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ine debri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9초

초음파 세정 프로토콜에 따른 근관 내 잔사 제거의 효율성 비교 (Debris removal efficiency depend on different ultrasonic irrigation protocols)

  • 허건;김진우;조경모;;이은혜;박세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2호
    • /
    • pp.104-111
    • /
    • 2020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Passive Ultrasonic Irrigation (PUI) 적용 강도 및 적용 횟수에 따른 상아질 잔사 제거의 효율성 비교에 있다. 연구 재료 및 방법: 48개의 하악 소구치를 표준화하고 이등분 한 후, 한쪽 상아질벽에는 치근첨에서 1, 3, 5 mm의 거리에, 반대쪽 상아질벽에는 2, 4 mm의 거리에 함요를 형성하였다. 각 함요에 NaOCl과 혼합된 상아질 잔사를 채웠다. 치아는 PUI 적용 강도에 따라 'Weak'과 'Strong'의 2개 그룹으로 나누고(n = 24), PUI 적용 횟수에 따라 '1회', '2회', '3회'의 3개 그룹으로(n = 8) 다시 나누었다. 근관 세정 과정 이후 함요에 잔존하는 상아질 잔사의 양을 평가하였다. 결과: Weak 그룹과 Strong 그룹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관찰되지 않았다. Weak 그룹 내에서 PUI 적용 횟수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 역시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Strong 그룹에서 PUI를 2회, 3회 적용하였을 때, 1회의 경우보다 유의하게 낮은 상아질 잔사의 양이 관찰되었다. 결론: PUI 적용 강도에 따른 상아질 잔사 제거의 효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Strong 그룹에서 PUI를 다회 적용시, 1회 적용할 때 보다 근단 1/3 부위의 세정 효과가 증가한다.

Time-dependent effects of EDTA for smear layer removal on microhardness of root canal dentine

  • Song, Yoon-Kyoung;Cho, Yong-Bum
    • 대한치과보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치과보존학회 2003년도 제120회 추계학술대회 제 5차 한ㆍ일 치과보존학회 공동학술대회
    • /
    • pp.587-589
    • /
    • 2003
  • I.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EDTA on microhardness of roor canal dentine according to different working time. II. Materials and Methods Forty recently extracted, intact single root teeth were used. Debris and soft tissue remnants on the root surface were cleaned with scaler and stored in saline at $4^{\circ}C$ until used. All selected roots were similar in size and shape. 1. Preparation of teeth. The crown of the teeth were removed at the level of the CEJ, using a water-cooled diamond bur.(omitted)

  • PDF

근관치료 시 초음파 세정 기술을 이용한 잔사 제거의 효율성 (The efficacy of ultrasonic irrigation technique on debris removal during root canal treatment)

  • 김정현;김진우;조경모;박세희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2호
    • /
    • pp.97-105
    • /
    • 2017
  • 목적: Passive irrigation (PI)과 Passive ultrasonic irrigation (PUI)의 상아질 잔사 제거 효율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16 mm 길이로 표준화된 하악 소구치 치근을 근관 확대 후 종단으로 이등분 하였다. 분리된 한쪽 상아질벽에는 길이 4 mm, 너비 0.2 mm, 깊이 0.5 mm의 표준화된 구를 형성하였고, 반대쪽에는 직경 0.3 mm, 깊이 0.5 mm인 3개의 반구 형태의 함요를 형성하였다. 각 구와 함요에는 NaOCl과 혼합된 상아질 잔사로 채우고, 퍼티 인상재를 사용하여 재조합하였다. Group 1은 PI를 이용하고 Group 2는 PUI를 이용하여 각 근관내를 세정하였다. 현미경과 디지털카메라로 절편의 근관벽을 촬영하고, 구와 함요에 잔존하는 상아질 잔사의 양을 scoring system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근관의 중앙 1/3에서 group 1이 group 2에 비해 잔사를 더 많이 제거하였지만, 치근단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하악 소구치에서 근관에 기구가 닿지 못하는 부위를 세정시, 근관의 중앙 1/3에서 PUI를 사용하는 것이 PI에 비해 상아질 잔사의 제거 효율이 우수했지만, 치근단부에서는 PUI와 PI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two novel irrigants on intraradicular dentine erosion, debris and smear layer removal

  • Gorduysus, Melahat;Kucukkaya, Selen;Bayramgil, Nursel Pekel;Gorduysus, Mehmet Omer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40권3호
    • /
    • pp.216-222
    • /
    • 2015
  • Objective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polymer of acrylic acid and maleic acid (Poly[AA-co-MA]) and calcium hypochlorite ($Ca(OCl)_2$) on root canal dentin using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Materials and Methods: Twenty-four single-rooted teeth were instrumented and the apical and coronal thirds of each root were removed, leaving the 5 mm middle thirds, which were then separated into two pieces longitudinally. The specimens were randomly divided into six groups and subjected to each irrigant for 5 min as follows: G1, $Ca(OCl)_2$; G2, Poly(AA-co-MA); G3, $Ca(OCl)_2$ + Poly(AA-co-MA); G4, sodium hypochlorite (NaOCl); G5, ethylenediaminetetraacetic acid (EDTA); G6, NaOCl+EDTA. The specimens were prepared for SEM evaluation. Smear layer, debris and erosion scores were recorded by two blinded examiners. One image from G3 was analyzed with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EDS) on suspicion of precipitate form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Kruskal-Wallis and Dunn tests. Results: G1 and G4 showed the presence of debris and smear layer and they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G2, G3, G5 and G6 where debris and smear layer were totally removed (p < 0.05). In G1 and G4, erosion evaluation could not be done because of debris and smear layer. G2, G3 and G5 showed no eros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G6 showed severe erosion and was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G2, G3 and G5 (p < 0.05). EDS microanalysis showed the presence of Na, P, and Ca elements on the surface. Conclusions: Poly(AA-co-MA) is effective in removing the smear layer and debris without causing erosion either alone or with $Ca(OCl)_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