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ntal implant CT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3초

Metal artifact reduction algorithm의 두경부 CT에 대한 적용 가능성 평가 (Evaluating applicability of metal artifact reduction algorithm for head & neck radiation treatment planning CT)

  • 손상준;박장필;김민정;유숙현
    •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107-114
    • /
    • 2014
  • 목 적 : 두경부 치료계획 CT영상에서 dental implant로 인한 metal artifact 발생 시 O-MAR(Metal artifact Reduction for Orthopedic Implants)(ver. 3.6.0, Philips, Netherlands)를 적용할 수 있을지 여부를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모든 CT영상은 Brilliance Big Bore CT(Philips, Netherlands)에서 관전압 120kVp, 2mm 두께로 촬영하였으며, O-MAR를 이용하여 Metal artifact reduction 후 전산화치료계획장비(Eclipse ver 10.0.42, Varian, USA)로 원본영상과 비교, 분석하였다. O-MAR의 기본적인 성능 테스트를 위해 Metal artifact가 발생하지 않은 영상과 발생한 영상에서 O-MAR 적용시, HU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원통형 팬텀과 cerrobend 막대, 불균질 팬텀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각각의 원본 영상과 O-MAR 적용 영상에서 관심영역 내 HU 변화를 측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주목적인 dental implant로 인한 metal artifact 발생 영상을 재현하기 위해 팬텀을 제작하여 사용하였고, 실제 임상 환자 영상에 O-MAR를 적용한 영상과 원본 영상 그리고 artifact 부분을 보정한 영상의 선량 분포를 SNC Patient(Sun Nuclear Co., USA)로 비교하였다. 결 과 : 두경부에서의 metal artifact를 재현한 원본 영상과 O-MAR 적용영상의 선량 분포를 비교한 결과 gamma passing rate 는 2 mm / 2% 기준으로 99.8%, 일치를 보였다. 실제 임상 환자 영상을 바탕으로 O-MAR 적용 전후 영상과 density corrected CT 영상에 동일한 조건으로 치료 계획을 수립하여 선량 분포를 비교한 결과는 98.5% 일치로 비교적 높은 gamma passing rate를 보였다. 전체적인 선량 분포 차이는 모두 2% 이내로 팬텀 실험과 실제 임상 환자 영상 실험에서 비슷한 결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선량 편차가 적더라도 국소적으로 집중되어 있는 것은 문제의 소지가 될 가능성이 있다. 화질 개선 면에서는 모든 실험에서 O-MAR 적용영상이 원본에 비해 개선됨을 알 수 있었으나, 두경부 metal artifact를 재현한 팬텀 영상 air cavity 내에서 최대 HU 값이 상승하는 경우가 생겼고, 환자 영상에서는 air cavity가 tissue로 잘못 보정되는 경우 또한 발견할 수 있었다. 결 론 : 업체에서 제시한 사용제한 사항인 피부 근처와 저밀도 영역이 공존하는 두경부에서 O-MAR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해 본 결과, 원본의 왜곡과 보정이 동시에 일어났다. 심지어 팬텀 실험보다 더 심한 artifact가 생긴 환자의 경우 air cavity가 tissue로 잘못 보정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결과적으로 아직까지는 O-MAR 알고리즘이 air cavity와 photon starvation artifact를 정확히 구분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선량 측면에서의 영향은 임상에서 배제될 만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임상에서 원본과 O-MAR 적용 영상을 비교하며 작업한다면 contouring, artifact 보정작업, DRR 화질 개선 등에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임플랜트전산화단층촬영시 CENTRAL PANORAMIC CURVE의 변화가 하악골의 영상 재구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ENTRAL PANORAMIC CURVE DEVIATION ON THE MANDIBULAR IMAGE RECONSTRUCTION IN THE IMPLANT CT)

  • 박래정;이삼선;최순철;박태원;유동수
    • 치과방사선
    • /
    • 제28권1호
    • /
    • pp.47-58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 influence of the change of central panoramic curves on the image reconstruction in the dental implant CT. The author designed three experimental group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central panoramic curve. In group A, central panoramic curve was determined as the curve connecting the center of roots from the first premolar to the first molar. In group B, central panoramic curve was determined as the line connecting the lingual cortical plate at the level of the mesial aspect of the first premolar with the buccal cortical plate at the level of the mesial aspect of the first molar. In Group C, central panoramic curve was determined as the line connecting the buccal cortical plate at the level of the mesial aspect of the first premolar with the lingual cortical plate at the level of the mesial aspect of the first molar. Twenty four reformatted CT images was acquired from four mandibles embedded in the resin block and twenty four contact radiographs of dog specimens were acquired. Each Image was processed under Adobe Photoshop program analysed by MSPA(mandible/maxilla shape pattern analysis) variables such as MXVD, MXHD, UHD, MHD, and LHD.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ean of MXVD variable was 19.9, 20.2, and 20.0 in group A, B, and C, respectively, which were smaller than actual value 2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3 groups (p>0.05). 2. The mean of MXHD, UHD, MHD, and LHD variables in group A, B, and C was 11.9, 12.2, and 12.3; 9.3, 9.5, and 9.6; 10.0, 10.3, and 10.3; 9.2, 9.3, and 9.4 respectively which were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actual value 11.8, 9.3, 10.0, and 9.2.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3 groups (p>0.05). 3. The number of noneffective observations with difference over or under 1 mm with comparison to the actual value was 24(20%), 58(48.3%), and 52(43.3%), respectively, in group A, B, and C. 4. In group A, the number of observations over 1 mm and under 1 mm was 9 and 15, respectively, but in group Band C, the number of observations over 1 mm was more than under 1 mm.

  • PDF

임플란트 시술의 문제점과 의료분쟁 (Problems of Implant Procedure and Medical Disputes)

  • 이태희;송영지
    • 의료법학
    • /
    • 제17권1호
    • /
    • pp.281-297
    • /
    • 2016
  • 임플란트 시술 부위의 정확하고 객관적인 골조직의 평가는 치료계획을 세우고 결과를 예측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골조직 평가는 임플란트가 시술되는 치조골의 상부구조 제작 시기를 결정할 수 있는 가장 객관적 방법이다. 하지만 이러한 골조직 평가가 치과 임상의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서 기초가 수립되기 때문에 상당한 모순을 내포하고 있다. 치과임상들 역시 골조직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정확하고 객관적인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요청된다. 과거 골밀도 평가는 임플란트 시술시 드릴링 작업과 같이 치고임상의의 주관적인 감각에 의존하였다. 그러나 이제는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나타난 각 픽셀에 대한 CT의 HU(Hounsfield unit)값을 이용하여 객관적이고 정확한 분류가 가능하게 되었다. Misch와 Kircos는 주관적인 골밀도 분류를 수치화하여 골조직을 D1부터 D5까지 다섯 단계로 나누었다. 하지만, 이 분류 방법도 정량화 된 테이터를 이용한 것이 아니라 감각에 의해 분류한 것을 단지 수치화한 것이다. 그러므로 더욱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데이터의 비교 분석을 통해 임플란트 시술 부위의 골질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임플란트시술은 치과의료분쟁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객관적인 검사와 합리적인 치료방법을 도입하여 임플란트 시술이 이루어진다면 의료분쟁에서 보다 합리적인 결과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며, 임플란트 시술의 실패율도 낮아 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데이터를 기초로 한 법적으로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서 환자뿐만 아니라 치과 임상의에게도 발생될 수 있는 의료분쟁을 최소화하고 하고자 하는 것이다.

  • PDF

치과 임플란트 계획시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한 영상재형성에 관한 연구 (Image Reformation with a Personal Computer for Dental Implant Planning)

  • Eun-Kyung Kim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1권2호
    • /
    • pp.255-264
    • /
    • 199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method of image reformation for dental implants, using a personal computer with inexpensive softwares and to compare the images reformatted using the above method with those using Dentascan software. CT axial slices of 4 mandibles of 4 volunteers from GE Highspeed Advantage(GE Medical systems, U.S.A.) were used. personal computer used for image reformation was PowerWave 604/120 (Power computing Co, U.S.A. ) and softwares used were Osiris (Univ. Hospital of Geneva, Switzerland) and ImportACLESS Vl.1 (Designed Access Co., U.S.A.) for importing CT images and NIH image 1.58 (NIH, U.S.A.) for image processing. Seven image were selected among the serial reconstructed cross-sectional images produced by Dentascan. Seven resliced cross-sectional images at the same position were obtained at the personal computer. Regression analysis of the measurements of PC group was done against those of DS group. Measurements of the bone height and width at the reformer cross-sectional images using Mac-compatible computer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ose using workstation with Dentascan software(height : r2= 0.999, p<0.001, width : r2= 0.993, p <0.001). So, it is considered that we can use a personal computer with inexpensive software for the dental implant planning, instead of the expensive software and workstation.

  • PDF

The factors that influence postoperative stability of the dental implants in posterior edentulous maxilla

  • Kim, Yun-Ho;Choi, Na-Rae;Kim, Yong-Deok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9권
    • /
    • pp.2.1-2.6
    • /
    • 2017
  • Background: All clinicians are aware of the difficulty of installing a dental implant in posterior maxilla because of proximate position of maxillary sinus, insufficient bone width, and lower bone density. This study is to examine which factors will make the implantation in the posterior maxilla more difficult, and which factors will affect the postoperative implant stability in this region. Methods: Five hundred seventy-three fixtures on the maxilla posterior were included for this study from all the patients who underwent an installation of the dental implant fixture from January 2010 to December 2014 at the Department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Yangsan, Korea). The postoperative implant stability quotient (ISQ) value, fixture diameter and length, presence of either bone graft or sinus lift, and graft material were included in the reviewed factors. The width and height of the bone bed was assessed via preoperative cone beam CT image analysis. The postoperative ISQ value was taken just before loading by using the OsstellTM $mentor^{(R)}$ (Integration Diagnostics AB, Gothenburg, Sweden). The t test and ANOVA methods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Results: Mean ISQ of all the included data was 79.22. Higher initial bone height, larger fixture diameter, and longer fixture length wer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mplant stability on the posterior edentulous maxilla. On the other hand, the initial bone width, bone graft and sinus elevation procedure, graft material, and approach method for sinus elevation showed no significant impact associated with the implant stability on the posterior edentulous maxilla. Conclusions: It is recommended to install the fixtures accurately in a larger diameter and longer length by performing bone graft and sinus elevation.

근관치료 영역에서 Cone Beam CT의 활용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in Endodontics)

  • 조형훈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7권7호
    • /
    • pp.392-402
    • /
    • 2019
  • The most important part of everyday root canal treatment is diagnosis about the morphology of tooth, root and root canal. Usually this procedure is performed by visual examination and radiographic (panoramic/periapical) examination. However, 2-dimentional radiography has several limitations such as imposition of anatomic structures including buccal/lingual root canals and distortion of images. Recently, owing to the increased interest in dental implant and affordable cost of CBCT equipment, CBCT has been introduced widely in local dental clinics. CBCT is characterized by their lower radiation dose and shorter exposure time than conventional CT scan, and ability of 3-dimentional reconstruction of the dento-alveolar structure. Also in endodontic field, the data from CBCT could be very helpful in diagnosing complex root canal anatomy, apical periodontitis, cause of failure and in determining treatment plan. However, there are some limitations such as radiation dose and artifact. Therefore, clinicians should know about indication, advantages and limitations of CBCT, and properly use it for successful root canal treatment to save the natural teeth.

  • PDF

진료실 CAD-CAM에 의한 컴퓨터 가이드 임플란트 수술과 즉시 임시보철치료: 증례보고 (Computer-guided implant surgery and immediate provisionalization by chair-side CAD-CAM: A case report)

  • 현상우;이성복;이석원;조영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478-486
    • /
    • 2021
  • 치과와 기공실을 오가며 복잡하게 진행되는 기존 CAD-CAM 컴퓨터 가이드 제작 방식을 단 순화하기 위하여, 진료실에 설치한 바로가이드 시스템(VARO Guide, CAD, Pre-Guide, VARO-mill, NeoBiotech, Seoul, South Korea)을 통하여 Top-Down 개념과 수복 주도개념을 적용하여 1-day 수술과 임시보철을 완료하는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Pre-Guide를 통해 환자의 중심위에서 교합을 채득하고 CT를 촬영하며, 진료실 내 컴퓨터에서 CAD를 통해 바로가이드를 1시간 내에 제작하였다. 미리 제작된 광중합 레진이 담긴 Pre-Guide 트레이를 술부에 위치시킨 후 중심위에서 CT를 촬영하였다. CT 데이터가 진료실 내 컴퓨터로 전송되면 수복 위치를 정한 후 이어서 3차원적으로 턱뼈에서 임플란트를 식립할 위치를 디자인하여 STL 파일로 추출하였다. 그리고 진료실에 설비된 밀링 기계(VARO-mill)에 Pre-Guide를 고정하여 수술용 가이드를 15분 내에 제작한다. 이 가이드로 환자는 한번 내원하여 임플란트를 계획한 위치에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술해 줌과 더불어, 초기고정력이 양호한 임플란트에 대해서는 즉시임시치아까지 장착해 주어 환자에게 즉시 기능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었다.

자동 치아뿌리 영역 검출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utomatic Tooth Root Segmentation For Dental CT Images)

  • 신승환;김윤호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45-60
    • /
    • 2014
  • 컴퓨터 단층 촬영(Computed Tomography)을 통해 만들어진 3차원의 데이터를 온라인상으로 치과 의료에 사용하게 되면서 정보의 왜곡이나 손실 없이 3차원의 해부학적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치아 이식술이나 교정을 하기 전에 안전하게 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다. CT 데이터를 이용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개별 치아를 분할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CT 데이터 상에서 치아 영역과 그 주변 영역은 밝기의 차이가 크기 않기 때문에 개별 치아를 분할하는 작업은 쉽지 않다. 특히 치아의 뿌리 부분으로 갈수록 치아 주변에 턱 뼈가 위치하기 때문에 더욱 구별이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으로 개별 치아를 분리하는 기존의 SRG(Seeded Region Growing) 알고리즘에 레벨-셋 방법을 추가하여 치아 뿌리 부분까지 더 정확하게 분할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기존의 방법과 비교한 결과 개별 치아의 종류에 따라 19.2%의 정확도 향상을 얻을 수 있다.

치과용 콘빔전산화단층영상에서 치조골과 치아의 협설경사 비교 (Comparison of the buccolingual inclination in alveolar bone and tooth using dental CBCT)

  • 김성은;김진수;김재덕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38권1호
    • /
    • pp.17-22
    • /
    • 2008
  • Purpose: It is important to determine the bucco-lingual inclination of implants on radiographs before the implant surger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buccolingual inclination in alveolar bone and the tooth with dental cone beam CT and to prepare the standard for the buccolingual inclination of implant. Materials and Methods: Axial, panoramic, and buccolingually sectioned images of 80 implant cases with stent including straight marker using CB $Mercuray^{TM}$ (Hitachi, Japan) were evaluated. The comparison of the buccolingual inclination of remained alveolar bone with the tooth and the marker on butcolingually sectioned views was performed statistically. Results: The average buccolingual inclination of remained alveolar bone and tooth was $82.8{\pm}4.6^{\circ}\;and\;85.8{\pm}4.7^{\circ}$ (p<0.05, r=0.96) at the 1st molar area and $76.4{\pm}1.7^{\circ}\;and\;82.7{\pm}1.7^{\circ}$ respectively (p>0.05, r=0.12) at the 2nd premolar area in upper jaw. The average buccolingua1 inclination of remained alveolar bone and tooth was $81.3{\pm}8.3^{\circ}\;and\;87.5{\pm}6.3^{\circ}$ (p>0.05, r=0.85) at the lower 2nd premolar area and $94.3{\pm}6.6^{\circ}\;and\;93.3{\pm}7.2^{\circ}$ respectively (p>0.05, r=0.91) at the 1st molar area in lower jaw. The inclinations of markers we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remained bone at the most of areas except the upper 2nd premolar area (r=0.79). Conclusion: We recommend dental CBCT analysis for determining the buccolingual inclination of dental implant, because of significant difference, in average, between the bucco1ingual inclination of remained alveolar bone and tooth.

  • PDF

성장 장애를 가진 부분 무치악 환자에서 위축된 골에 무피판 임플란트 수술 증례 (Flapless implant surgery on atrophied alveolar ridge in a patient with growth disorder)

  • 이두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2호
    • /
    • pp.170-175
    • /
    • 2014
  • 성장장애는 두개안면부의 골격성장과 영구치의 조기상실에 영향을 미친다. 본 증례는 성장장애 환자에서 치아를 조기 상실한 부위에 무피판 술식으로 임플란트를 식립 시 컴퓨터 단층촬영(CT)을 통한 인접치아의 확인과 임플란트 가이드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특발성 저신장과 3급 정신지체의 20세의 여환에서 구치의 회복을 위해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을 계획하였다. CT 영상에서 인접치가 심하게 협측으로 위치되어 있었고, 이를 반영하여 가이드를 제작후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이상 위치된 인접치를 기준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할 경우 협측 골의 천공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성장장애 환자에서 치아 조기 상실부에 임플란트를 식립 시 CT를 통한 치아의 위치 확인과 가이드의 제작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