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gradation of aflatoxin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태양광선에 의한 Aflatoxin의 감소 효과 (Effect of Sunlight on the Reduction of Mycelia and Aflatoxins)

  • 변영희;김종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428-432
    • /
    • 1999
  • 물리적 요인이 발암물질 (aflatoxin) 감소 및 파괴에 미치는 영향의 일환으로 자연의 태양광선이 곰팡이 균체 및 aflatoxin을 감소시키는 바를 시험하였다. A. parasiticus ATCC 15517을 yeast-extract sucrose (YES)배지 및 potato-dextrose agar (PDA)에 접종하여 균체를 성장시키고 aflatoxin을 생성시켰다. 이를 태양광선에 노출시키고 168시간동안 경시적으로 관찰하였다. 곰팡이의 균체량은 8시간후에 23.2% 감소되었으며 168시간 후에는 33.3% 감소되었다 (p<0.05). 총 aflatoxin은 8시간 후에는 YES배지 및 PDA에서 모두 50%이하로 감소되었으며 (p<0.05), 168시간 후에는 YES배지에서는 9.6%로 그리고 PDA에서는 22.8%로 감소되었다 (p<0.01). 이로부터 태양광선에 의한 곰팡이 균체의 감소 정도는 미약하나 aflatoxin의 분해 정도는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수준인 것으로 평가된다.

  • PDF

Aspergillus flavus에 의한 쌀에서의 Aflatoxin 생성에 미치는 고오지 곰팡이의 영향 (Influence of Koji Molds on the Production of Aflatoxins by Aspergillus flavus in Rice)

  • 이철준;김영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21-725
    • /
    • 1989
  • Aspergillus kawachii 혹은 A. shirousamii는 저장 중인 쌀에서 A. flavus에 의한 aflatoxin의 시발생성시기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나 생성속도와 생성량은 현저하게 감소시키었다. 백미를 A. flavus로 접종하여 상대습도 85%, $28^{\circ}C$에서 저장하는 동안 aflatoxin $B_1$은 35일 후에 최고 $40{\mu}g/50g$ 생성되었다. 같은 조건에서 A. kawachii 동시접종한 경우에는 45일 후 최고 $25{\mu}g/50g$ 생성되었으나 A. shirousamii를 동시접종한 경우에는 60일 동안 흔적 정도만이 검출되었다. Aflatoxin을 첨가한 쌀에 A. kawachii 및 A. shirousamii를 7일간 키우면 각각 97% 및 98%의 aflatoxin이 감소되었다. 또한 aflatoxin을 첨가한 쌀을 A. kawachii 및 A. shirousamii로 만든 쌀 고오지로 48시간 당화시키는 동안 각각 30-67% 및 16-57%의 aflatoxin이 감소되었다.

  • PDF

곰팡이 생육 및 곰팡이 독소 생산의 억제에 있어서의 유산균의 역할 (The Roles of Lactic Acid Bacteria for Control of Fungal Growth and Mycotoxins)

  • 김지후;이희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30권12호
    • /
    • pp.1128-1139
    • /
    • 2020
  • 최근 기후의 급속한 변화에 따라서 식품과 농산물에 Aspergillus, Fusarium 및 Penicillium속에 해당하는 곰팡이에 의한 오염이 빈번하고 이들에 의해 생성되는 aflatoxins, fumonisins, ochratoxins, patulin, trichothecenes, zearalenone등의 곰팡이 독소로 인해서 인간의 건강에 위해를 끼치고 또한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오게 하고 있다. 최근 건강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으로 인하여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프로피온산 및 소브산과 같은 보존료에 대한 거부감이 증가하고 있어 천연의 소재로부터 이를 대체할 만한 항진균제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총설에서는 곰팡이의 생육 및 독소 생성을 제어하기 위한 생물학적 방법으로 유산균의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유산균은 저분자 화합물인 유기산, reuterin, 단백질 유래 화합물, 하이드록시 지방산, 페놀 화합물과 같은 다양한 대사산물을 통하여 곰팡이의 생육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키고 있으며, 또한 유산균의 세포벽 구성성분과의 흡착, 곰팡이 독소의 분해 및 곰팡이 독소의 생산 저해 등을 통하여 곰팡이 독소의 생산을 감소시키고 있는 사실이 제시되고 있다. 유산균은 다양한 종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대사산물을 생산하고 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으로 곰팡이의 생육 및 독소 생산을 제어할 수 있는 잠재력 갖추고 있으므로, 유산균은 식품에 있어서 곰팡이의 생육을 조절하는 소재로서 주목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