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gree of retrogradation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26초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배양한 밀가루 발효물이 면의 물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heat Flour Ferment Cultured by Lactobacillus acidophilu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Cooked Noodles)

  • 차욱진;이시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21-325
    • /
    • 2008
  • 밀가루에 정상발효 젖산균인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배양하여 면 제조시 발효물로서 이의 실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본 실험은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발효물의 첨가에 따른 면의 호화도를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발효물을 첨가한 면의 엔탈피가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면의 노화도는 첨가되는 발효물의 양이 많을수록 엔탈피가 감소되어 면의 노화의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물성 측정에서는 응집성은 대조구가 높았고, 점착성은 대조구가 낮았다. 탄성은 대조구가 발효물 첨가구보다 높았으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초기의 차이가 점차 좁혀져 12일 후에는 거의 차이가 없는 탄성을 갖게 되었다. 관능검사에서는 맛에 대한 유의적 차이가 없었고 조직감은 대조구와 같았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발효물이 10% 첨가된 면이 대조구보다도 높게 나타나, 면 제조 시 20%까지의 발효물 첨가는 기호도에 좋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Lactobacillusacidophilus를 이용한 밀가루 발효물을 제면산업에 이용할 경우에는 유익한 품질개선 효과를 가져다 줄 것으로 생각된다.

감자 껍질 , Guar gum 및 Polydextrose 첨가에 의한 백설기의 품질특성 변화 (Effect of Addition of Potato peel , Guar gum , Polydextrose on Quality of Backsulgies)

  • 최영선;김영아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333-341
    • /
    • 1992
  • The physicochemical, rhe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ACKSULGIES', which was added with potato peel, guar gum or polydextrose, were investigated. The maximum acceptable addition ratio of dietary fiber to 'BACKSULGI' was 10%. And optimal addition ratio was 3% for all samples. The water binding capacity was affected by dietary fiber sources and incubation conditions (temperature and time). The Guar gum had me highest value of water binding capacity. The solubility was highly related with water binding capacity and me swelling power was increased with temperature increment. The degree of gelatinization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dietary fiber sources. But me values of gelatinization of 'BACKSULGIES' added with dietary fib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ose of 'BACKSULGI' with no dietary fiber. Generally hardness and brittleness incresed along with storage time. But me hardness of 'BACKSULGIES' added with dietary fibers was significantly lower man those of 'BACKSULGI' with no dietary fiber. The retardation effect of dietary fibers for retrogradation of 'BACKSULGIES' was also proved by time constant determination of Avrami equation. Sernsory evaluation revealed that me addition of dietary fibers did not reduce the organoreptic quality. Therefore potato peel 3%, guar gum 3%, polydextrose 3% were optimum addition ratio which could be accepted as conventional 'BACKSULGI'. As m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proved mat the additions of dietary fibers to 'BACKSULGI' had the retardation effect of retrogradation.

  • PDF

Molecular Structure and Gelatinization Properties of Turnip Starch (Brassica rapa L.)

  • Kim, Nam-Hee;Yoo, Sang-H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470-473
    • /
    • 2005
  • Starch was isolated from turnip (Brassica rapa L.), and to elucidate the structure-function relationship its structural and physical properties were characterized. Morphological structure of the starch was analyzed by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Most of the starch granules were spherical in shape with diameter ranging from 0.5-10mm. Apart from larger granules ($<10\;{\mu}m$) which dominated the population size of turnip starch, significant amount of small ($0.5-2\;{\mu}m$) and mid-size granules (${\sim}\;{\mu}m$) were also detected. It was revealed that presumably, erosion damages occurred due to the attack of amylase-type enzymes on the surface of some granules. Branch chain-length distribution was analyzed by HPAEC (High-Performance Anion-Exchange Chromatography). The chain-length distribution of turnip starch revealed a peak at DP12 with obvious shoulder at DP18-21. The weight-average chain length ($CL_{avg}$) was 16.6, and a large proportion (11.8%) of very short chains (DP6-9) was also observed. The melting properties of starch were determined by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The onset temperature ($T_o$) and the enthalpy change (${\Delta}H$) of starch gelatinization were $50.5^{\circ}C$ and 12.5 J/g, respectively. The ${\Delta}H$ of the retrograded turnip starch was 3.5 J/g, which indicates 28.2% of recrystallization. Larger proportion of short chains as well as smaller average chain-length can very well explain relatively lower degree of retrogradation in turnip starc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rn Starch-derived Branched Dextrin Produced by a Branching Enzyme

  • Song, Eun-Bum;Min, Byoung-Cheol;Hwang, Eun-Sun;Lee, Hyong-J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234-240
    • /
    • 2008
  •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branched dextrin from com starch (CSBD) using branching enzyme (BE) were established by investigating the degree of retrogradation of the gelatinized starch.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SBD prepared using the established process were evaluated. It was found that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m starch were greatly modified by BE treatment. CSBD had a higher dextrose-equivalent value and water solubility than the corresponding control. On the other hand, the viscosities in gelatinized solution and amylose contents of CSBD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A high-performance size-exclusion chromatography/multiangle laser light scattering/retractive index (HPSEC/MALLS/RI) system showed that the average molecular weight of CSBD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pasting viscosities of CSBD were stable during the entire temperature cycle. In general, the BE treatment resulted in the retrogradation during storage being lower for CSBD than for the control.

쌀 전분의 유동성을 함유한 영.유아용 조제분유의 공정 관리 (In-Process Control of an Infant Formula with Rice Starch using Rheology)

  • 허영석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2호
    • /
    • pp.45-49
    • /
    • 2008
  • We studied the feasibility of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n infant formula with rice starch by testing in-process samples using rheology. We used DSC to first determine the gelatinization temperature of the rice starch, a key ingredient of this product. With this characteristic temperature and the process design known, rheological measurements were conducted on the in-process samples for detecting the presence and extent of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of rice starch; in-process samples were collected from the carbohydrate tank, after the homogenizer, and the finished product tank.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heological measurements on these samples and manufacturing performance proved that rheology is a very sensitive tool for monitoring the structural development of this infant formula during main process, and their influence on sterilization efficiency. We observed that the lower degree of gelatinization during main process, a shorter residence time in the finished product tank, and using caustic flush rather than clean-in-place additively lead to higher sterilization efficiency. These findings can be utilized for a rational design and analysi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for infant formulas containing rice starch.

  • PDF

반고형 이유식의 개발을 위한 변형 쌀가루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 II -초산 처리 쌀가루-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odified Rice Powder for Rice-Based Infant Foods II - Acetylated rice powder -)

  • 최정선;손경희;윤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463-468
    • /
    • 1997
  • Star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extural quality of infant food which is mainly affected by retrogradation of starch during storage. The acetylated rice was prepared and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to improve the textural quality of infant food when added. When the rice powder was reacted with acetic acid with its increasing concentration from 0.1 M, 0.2 M to 0.3 M, the amount of acetyl group and degree of substitution were increased by 0.39%, 0.8% and 1.27%, and by 0.0014, 0.031 and 0.048, respectively. The initial gelatinization temperature of rice paste determined by amylograph was decreased from $79.5^{\circ}C$ of unmodified rice to $67.5^{\circ}C$ of acetylated rice whose DS is 0.048. The apparent and maxium viscosity of rice paste at $95^{\circ}C$ before and after modification were increased from 92 B.U. to 201 B.U. and from 100 B.U. to 236 B.U., respectively, The degree of retrogradation and rate of syneresis were decreased from 28.7 to 18.8 and from 0.47% to 0.25%, respectively with increased by DS from 0 to 0.048. The digestibility rate of rice powder decreased from 9.19 of natural rice powder to 7.54 of acetylated rice powder whose DS is 0.048. In United State, there is no serious problem in total digestibility because only 4% of modified rice powder is added in production of infant food.

  • PDF

쑥을 첨가한 두텁떡의 저장성과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orage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Duteoptteok Added with Mugwort)

  • 정숙희;안형기;이경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220-232
    • /
    • 2012
  • 본 연구는 두텁떡에 쑥을 첨가하여 저장성과 품질 특성을 평가한 것이다. 쑥 첨가량이 10, 20 및 30%로 증가될수록 두텁떡의 수분 함량과 조섬유 함량은 상당히 증가되었으며 조단백질과 조회분은 감소되었다. 색도는 쑥 첨가비율에 따라 L, a, b값이 감소되었다. 또한 저장기간의 증가에 따라 L값은 감소되었으며, a값과 b값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Texture 특성은 쑥 첨가 비율이 증가됨에 따라 경도, 탄력성, 응집성, 검성, 씹힘성은 감소되었으나 부착성은 증가되었다. 또한 저장기간의 증가에 따라 경도, 부착성, 검성, 씹힘성은 증가되었지만, 탄력성과 응집성은 감소되었다. 호화도는 쑥 첨가비율이 늘어날수록 증가되었고, 노화도는 쑥 첨가비율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었다. 쑥을 첨가한 두텁떡의 생균수, 효모와 곰팡이의 수는 쑥의 첨가비율이 증가됨에 따라 감소되었으며, 저장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두텁떡에 쑥을 첨가함으로써 품질이 개선되었고 저장기간이 증가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유색미 미강층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한 도병의 제병 적성 검정 (Processibility aptitude of Dobyeong with pigmented rice bran extract)

  • 김주희;김미현;강미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6호통권96호
    • /
    • pp.898-90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유색미를 미강과 배유 부분으로 분리 활용함으로써 쌀 가공제품의 다양화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유색미 미강층 에탄올 추출물 일정량 첨가시켜 제조한 도병의 가공적성을 검토하였다. 일반미에 유색미 미강층 에탄올 추출물 0.5% 첨가하여 제조한도병과 유색미로만 만든 도병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색미 도병이 유색미 미강추출물을 첨가한 도병에 비해 부피가 줄어들어 있고 조직도 거침을 알 수 있다. 유색미 도병에 비해 유색미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도병에서 점도가 더 낮게 나타나 유색미 단독으로 도병을 제조하는 것보다 일반미에 미강 추출분획을 첨가하여 도법을 제조하는 것이 노화억제 효과가 더 큼을 알 수 있다. 탄력성, 부착성, 응집성, 껌성 및 씹힘성은 유색미 도병에 비해 유색미 분획추출을 첨가한 도병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유색미 도병과 유색미 추출분획을 첨가한 찹쌀도병 간에 경도 차이는 없었다. 유색미 도병에 비해 유색미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찹쌀도병은 유색미의 강한 향은 반감시키고, 노화가 덜 일어났으며 색감과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유색미 미강추출물을 첨가하여 도병을 제조 할 경우 식품에서 중요한 기능인 기호성도 고려하면서 유색미의 생리활성물질까지 이용할 수 있으므로 건강 기능성 쌀 가공식품 제조용 신소재로서의 적극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DSC와 효소법을 이용한 멥쌀 밑 찹쌀떡의 노화도에 관한 연구 (Degree of Retrogradation of Non-Waxy and Waxy Rice Cakes during Storage determined by DSC and Enzymatic Methods)

  • 김창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86-192
    • /
    • 1996
  • 저장온도($25^{\circ}C$, 5$^{\circ}C$, -2$0^{\circ}C$) 및 저장기간(5시간-21일) 따른 멥쌀 및 찹쌀떡(수분함량 45%)의 노화 정도를 측정 비교하기 위하여 시차주사열량기와 효소 소화법($eta$-amylase-pullulanase method)을 사용하였다. 실온($25^{\circ}C$) 및 냉동(-2$0^{\circ}C$) 저장된 떡시료는 DSC thermogram상에서 흡열곡선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냉장(5$^{\circ}C$)저장된 시료에서만 나타나 노화가 냉장저장 중현저히 나타난 것으로 추정되었다 저장기간을 통하여 개시온도, 피크온도의 변화는 없었으며 엔탈피($\Delta$H)는 1일 이내에 현저히 증가하여 저장 5일까지 계속적인 증가를 보였고 그 이후 저장 14일까지는 평형을 유지하였다. 전체 냉장저장기간을 통해 찹쌀떡이 멥쌀떡 보다 높은 엔탈피를 나타내어 상대적으로 아밀로펙틴의 재결정화에 의한 노화가 더 진행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효소법을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멥쌀 및 찹쌀떡 모두 냉장 <실온 $\boxUl$냉동의 순으로 호화도가 높게 나타났다. 아밀로오스 함량이 많은 멥쌀떡은 효소 소화분해에 대한 호화도가 낮게 나타나 결과적으로 높은 노화도를 반영하여 DSC에 의한 노화특성과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 두 방법간의 상관관계는 예상하기 매우 어려웠다. 그러나 두가지측정방법 모두에 의해 쌀의 종류에 관계없이 냉장저장의 경우 노화가 쉽게 일어났고 저장 일수에 따라 노화도가 증가했음이 밝혀졌다 즉 아밀로오스나 아밀로펙틴 함량이 같은 떡시료들간에서는 노화가 많이 일어날 수록(높은 엔탈피값) $\beta$-amylase와 pullulanase에 대한 효소반응성은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저장조건에서는 효소소화법이 DSC를 이용한 방법 보다 비교적 예민하게 떡에 대한 노화도의 차이를 감지할 수 있었다.

  • PDF

계면활성제 첨가 고구마 전분의 호화와 노화특성 (Gelatinization and Retrogradation Properties of Surfactant Added Sweet Potato Starches)

  • 이신경;신말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6호
    • /
    • pp.463-471
    • /
    • 1994
  • 고구마 생전분에 0.5% 농도의 계면활성제, SSL(sodium stearoyl-2-lactylate), Dimodan(mono/diglyceride), SE 1670(sucrose fatty acid ester 1670)을 첨가하여 이들 전분의 이화학적 성질과 호화 및 노화특성을 측정하였다. 고구마 전분 입자의 모양과 결정형은 계면활성제 첨가 후에도 변화되지 않았다. 계면활성제 첨가에 의해 총지방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아밀로오스 함량은 감소하였고 그 정도는 SE1670>SSL>Dimodan순이었다. $80^{\circ}C$에서의 팽윤력과 용해도는 무처리 전분에 비해 계면활성제 첨가 전분은 감소하였다. 아밀로그래프에 의한 호화개시온도는 무처리 전분이 $72.5^{\circ}C$였고 계면활성제 첨가시 변화는 없었으며 Dimodan과 SE1670 첨가 전분의 경우 최고 점도가 나타났다. 시차주사열량기에 의한 호화 양상은 무처리 전분의 피크 온도와 엔탈피는 각각 $73.7^{\circ}C$, 1.3 cal/g이며, 계면활성제 첨가 전분의 호화 피크 온도는 증가하였으나 엔탈피는 감소하였다. 알칼리 호화 양상은 초기에 급격한 점도의 증가를 보이다 완만해졌으며 계면활성제 첨가 전분의 점도는 무처리 전분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계면활성제 종류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alpha}$-아밀라아제-요오드법에 의한 노화도는 무처리 전분에 비해 SSL과 SE1670 첨가한 전분의 노화도는 감소하였다. 시차주사열량기에 의한 노화도는 계면활성제 첨가 전분은 무처리 전분에 비해 모두 감소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