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generative disease

검색결과 473건 처리시간 0.034초

Factors Affecting Cage Obliquit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ge Obliquity and Radiological Outcomes in Oblique Lateral Interbody Fusion at the L4-L5 Level

  • CheolWon Jang;SungHwan Hwang;Tae Kyung Jin;Hyung Jin Shin;Byung-Kyu Ch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6권6호
    • /
    • pp.703-715
    • /
    • 2023
  • Objective : This retrospective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affect cage obliquity angle despite orthogonal maneuvers performed during oblique lateral interbody fusion (OLIF) and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ge obliquity angle and radiological outcomes post-surgery. Methods : Twenty-nine males who underwent L4-L5 OLIF for lumbar degenerative disease between 2019 and 2021 with a followup duration greater than 12 months were analyzed. Radiological parameters were measured including psoas muscle volume, total psoas area index (total psoas muscle area [cm2]/height squared [m2]), distance from the iliac artery to the origin of the psoas muscle (DIAPM), angle between the origin of the psoas muscle and the center of the vertebral disc (APCVD), iliac crest height, disc height, lumbar flexibility (lumbar flexion angle minus extension angle), cage location ratio, cage-induced segmental lumbar lordosis (LL) (postoperative index level segmental LL minus used cage angle), foraminal height changes, fusion grade. Results : DIAPM, APCVD, iliac crest height, postoperative index level segmental LL, and cage-induced segmental LL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LIF cage obliquity angle. However, other radiological parameters did not correlate with cage obliquity. Based 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predictive equation for the OLIF cage obliquity angle was 13.062-0.318×DIAPM+0.325×1APCVD+0.174×iliac crest height. The greater the cage obliquity, the smaller the segmental LL compared to the cage angle used. Conclusion : At the L4-L5 level, OLIF cage obliquity was affected by DIAPM, APCVD, and iliac crest height, and as the cage obliquity angle increases, LL agnle achievable by the used cage could not be obtained.

Mitochondrial Transplantation Ameliorates the Development and Progression of Osteoarthritis

  • A Ram Lee;Jin Seok Woo;Seon-Yeong Lee;Hyun Sik Na;Keun-Hyung Cho;Yeon Su Lee;Jeong Su Lee;Seon Ae Kim;Sung-Hwan Park;Seok Jung Kim;Mi-La Cho
    • IMMUNE NETWORK
    • /
    • 제22권2호
    • /
    • pp.14.1-14.17
    • /
    • 2022
  • Osteoarthritis (OA) is a common degenerative joint disease characterized by breakdown of joint cartilage. Mitochondrial dysfunction of the chondrocyte is a risk factor for OA progression. We examined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mitochondrial transplantation for OA. Mitochondria were injected into the knee joint of monosodium iodoacetate-induced OA rats. Chondrocytes from OA rats or patients with OA were cultured to examine mitochondrial function in cellular pathophysiology. Pain, cartilage destruction, and bone loss were improved in mitochondrial transplanted-OA rats. The transcript levels of IL-1β, TNF-α, matrix metallopeptidase 13, and MCP-1 in cartilage were markedly decreased by mitochondrial transplantation. Mitochondrial function, as indicated by membrane potential and oxygen consumption rate, in chondrocytes from OA rats was improved by mitochondrial transplantation. Likewise, the mitochondrial function of chondrocytes from OA patients was improved by coculture with mitochondria. Furthermore, inflammatory cell death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coculture with mitochondria. Mitochondrial transplantation ameliorated OA progression, which is caused by mitochondrial dysfun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e therapeutic potential of mitochondrial transplantation for OA.

Change of Symptoms after Total Hip Arthroplasty in Patients with Hip-Spine Syndrome

  • Sung-Hyun Yoon;Ju Hyun Kim;Hyung Jun Lee;Ki-Choul Kim
    • Hip & pelvis
    • /
    • 제35권4호
    • /
    • pp.238-245
    • /
    • 2023
  • Purpose: Elderly patients with degenerative diseases undergo treatment for the hip and spine; these patients present with various symptoms. This study focused on patients with residual symptoms, predominantly pain, even after receiving treatment for their spinal lesions.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hip arthroplasty (THA) between 2016 and 2022 at a single tertiary hospital were included in the study. Of the 417 patients who underwent primary THA, a retrospective review of 40 patients with previous lesions of the spine was conducted. Patients were stratified to two cohorts: Patients with symptoms related to the spine (Group A), and those with hip-related symptoms (Group B). Preand postoperative comparisons of groups A and B were performed. Results: Improvements in patients' symptoms were observed in groups A and B after THA. In Group A, the mean preoperative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 was 5.10±0.876, which showed a postoperative decrease to 2.70±1.767. In Group B, the mean preoperative VAS score was 5.10±1.539, which showed a postoperative decrease to 2.67±1.493. Conclusion: According to the findings, promising results were achieved with THA in treatment of debilitating diseases of the hip for both the prognosis of the disease, as well as the patients' symptoms. In addition, in some cases elderly patients with dual pathologies underwent treatment for spinal lesions without performance of any evaluation related to the hip. Thus, evaluation of a patient's hip must be performed and performance of THA in patients with symptoms even after treatment of spinal lesions is recommended.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fibrotic properties of olive leaf extract protect against L-arginine induced chronic pancreatitis in the adult male albino rat

  • Ghada Hamed Romeh;Fatma El-Nabawia Abdel-Hady El-Safty;Abeer El-Said El-Mehi;Manar Ali Faried
    • Anatomy and Cell Biology
    • /
    • 제55권2호
    • /
    • pp.205-216
    • /
    • 2022
  • Chronic pancreatitis (CP) is an inflammatory disease affects the pancreas with upcoming fibrosis and notable parenchymal destruction. CP poses a high risk for pancreatic carcinoma.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for the first time up to our knowledge, the effect of olive leaf extract on L-arginine induced CP with referral to some of its underlying mechanisms. Forty adult male albino rats were divided equally into four groups; control, olive leaf extract treated (200 mg/kg orally once daily), CP group (300 mg L-arginine/100 g body weight intraperitoneally, once daily for 3 weeks then every 3 days for the subsequent 3 weeks), and CP treated with olive leaf extract group.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body weight, serum glucose, serum insulin, homeostatic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serum amylase and lipase as well as tissue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malondialdehyde (MDA) levels were assessed. Pancreatic tissues were subjected to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studies. The CP group revealed significant decrease in body weight and increase in serum glucose, serum insulin, HOMA-IR score, serum amylase, and serum lipase levels. Significant increase in MDA level and decrease in SOD level were detected. Marked degenerative changes and fibrosis were detected. Upregulation of alpha smooth muscle actin (α-SMA),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β), caspase-3, and interleukin-6 (IL-6) immunoreactions were implicated in CP pathogenesis. Olive leaf extract alleviated all the examined parameters via its-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fibrotic properties. Olive leaf extract can protect against CP and restore pancreatic functions.

교정환자에서 MRI를 이용한 측두하악관절 장애의 연구 (MRI study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in orthodontic patients)

  • 김태우;변은선;백승학;장영일;남동석;양원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35-243
    • /
    • 2000
  • 측두하악관절의 자기공명영상(MRI)은 하악과두와 관절원판(disc)의 관계를 잘 보여주기 때문에 관절내장증(internal derangement)의 진단을 위해 매우 유용하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측두하악관절 장애가 의심되는 환자들의 MRI 자료를 평가하여 관절 내장증의 유무, 발생빈도 및 심도를 파악하는 것이다. MRI를 촬영한 표본은 남자 10명, 여자 40명으로 총 50명이었고 평균 나이는 22.9세였다. 전체 50명 중에 43명에서 positive finding이 관찰되었다. Positive finding을 나타낸 환자 중에서 전방관절원판변위(anterior disc displacement : ADD)는 비정복성이 $56\%$로 가장 많았으며, 양쪽 관절에서 동시에 일어난 경우가 $65\%$로 가장 많았다. Positive finding을 나타낸 환자를 Angle 분류 시, II급 1류 부정교합 환자가 $39.6\%$, II급 2류 부정교합 환자가 $2.3\%$로 II급 부정교합이 $41.9\%$로 가장 많았고, I급 부정교합 환자는 $37.2\%$, III급 부정교합 환자가 $18.6\%$, 확인 안된 경우가 $2.3\%$였다. Positive finding을 나타낸 환자 중에서 안면 비대칭 환자는 $8.6\%$, 개교 환자는 $55.8\%$였다. 결론적으로 측두하악관절의 관절 내장증을 가진 환자에서는 II급 부정교합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개교나 안면 비대칭은 측두하악관절 장애로 인한 보상적 또는 비보상적인 변형에 의해 나타날 수 있으며 퇴행성 관절 질환으로 진행되는 과정중 안면 골격 개조의 결과로 보인다. 그러므로 개교 및 안면 비대칭이 있는 환자는 교정 치료 시작 전에 측두하악관절의 이상 유무를 MRI로 확인(screening)할 것이 권장된다. 측두하악관절 장애가 있는 경우 교정 치료 후에도 재발의 경향이 크고 측두하악관절에 대한 계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므로 감별진단이 필수적이다.

  • PDF

Aldh2 knockout 마우스에서 8주간 에탄올 노출에 따른 뇌조직의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농도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Levels in Brain Tissue of Aldh2 Knockout Mice Following Ethanol Exposure for 8 Weeks)

  • 문선인;엄상용;김정현;임동혁;김형규;김용대;김헌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8호
    • /
    • pp.1163-1167
    • /
    • 2011
  • 과다한 음주는 알츠하이머 및 파킨슨 질병과 같은 각종 만성 퇴행성 뇌질환의 대표적인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체내에 유입된 에탄올은 알코올 탈수소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로 대사된 후 다시 알데히드탈수소효소 2(aldehyde dehydrogenase 2, ALDH2)에 의해 아세트산으로 대사되어 배출된다. 에탄올의 대사과정 중에는 다량의 free radical이 생성되어 체내에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아세트알데히드는 활성산소를 생산하는 독성물질로 잘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8주간 에탄올에 노출된 Aldh2 knockout 마우스를 사용하여 ALDH2 효소 활성이 뇌 조직과 소변의 지질과산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지질과산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HPLC를 통한 TBARS 정도를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마우스에서 만성 에탄올 섭취는 뇌 조직 TBARS 생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변 TBARS는 Aldh2 (-/-) 마우스에서 에탄올을 투여함에 따라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본 연구 결과로부터 8주간 에탄올을 경구 투여한 마우스에서 ALDH2의 활성은 체내의 전반적인 활성산소 생성에는 중요하게 관여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뇌조직에서의 활성산소 생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이는 에탄올 노출과 이에 따른 활성산소가 다양한 만성 뇌질환을 유발한다는 기존의 가설에서 ALDH2의 활성이 중요하게 관여하지 않을 가능성을 시사한다.

미역 (Undaria pinnatifida) 국수가 SD계 흰쥐의 혈청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rown Algae (Undaria pinnatifida)-Noodle on Lipid Metabolism in Serum of SD-Rats)

  • 최진호;김동우;김정화;김대익;김창목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2-45
    • /
    • 1999
  • 미역분말-첨가 미역국수의 지질대사에 미치는 생리적 효능을 구명하기 위하여 SD계 흰쥐에 4주 동안 미역국수 (BA-noodles)를 투여하여 중성지질 (TG), 총콜레스테롤 (TCh), LDL 및 HDL-콜레스테롤, 그리고 동맥경화지수 (AI)에 미치는 BA-noodles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SD계 흰쥐에 조제사료로써 4주 동안 사육하면서 $10\%,\;20\%\;40\%$ BA-noodles의 TG의 함량은 $84.78\pm3.52\~91.30\pm3.77$ mg/dl serum로서 대조군 ($99.77\pm4.25$ mg/dl serum: $100\%$ ) 대비 $10\~15\%$정도나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10\%,\;20\%\;40\%$ BA-noodles의 TCh의 함량은 $87.28\pm4.97\~91.00\pm3.72$ mg/dl serum로서 대조군 ($99.30\pm4.61$ mg/dl serum: $100\%$)대비 $8\~12\%$정도나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10\%,\;20\%\;40\%$ BA-noodles의 LDL-콜레스테롤의 함량은 $44.20\pm4.21\~46.00\pm4.41$ mg/dl serum으로서 대조군 ($53.75\pm2.18$ mg/dl serum: $100\%$)대비 $15\~18\%$나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10\%,\;20\%\;30\%$ BA-noodles 투여군의 HDL-콜레스테롤의 함량은 각각 $25.36\pm1.12\~27.58\pm1.52$ mg/dl serum로서 대조군 ($23.80\pm0.77$ mg/dl serum: $100\%$) 대비 각각 $7\~16\%$정도나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끝으로 $10\%,\;20\%\;40\%$ BA-noodles 투여군의 AI는 $2.16\pm0.14\~2.59\pm0.17$로서 대조군 ($3.00\pm0.13$ : $100\%$) 대비 $14\~28\%$나 현저히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이들 기능성 미역국수의 투여는 성인병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건삭 파열 및 유두근 파열로 인한 승모판 판막 폐쇄부전의 외과적 치험 (Operative Treatment of Mitral Valve Regurgitation Due to Chordal Rupture and/or Papillary Muscle Rupture)

  • 김시호;방정희;우종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5호
    • /
    • pp.401-409
    • /
    • 2004
  • 배경 :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의 원인 중 건삭이나 유두근 파열이 원인이 되는 예가 증가됨에 따라 승모판막에 대한 수술, 특히 판막 재건술의 임상적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에 본원에서 시행한 승모판막 폐쇄부전증의 수술적 치료에 따른 임상결과 및 술 후 조기 성적을 분석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1991년 8월부터 2002년 4월까지 승모판막 건삭 및 유두근 파열로 인해 본원에서 수술한 승모판막 폐쇄부전증 환자 49명(남 26명, 여 23명, 나이 49.0$\pm$16.5세)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수술적 방법에 있어서는 22명(44.9%)에서 판막성형술을, 나머지 27명(59.2%)에서는 판막치환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전체수술예에서 승모판막 전엽의 건삭파열은 23예, 후엽의 건삭파열은 31예였으며 전외(Anter-olateral)유두근의 파열이 2예, 후외(Posteromedial)유두근파열이 1예였다 승모판막 건삭 및 유두근 파열의 병리조직학적 원인은 비특이적 변성이 25예(51.0%), 점액성 변성이 11예(22.4%), 아급성세균성 심내막염이 7예(14.3%)였다. 특발성 퇴행성 변성에 의한 건삭 파열의 경우 전엽보다는 후엽에 많았으며 전엽에서는 A3 구역, 후엽에서는 P3 구역에서 빈발하였다. 수술사망은 3명(6.1%)이었으며 1명의 환자에서 판막재건술 시행 후 잔존 승모판막 폐쇄부전으로 인해 판막치환술을 재시행하였다. 전체 승모판막 폐쇄부전환자의 술 후 5년 생존율은 81.4%였다. 승모판막 폐쇄부전의 원인이 퇴행성 병변이었던 환자 36명에 대해서 판막재건술을 시행한 군과 판막치환술을 시행한 군 사이의 수술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수술사망률은 각각 0%와 14.3%였고 술 후 5년 생존율은 90.2%와 64.3%로 판막재건술을 시행했던 환자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두 군 사이의 통계학적 의의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건삭파열 및 유두근 파열로 인한 승모판막 폐쇄 부전의 가장 많은 병리조직학적 원인은 비특이적 변성이었다. 또한 판막 폐쇄 부전의 원인이 승모판막의 퇴행성 병변일 경우에 수술적 방법으로서 승모판막 재건술은 그 장기 성적이 양호하고 수술적 결과가 승모판막 치환술과 비교적 우월한 차이를 보이므로 승모판막 폐쇄 부전의 수술적 치료에 있어서 가장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

성인병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영양과 운동처방 I. 비만과 당뇨병에 미치는 영향 (Exercise Prescription and Dietary Modification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I. On Obesity and Diabetes)

  • 백영호;전병학
    • 생명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22-230
    • /
    • 1999
  • 비만증이란 체내에 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된 상태이고, 당뇨병이란 혈당을 조절하는 insulin의 부족 혹은 작용 결함으로 인한 질환이다. 비만과 당뇨병의 일반적인 원인으로는 유전, 과식, 운동부족, 스트레스 등이 있다. 비만 및 당뇨병 환자는 섭취 열량을 줄이고 신체에 영양공급이 균형있게 이루어 지도록 균형잡힌 식생활을 해야 하며 고열량식품의 섭취를 줄여야 한다. 일반적인 운동 지침은 운동전 의학적 진단과 병력 검사가 우선되어야 하며, 점진적으로 운동강도를 높여야 한다. 비만과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유산소 운동(조깅, 수영, 테니스, 에어로빅 댄스 등)을 60~80$\%$ HRmax(50~70$\%$ $Vo_2$ max)강도로, 15~60분, 주 3~6회 하는 것이 적당하다. 특히 당뇨병 환자는 유형에 따른 처방을 다소 달리해야 하며, 운동중 탄수화물이 든 간식을 하고 인슐린 활동이 최고에 달했을 때 운동을 중지하며 운동 후 저혈당 발생의 가능성에 대비하여 혈당을 높이기 위한 탄수화물 15~20g 분에 해당하는 식품을 섭취한다. 비만과 당뇨병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운동요법은 식이요법과 병행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 PDF

체외 순환 없이 시행한 선천성 좌심방 부속지류 절제술 (Resection of a Congenital Left Atrial Appendage Aneurysm without Extracorporeal Circulation)

  • 김용호;유재현;이석기;강신광;임승평;이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2호
    • /
    • pp.244-247
    • /
    • 2009
  • 좌심방 부속지류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염증반응이나 퇴행성 변화로 발생할 수 있지만, 동반된 다른 기형이 없을 경우 선천성으로 생각할 수 있다. 선천성 좌심방 부속지류는 대부분 증상이 없어 우연히 발견되지만, 심방 세동, 상심실성 빈맥, 전신 색전증상, 심정지 등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진단되면 증상이 없어도 수술을 권장하고 있다. 개흉술을 통해 접근이 가능하지만, 기저부가 넓은 경우나 좌심방 부속지내에 혈전이 있는 경우에는 체외순환이 필요해 정중흉골 절개술이 필요할 수 있다. 저자들은 부분 심낭 결손증으로 오인되었던 선천성 좌심방 부속지류를 좌측 개흉술을 통해 체외순환 없이 성공적으로 수술하였기에 증례 보고를 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