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mulsificatio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4초

Streptomyces sp. 8321에 의한 석유 유상액의 탈유화 (Demulsification of Petroleum Emulsion by Streptomyces sp. 8321)

  • 고성환;이득수;김상진;이홍금
    • 미생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62-168
    • /
    • 1998
  • 기름-물 유상액의 탈유화능이 있는 Streptomyces sp. 8321을 분리하여 이의 탈유화 특성을 조사하였다. 이 방선균의 탈유화능은 포자에 기인하였으며, 배양기간에 따라 포자표면의 소수성이 증가하였고, 이에 따라 탈유화능이 증가함을 보였다. 8일간 고체배지에서 배양한 Streptomyces sp. 8321의 포자용액이 kerosene-0.2% Triton X-100(2:1) 표준 유상액 3 ml을 완전 탈유화 시키는 농도는 $1.1{\times}10^8spores/ml$였다. 이 포자용액의 탈유화능을 유기상 종류 및 유화제 종류에 따라 조사해본 결과, 저점성의 유기상에서는 n-hexadecane 및 diesel 등 탄소수가 높은 것이 쉽게 탈유화 되었고, 고점성 유상액의 탈유화는 24시간 후에도 20-30%만이 일어났다. Corexit, Finalsol, BP series의 유화제와 kerosene으로 이루어진 O/W 유상액은 1분 이내에 완전 탈유화가 일어났으며, Corexit 7664, 8667, Triton X-100 및 Tween 80으로 이루어진 O/W 유상액은 이들 유화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탈유와 속도가 감소하였다. Seagreen으로 이루어진 W/O 유상액의 경우 $t_{1/2}$이 24시간 이상으로 나타나 이 균주의 탈유화능은 O/W 유상액에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 PDF

마이크로파 조사 방식에 의한 Oil-Water 에멀젼 분리 (Demulsification of Oil-Water Emulsions Using Different Microwave Irradiation Mode)

  • 홍주희;김병식;김덕찬
    • 공업화학
    • /
    • 제16권5호
    • /
    • pp.653-659
    • /
    • 2005
  • 동일한 마이크로파 조사 방식과 전계 강도에 의하여 마이크로파가 에멀젼에 조사될 경우 조사 시간이 길수록 많은 에너지가 에멀젼에 흡수된다. 그 결과로 에멀젼의 온도가 상승하고 점도는 낮아져 분리가 일어난다. 본 연구에서는 에멀젼 분리 효율의 향상을 위하여 마이크로파 조사 방식(연속식(continuous mode), 펄스식(pulsative mode), 주기식(periodical mode))에 의한 분리 효율의 비교 검토와 Sauter 평균 지름(Sauter mean diameter: $D_{32}$)을 이용한 에멀젼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각각의 조사 방식에 의하여 600 sec 동안 마이크로파가 조사된 30% W/O형 에멀젼(sample #1)을 24 h 침강시켰을 경우 연속식, 펄스식, 그리고 주기식에서 각각 60.0%, 62.3%, 그리고 96.2%의 오일 회수가 이루어졌고, 물 분리율은 26.5%, 35.0%, 그리고 93.9%를 나타내었다. Sauter 평균 지름($D_{32}$)은 연속식 $47.183{\mu}m$, 펄스식 $111.547{\mu}m$ 그리고 주기식에서 $220.476{\mu}m$로 주기식에서 가장 큰 값을 얻었다.

Resource recovery and harmless treatment of waste oil-in-water drilling fluid

  • Tang, Chao;Xie, Shui Xiang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277-280
    • /
    • 2017
  • Destablization and demulsification is a difficult task for the treatment of waste oil-in-water drilling fluid because of its "three-high" characteristics: emulsification, stabilization and oiliness. At present, China is short for effective treating technology, which restricts cleaner production in oilfield. This paper focused on technical difficulties of waste oil-in-water drilling fluid treatment in JiDong oilfield of China, adopting physical-chemical collaboration demulsification technology to deal with waste oil-in-water drilling fluid. After oil-water-solid three-phase separation, the oil recovery rate is up to 90% and the recycled oil can be reused for preparation of new drilling fluid. Meanwhile, harmless treatment of wastewater and sludge from waste oil-in-water drilling fluid after oil recycling was studied. The results showed that wastewater after treated was clean, contents of chemical oxygen demand and oil decreased from 993 mg/L and 21,800 mg/L to 89 mg/L and 3.6 mg/L respectively, which can meet the requirements of grade one of "The National Integrated Wastewater Discharge Standard" (GB8978); The pollutants in the sludge after harmless treatment are decreased below the national standard, which achieved the goal of resource recovery and harmless treatment on waste oil-in-water drilling fluid.

항유화제 및 전기장을 이용한 물/비튜멘 에멀전의 분리특성 (Bitumen Emulsion Separation by Chemical Demulsification and Electrical Treatment)

  • 김상겸;윤성민;이상헌;배위섭;이영우
    • 청정기술
    • /
    • 제19권2호
    • /
    • pp.140-14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항유화제와 전기장을 이용하여 물/비튜멘 에멀전에서의 효과적인 물 분리 방법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물/비튜멘 에멀전의 물 분리 효율을 측정하기위한 기초실험을 진행하였으며, 기초실험에서는 비튜멘의 모사를 위해 모터 오일(GS Caltex, Deluxe Gold V 7.5 W/30, Hyundai gear oil 85 W/140)을 사용하였다. 기초실험을 통해 높은 물 분리 효율을 갖는 항유화제를 선택하였으며, 선택된 항유화제를 사용해 아스팔트 및 비튜멘 에멀전에서의 분리실험을 진행하였다. 지용성 항유화제 중에서는 말레산무수물(maleic anhydride)과 e-카프로락탐(e-caprolactam)이 높은 분리 효율을 보였으며, 수용성 항유화제는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와 아크릴산(acrylic acid)이 높은 분리 효율을 보여주었다. 앞선 기초실험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지용성 항유화제 2종, 수용성 항유화제 2종을 선택하여 아스팔트 에멀전에서의 분리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실험실규모의 전기장을 이용하여 오일처리기(oiltreater)를 설계,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장치와 항유화제를 연계하여 에멀전의 분리효율을 실험하였다.

미생물 세포표면의 소수성과 이용 (Hydrophobicity of Microbial Cell Surface and its Applications)

  • 박신혜;이홍금
    • KSBB Journal
    • /
    • 제16권3호
    • /
    • pp.225-232
    • /
    • 2001
  • 미생물 세표표면의 소수성은 다른 미생물과의 flocculation, 액상이나 고형물질에 부착하거나 수용액에서의 부유현상 (floatation)과 같이 미생물과 다양한 물질사이의 표면 반응에 관여한다. 이러한 점에서 미생물 세포의 소수성은 의학분야 뿐만 아니라 생물공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 총설에서논 미생물 세포표면의 소수성과 관련된 특성과 물질, 그리고 세포표면의 소수성을 이용한 예를 중점적으로 기술하였다.

  • PDF

미생물 탈황 공정 중 Rhodococcus sp. strain IGTS8에 의하여 생성되는 Biosurfactants의 성분 분석 및 계면특성 (Cosmical Analysis and Interfacial Characterization of Biosurfactants formed by Rhodococcus. Sp. strain IGTS8 during the Biodesulfurization Process)

  • 박홍우;박기돈;오성근
    • KSBB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302-306
    • /
    • 2002
  • 탈황공정에 많이 이용되는 미생물인 Rhodococcus sp. Strain IGTS8이 hexadecane과 배지 수용액 혼합물에서 생성하는 biosurfactant의 성분분석과 계면물성을 연구하였다. TLC를 이용한 정성적 성분분석 결과 생성되는 biosurfactant는 glucose mycolate와 trehalose monomycolate임을 확인하였고 임계 미셀농도는 pH 6∼6.5와 pH 10∼10.5에서 100 mL의 수용액에 biosurfactant가 0.1∼0.15 g 첨가될 때였으며 유화파괴 속도는 pH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Cold Shock Response of an Antarctic Streptomyces Strain Showing Demulsifying Ability

  • Lee Yoo Kyung;Kim Hyo Won;Hyun Kwang Soon;Lee Hong Kum
    • 한국미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8-145
    • /
    • 2001
  • The hydrophobic spores of Streptomyces sp. AA8321 isolated from the Antarctic coast displayed demulsification ability. The aerial spores demulsified an emulsion of kerosene/$0.2\%$ Triton X-100 (2:1, v/v) to $50\%$ and $95\%$ within 1 min contact at the concentrations of $5.0{\times}10^7$ and $1.0{\times}10^8$ spores/ml, respectively. A cold shock protein (csp) gene was cloned from the hydrophobic spore- producing Streptomyces sp. AA8321 using PCR. It encoded a low molecular protein with 68 amino acids showing very low homology with previously reported csp genes. Only the sequence of the first six amino acids was just the same and yet others were different. RNA blot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sp gene was induced by cold shock, i.e., transferring from $30^{\circ}C$ to $10^{\circ}C$, and this cold shock response proposed that the isolated gene be a new type of csp gene.

  • PDF

대두입자가 분산된 두유에서 기름입자의 입도분포 측정 (The Measurement of Oil Globule Size Distribution in the Soymilk Suspended with the Soybean Particle)

  • 정제봉;윤석권;손헌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369-372
    • /
    • 1990
  • 두유에는 기름의 양이나 입도를 분석하는데 장해를 주는 대두단백질, 미세한 대두입자들이 공존하고 있어서 기존의 microscopic image analysis, coulter counter, 또는 Photo-analysis 등의 사용이 많은 문제점을 노출했다. 본 실험에서 Stokes 법칙을 응용하여, 중력장과 원심력장하에서 homogeneous suspension과 cumulative method를 이용하여 입도분포를 분석했다. 선정된 두유에서 기하학적 평균지름은 중력장하에서는 $0.33{\mu}m$ 표준편차 $1.73{\mu}m$이고, 원심력 장에서는 평균지름은 $0.31{\mu}m$, 표준편차는 $1.81{\mu}m$으로, 매우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균질압이 유화안정성에 크게 영향을 주는 인자이기 때문에 균질압을 변화했을 때, 균질압이 높을수록 평균입도는 작은 쪽으로 이동하였으며, 입자의 분산 형태는 평균지름을 중심으로 밀도 있게 분포하는 쪽으로 변화하여, 균질압이 기름 입도분포에 영향을 미쳐 유화 안정과 깊은 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IMO 협약 개정에 따른 Bilge Separator 개발에 관한 연구 I - 에멀젼 분리에 관한 연구 - (Study of development of Bilge Separator for new IMO Regulation I - Demulsification -)

  • 임재동;박상호;김인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5-179
    • /
    • 2005
  • 새롭게 적용되는 IMO 규정에 적합한 Bilge Separator를 개발하기 위하여 Bilge 폐수에 함유된 Emulsion의 처리가 매우 중요하다. 에멀젼의 경우 그 안정성으로 인해 육상에서도 처리하기가 매우 까다로운데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Emulsion의 안정성을 파괴하여 처리하고자 하였다. 파괴된 기름 입자는 서로 응집하여 부상처리 되게 되는데, 선박은 특성상 장치의 설치장소가 협소하기 때문에 Bilge 폐수의 처리에 시간이 충분치 않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과 화학적 처리에 가장 기본이 되는 응집제의 선정과 기본적인 환경요인들을 결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국내 제품 중의 응집제를 선정하였고 가장 응집효과가 좋은 pH 영역과 응집제의 투여량을 결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에멀젼 함유 Bilge 폐수를 처리한 결과 IMO에서 정한 기준을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화학적 항유화제에 의한 물/비튜멘 에멀젼의 분리특성 (Characteristics of Separation of Water/Bitumen Emulsion by Chemical Demulsifier)

  • 박근익;한삼덕;노순영;배위섭;이영우
    • 청정기술
    • /
    • 제15권1호
    • /
    • pp.54-59
    • /
    • 2009
  • 비튜멘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화학적 항유화제에 의한 물/비튜멘 에멀젼의 분리를 연구하였다. 비튜멘 에멀젼을 모사하기 위해 모사물질로 엔진오일(GS Caltex Deluxe Gold V 7.5W/30, Hyundai gear oil 85W/140)과 아스팔트(AP-5, KS M 2201, (주)동남유화)를 사용하여 예비실험을 수행하였다. 그리고 오일센드로부터 추출한 비튜멘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예비실험으로 수행된 물/오일 에멀젼의 분리실험에서 함유화제를 첨가하지 경우 에멀젼이 분리되지 않았으며, 항유화제의 농도가 낮을 때 Hyundai 엔진오일은 GS Caltex 엔진오일보다 분리효율이 높았다. 그러나 GS Caltex 엔진오일에 비해서 분리효율의 증가율은 낮았다. Hyundai 엔진오일은 GS Caltex 엔진오일보다 점도가 높아서 물의 분산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HLB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값이 높을수록 분리효율이 높았으며, 사용된 항유화제 중 TWEEN 20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solution)이 가장 좋은 분리효율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