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ifrice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9초

치약제 및 구중청량제의 품질 실태 조사 및 안전성 평가 (A survey on status of quality and risk assessment in dentifrices and mouthwashes)

  • 곽재은;박원희;류회진;한진;최정은;김성단;황인숙;신용승
    • 분석과학
    • /
    • 제36권6호
    • /
    • pp.300-314
    • /
    • 2023
  • 유통되고 있는 치약제 31품목(어린이치약 6품목 포함) 및 구중청량제 18품목(어린이구중청량제 2품목 포함)의 불소 함량, pH, 보존제와 타르색소의 함량을 분석하여 제품의 품질 실태를 조사하고 기준 및 제품의 표시 사항 일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불소 함량을 측정한 결과 치약은 26건에서 48~1472 ppm, 구중청량제는 15건에서 85~225 ppm의 불소를 함유하고 있었고 치약제와 구중청량제의 불소 검출률은 각각 83.9 %, 83.3 %로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불소가 검출된 치약제와 구중청량제 41건 중 40건은 표시량의 90.7~109.8 %로 불소 함량 기준인 90.0~110.0 %에 적합하였으나, 치약 1건이 제품에 표시된 불소함량의 36.3 %로 부적합을 나타내었다. 치약의 pH는 5.1~9.4, 구중청량제의 pH는 4.2~6.2로 기준에 모두 적합하였다. 6종의 보존제 함량을 동시 분석한 결과 안식향산은 치약 6건과 구중청량제 9건 총 15건에서 30.6 %의 검출률로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소르빈산은 구중 청량제 9건(검출률 18.4 %)에서 검출되었으며, 파라옥시벤조산메틸, 파라옥시벤조산에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파라옥시벤조산부틸 등 4종은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황색4호 등 10종의 타르색소 함량을 분석한 결과 치약 2건, 구중청량제 7건 총 9건에서 적색40호, 황색4호, 황색5호, 황색203호, 녹색3호, 청색1호 등 6가지 종류가 검출되었으며, 청색 1호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치약제와 구중청량제에서 검출된 불소 농도, 첨가된 보존제와 타르색소는 제품의 표시사항과 일치하였고 표시면에 잘 기재되어 있었다. 검출된 보존제와 타르색소는 일일섭취량허용량과 비교하여 위해도가 낮아 안전한 수준이었다.

IT 시대에서의 자연추출물 사용으로 인한 구강환경 효과연구 (Study on The Oral Health Effects of Natural Extracts Among the IT Age)

  • 최영숙;성정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701-706
    • /
    • 2016
  • 구강세치제의 사용에 의해 나타날 수 있는 알레르기, 치아의 변색, 작열감 등의 화학약제 외 자몽이나 녹차 추출물 등과 같은 식물추출물 등에서도 항균효과, 소취작용 등의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자연추출물인 Centella asiatica 사용하여 구강환경 개선 효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실험하였다. 이중맹검법으로 치면세균막 지수, 치은염 지수, 치주낭 깊이를 측정하고, 그 변화를 파악하여 효과를 확인하였다.

세치제내 SLS함유에 따른 타액과 세균변화 (The Change of Salivary and Oral Bacteria Amount by Composition of SLS Contents of Toothpaste)

  • 심연수;정미애;정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341-3346
    • /
    • 2010
  • 이 연구는 세치제 내 함유되어 있는 SLS의 함유여부에 따라 구강 내 타액과 세균수의 변화정도를 비교분석하여 향후 보다 양질의 세치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SLS의 함유량을 2.2%와 0.0%의 세치제를 제조하여 각각 30명으로 구성된 두 집단의 실험대상자에게 4주간 사용하게 하고 실험 전 후의 타액과 구강 내 세균 수의 변화 차이를 보았다. 연구결과 SLS의 배합여부는 타액, 세균수의 변화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SLS 배합여부는 타액량과 구강 내 세균수의 관련성이 없는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실험대상자들이 사용한 세치제에 대한 만족도 조사에서는 SLS가 함유되지 않은 그룹 보다 SLS가 함유된 그룹에서 만족도가 현저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일 SLS가 선호감 때문에 이용되고 있다면 SLS의 적정 함유량에 대한 구체적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할 것이다.

법랑질 병소 회복율 평가를 위한 QLF 기술의 적용 (Application of the QLF technology to monitor recovery rates of enamel caries lesions with human saliva)

  • 김경민;구혜민;이은송;강시묵;;권호근;김백일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5권2호
    • /
    • pp.156-164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is in vitro study was to assess changes in remineralization by stimulated human saliva over a short period of 48 hours with quantitative light-induced fluorescence (QLF) technology. Materials and Methods: Bovine incisor surfaces were demineralized for 10 days. Two types of stimulated saliva were collected from 7 healthy persons. 24 hours after tooth brushing (Stimulated saliva group) and immediately after tooth brushing with 1,000 ppm NaF dentifrice (Dentifrice saliva group). The specimens were immersed in saliva and fluorescence images were obtained by QLF-digital (QLF-D $biluminator^{TM}$,) at 2, 4, 6, 12, 24, and 48 hours fluorescence loss (${\Delta}F%$) of the lesions.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assess fluorescence differences between before (${\Delta}F_{baseline}$) and after (${\Delta}F_{treatment\;time}$) the remineralization process. Results: Before the remineralization, the mean ${\Delta}F_{baseline}$ of the initial demineralized specimens was $-18.42{\pm}0.15$ (%). In both groups, the ${\Delta}F$ values obtained at baseline and after 2 hou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01), indicating recovery of the lesions by approximately 40% after 2 hours. After 48 hours, remineralization rates were slightly higher (49%) for the stimulated saliva group than for the dentifrice saliva group (41%),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s: With QLF minute degrees of remineralization by saliva can be measured in periods as short as 2 hours. Additionally no significantly higher effects of remineralization were observed in the dentifrice saliva group when compared to the stimulated saliva group.

  • PDF

3% 쑥염 및 0.2% 인진호엑스를 함유한 치약의 치면세균막 제거효과와 치은염 완화효과에 관한 임상실험연구 (Plaque Removal Effect & Gingival Effect by use of the Dentifrice with Di-methyl-s-curetin and NaCl)

  • 신승철;서현석;홍지숙;민희홍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33-142
    • /
    • 2001
  • The authors have studied the 8 weeks clinical examination On 32 patients of age 20s for experimental group and 34 patients of the same ages for control group,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plaque removal effect and gingival effect by use of the dentifrice contained with the Artemisiae Capillaris extract(dimethylesculetin) and NaCl.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ings: 1. Plaque removal effect is better at the experimental group than at the control group on 2 and 8 weeks(p<0.05). 2. There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ces on the calculus index and stain index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during the 8 weeks experiment(p>0.05). 3. At the 8 weeks experiment, it revealed the less average scores on the PMA index for experimental group,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p<0.05).

  • PDF

국내 시판중인 지각과민 완화 치약의 상아세관 폐쇄효과 (Occlusion Effect of Dentinal Tubules of the Desensitizing Dentifrices Marketed in Korea)

  • 이수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431-436
    • /
    • 2011
  •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지각과민 완화 치약의 단기간 내 효과를 알아보고자 자동칫솔질 기계를 이용하여 상아세관 폐쇄효과를 평가한 후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수평왕복동작으로 50회와 150회 칫솔질 했을 때 실험치약의 상아세관 평균면적은 각각 $1.00{\sim}2.98{\mu}m^2$, $1.76{\sim}3.53{\mu}m^2$로 나타났으므로, 150회 칫솔질을 한 경우보다 50회 칫솔질 했을 때 모든 실험 치약군에서 상아세관 폐쇄효과가 높았다. 2. 50회 칫솔질을 한 경우, 질산칼륨이 주성분인 센소다인 후레쉬민트 치약의 상아세관 폐쇄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염화스트론튬이 주성분인 센소다인 오리지널 치약의 상아세관 폐쇄효과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센소다인 오리지널 치약과 센서티브 치약에 비해 덴티가드 시린이, 센소다인 후레쉬민트, 시린메드에프 치약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아세관 폐쇄효과가 높게 나타났다(p<0.05). 3. SEM 사진상에서도 덴티가드 시린이, 센소다인 후레쉬민트, 시린메드 에프 치약군에서는 유효성분들이 상아질 표면을 전체적으로 덮고 있어서 노출된 상아세관을 거의 볼 수 없지만, 센소다인 오리지널 치약과 센서티브 치약군은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아세관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질산칼륨과 인산삼칼슘이 주성분인 지각과민 완화치약은 단기간내 상아세관 폐쇄효과가 뛰어났으므로, 지각과민 환자들이 자가관리법으로 치료하고자 할 때 이러한 성분이 함유된 지각과민 완화치약을 초기에 사용하고, 지각과민증상이 완화되면 마모력이 적절한 일반치약으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지각과민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된다.

세치제에 함유되어 있는 불소화합물 조사 (Investigation of the type of fluoride in flouride-containing dentifrice)

  • 오나래;윤성욱;정미애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9-180
    • /
    • 2015
  • 본 연구에서 대한민국에서 시판되어지는 세치제 종류의 성분과 불소화합물의 종류를 조사하였고 다양한 종류의 화학적 화합물이 존재하는 만큼 소비자가 인식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사료되어 진다.

  • PDF

ConsExpo 모델을 이용한 구강건강행위에 따른 불소노출평가 (Assessment of Fluoride Exposure by Oral Health Behaviors using the ConsExpo Model)

  • 오나래;정미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498-504
    • /
    • 2017
  • 치아를 칫솔질하거나 치약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구강 건강 행위는 구강 건강을 개선하며, 따라서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화학 물질에 대한 연구도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구강 건강 행위로 인해 야기되어지는 불소 노출에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여 정확한 구강 건강 지침을 제공하고자 한다. ConsExpo 5.0 모델에서 불소 화합물의 경구 노출을 적용한 결과, 일일 불소 인체노출량 추정은 성인남성의 모델 결과 oral external dose는 0.000196 mg/kg, oral acute(internal) dose는 0.000196 mg/kg, oral chronic(internal)dose는 0.000465 mg/kg/day로 추정되었다. 성인여성은 연구결과 oral external dose는 $4.1{\times}10^{-6}mg/kg$, oral acute(internal) dose $4.1{\times}10^{-6}mg/kg$, oral chronic(internal) dose $9.99{\times}10^{-6}mg/kg/day$로 추정되었다.

The effect of pretreating resorbable blast media titanium discs with an ultrasonic scaler or toothbrush on the bacterial removal efficiency of brushing

  • Koh, Minchul;Park, Jun-Beom;Jang, Yun-Ji;Ko, Youngky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3권6호
    • /
    • pp.301-307
    • /
    • 2013
  • Purpose: This in vitro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adherence of Porphyromonas gingivalis to a resorbable blast media (RBM) titanium surface pretreated with an ultrasonic scaler or toothbrush and to evaluate the effects of the treatment of the RBM titanium discs on the bacterial removal efficiency of brushing by crystal violet assay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Methods: RBM titanium discs were pretreated with one of several ultrasonic scaler tips or cleaned with a toothbrush. Then the titanium discs were incubated with P. gingivalis and the quantity of adherent bacteria was compared. The disc surfaces incubated with bacteria were brushed with a toothbrush with dentifrice. Bacteria remaining on the disc surfaces were quantified. Results: A change in morphology of the surface of the RBM titanium discs after different treatments was no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dherence of bacteria on the pretreated discs according to the treatment modality. Pretreatment with various instruments did not produc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acterial removal efficiency of brushing with dentifrice. Conclusions: Within the limits of this study, various types of mechanical instrumentation were shown to cause mechanical changes on the RBM titanium surface but did not show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adherence of bacteria and removal efficiency of brush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