear to be a morphological reature to feed in the ice-scoured substrates while staying deep in the sedimint. As one of the largest bivalves in the Antarctic waters, L. elliptica appears to grow rapidly, reaching to a shell length of approximately 100 mm in 12 or 13 years. L. elliptica feeds sctively during summer when food is sufficiently provided, implying that food may be the most inportant fator regulating the growth. Seasonal variations in food availability, and metabolic process in starvation condition possibly during winter, however, are yet to be further investigated.

  • PDF

다중위성 및 현장관측을 이용한 동해남부 연안용승 발생 전후의 해양환경 특성 (Characteristics of Ocean Environment Before and After Coastal Upwelling in the Southeastern Part of Korean Peninsula Using an In-situ and Multi-Satellite Data)

  • 김상우;고우진;김성수;정희동;야마다게이꼬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45-352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하계 냉수대 발생과 관련하여 2007년 6월과 8월의 현장 및 위성에서 관측한 NOAA 해양표면수온과 SeaWiFS 해색 영상 및 QuikScat 자료를 이용하여 동해 남부해역의 수온과 클로로필 a 농도의 단기 변동과 바람을 살펴보았다. 특히, 동한난류 해역의 수온과 Chl-a의 공간적인 분포에 주목하였다. 현장관측 자료의 분석 결과, 울산 부근의 연안용승이 발생 이전인 6월의 클로로필 a 농도의 피크는 전체 조사 정점에서 50m 층에 보였고, 8월의 그 피크는 육지에 근접한 정점 4와 5에서는 10m 그리고 그 외 정점은 30m 층에 나타났지만 정점 5를 제외하고 그 농도는 6월보다 낮게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클로로필 a 농도의 피크는 농도 차이는 있지만 8월이 6월보다 20-40m 얕은 층에 형성되었고, 이것은 남풍계열의 바람에 의한 연안용승으로 하부층의 영양염 공급 등과 관계하는 것 같다. 위성관측 수온과 클로로필 a 농도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냉수가 발생한 곳에서 클로로필 a 농도는 고농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남풍계열의 바람에 의한 영향과 동한난류의 이안은 연안에서 발생한 냉수와 Chl-a 등을 외해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국내 지반 특성에 따른 합리적 증폭 계수의 결정을 위한 지반 분류 체계 개선 방안 고찰 (Modification of Site Classification System for Amplification Factors considering Geotechnical Conditions in Korea)

  • 선창국;정충기;김동수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2005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90-101
    • /
    • 2005
  • For the site characterization at two representative inland areas, Gyeongju and Hongsung, in Korea, in-situ seismic tests containing boring investigations and resonant column tests were performed and site-specific ground response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equivalent linear as well as nonlinear scheme. The soil deposits in Korea were shallower and stiffer than those in the western US, from which the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site coefficients in Korea were derived. Most sites were categorized as site classes C and D based on the mean shear wave velocity to 30 m, Vs30 ranging between 250 and 650 m/s. Based on the acceleration response spectra determined from the site-specific analyses, the site coefficients specified in the Korean seismic design guide underestimate the ground motion in the short-period band and overestimate the ground motion in mid-period band. These differences can be explained by the differences in the bedrock depth and the soil stiffness profile between Korea and western US. The site coefficients were re-evaluated and the preliminary site classification system was introduced accounting for the local geologic condi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 PDF

Germination and Seedling Emergence of Ammannia coccinea as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 Shen, Xiangri;Pyon, Jong-Yeong;Kim, Do-Soon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84-93
    • /
    • 2010
  • 다양한 환경조건에서 미국좀부처꽃의 발아 및 출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식물생장상에서 페트리 디쉬와 포트 실험을 수행하였다. 미국좀부처꽃은 $35/30^{\circ}C$와 0 bar의 삼투포텐셜 조건에서 발아가 가장 잘되었으나 온도가 $15^{\circ}C$ 이하나 $40^{\circ}C$ 이상, 삼투포텐셜이 -2.0 bar 이하와 암조건에서 발아되지 않았다. 출아의 최적온도는 $35/30^{\circ}C$로 판단되며 이 조건에서 파종 후 7일차에 출아가 개시되어 10일차에 최대 출아율에 도달하였으며, 온도가 $15/10^{\circ}C$ 이하나 $40/35^{\circ}C$ 이상 조건에서는 출아가 안 되거나 현저히 감소하였다. 파종심도의 증가에 따라 출아율은 현저히 감소하여 3 cm 이상의 파종심도에서는 출아하지 않았다. 비선형회귀분석을 한 결과 파종 후 시간의 경과에 따른 미국좀부처꽃의 누적 발아 및 출아는 Gompertz 모델로 잘 설명되었으며 삼투포텐셜에 따른 발아와 파종심도에 따른 출아는 logistic 모델로 잘 설명되었다. 결론적으로 미국좀부처꽃은 광발아성으로 발아 및 출아 가능 온도는 $15^{\circ}C$ 이상, 삼투포텐셜은 -2.0bar 이상, 토양심도는 3 cm 이하임을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한국 근해에 있어서의 중층 트로올의 연구 ( V ) - 전개판에 대형 뜸을 달았을 때의 전개성능 - (Study on the Midwater Trawl Available in the Korean Waters ( V ) - Opening Efficiency of the Otter Board with a Large Float on the Top -)

  • 이병기;김민석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4권2호
    • /
    • pp.78-82
    • /
    • 1988
  • 한국근해의 중층 트로올선에서 전개판의 수중중량을 경감시켜서 끌줄을 길게 주므로서 전개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티로폴뜸을 전개판의 천정판에 고정시키고 끌줄 길이와 예망속력을 변화시켰을 때의 전개판의 깊이와 전개간격을 실측한 것을 분석.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개판 깊이는 끌줄 길이가 100m이고 예망속력이 101~108m/sec인 범위에서 뜸이 있을 경우 41~25m, 뜸이 없을 경우 45~26m이고, 뜸줄 길이가 150m일 경우는 뜸이 있을 경우 68~44m, 뜸이 없을 경우 74~46m로서 뜸이 있을 경우가 없을 경우보다도 9~4% 정도 얕았다. 또 실측치는 어느 경우나 계산치보다도 15% 작았다. 2. 전개판의 전개간격은 끌줄 길이가 100m이고, 예망속력이 1.1~1.8m/sec인 범위에서는 뜸이 있을 경우 34~41m, 뜸이 없을 경우 30~38m이고, 끌줄 길이가 150m일 때는 뜸이 있을 경우 44~50m, 뜸이 없을 경우 37~46로서 있을 경우가 없을 경우보다도 끌줄 길이 100m에서 10%, 150m에서 15%정도 더 컸다. 또, 실측치는 계산치보다 항상 컸으며 계산치에 대한 실측치의 비는 끌줄 길이가 100m일 때 1.17~1.14, 150m일 때 1.17~1.09이었다. 3. 날개 끝 간격은 끌줄 길이 100m인 때 뜸이 있을 경우가 없을 경우보다 1m 정도 크고 유효망구면적으로는 10% 정도 크며, 끌줄 길이가 150m인 때는 그 차이가 2m로서 유효망구면적으로는 20% 정도 크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전개판에 뜸을 달아서 전개판의 수중중량을 일시적으로 가볍게 해 주는 것은 유효망구면적을 크게 하므로 어획성능향상에 상당히 도움이 될 것이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