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fatted soy flour

검색결과 39건 처리시간 0.029초

유화제가 탈지 대두분이 첨가된 제빵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ulsifier on the Characteristics of Defatted Soy Flour Bread)

  • 최영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85-397
    • /
    • 2008
  • The effects of defatted soy flour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ough and bread-making properties were studied with sodium stearyl lactylate(SSL) as an emulsifier. Defatted soy flour was added to the wheat flour at the level of 0$\sim$12%. The emulsifier was added to the wheat flour-defatted soy flour blends at the level of 0.5 and 2%. Set-back and consistency in amylogram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level of soy flour was increased. On comparison with control, the bread made from defatted soy flour especially had less specific loaf volume. The specific loaf volume of wheat flour-defatted soy flour bread prepared with 0.5$\sim$2% SSL was better than that without SSL. Decrease of L value (lightness) of crust color and decrease of L value of crumb color were shown with the increase of defatted soy flour. From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wheat flour-defatted soy flour bread containing up to 6% defatted soy flour with 1.0% SSL were rated as high quality. Most of texture parameters of bread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defatted soy flour and decreased with increase of SSL. Considering the volum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read, bread prepared with 6% defatted soy flour and 1% SSL was regarded as highly acceptable.

  • PDF

거피 탈지 콩가루 식이가 흰쥐의 콜레스테롤 대사와 소화생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hulled Defatted Soy Flour on Cholesterol Metabolism and Gastronitestinal Physiology in Rats)

  • 송영성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3권4호
    • /
    • pp.395-402
    • /
    • 200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xplore the hypocholesterolemic effect of dehyulled defatty soy flour and its possible mechanisms including endocrine status, cholesterol biosynthesis, and fecal excretion in rats. Animals fed casein were used as control and each phospholipid compared with casein feeding.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all lipoprotein frac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defatted soy flour group compared with casein-fed control. Defatted soy flour feeding also significantly lowered hepatic total lipid, cholesteol and TG, and increaed fecal bile acid excretion by 270% compared with casein feeding. Defattd soy flour feeding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plasma thyroid hormone levels and hepatic 3-hydroxy-3-methyl glutary coenzyme A(HMG-CoA) reductase activity. However, plasma T4 concentration was slightly elevated and HMG-CoA reductase activity was suppressed in defatted soy flour group. These metabolic alterations partially explain the reduced plasma and hepatic cholesterol levels of rats fed defatted soy flour.

  • PDF

탈피 탈지 대두분 식이가 흰쥐에서 식후 Lipid Profile과 효소, 호르몬 농도에 미치는영향 (Effectso f Dehulled Defatted Soy Flour on Postprandial Lipid Profile and Enzyme and Hormone Levels in Rats)

  • 한정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1권2호
    • /
    • pp.135-142
    • /
    • 1998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termine whether dehulled defatted flour has an effect on postprandial plasma lipoprotein composition, hepatic lipid composition, enzyme and hormone levels in rats. Control(casein) and experimental (dehulled defatted soy flour)diets were fed to rats for 7 weeks. all animals (S. D. rats, male) were sacrificed 2 hrs after the feeding of 5g of each diet. Defatted soy flour feeding significantly lowered postprandial plasma total cholesterol, chylomicron/VLDL-cholesterol, hepatic cholesterol and triglyceride(TG) as compared with casein feeding, whereas no significant effect on plasma TG was observed. Intestinal kipase activity was elevated , whereas trypsin activity was suppressed in the dehulled defatted soy flour group. Plasma glucagon, thyroid hormone and hepatic HMG-coA reductase levels were not affected by diet treatment. These results hypothesize that dehulled defatted soy flour affects cholesterol digestion and absorption in guts, thus delaying the appearance of chylomicron cholesterol in plasma or affecting the disappearance of chylomicron remnant to high-density-lipoprotein(HDL).

  • PDF

탈지 대두 분말을 첨가한 설기떡의 품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Sulgidduk Added with Defatted Soy Flour)

  • 지옥화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342-350
    • /
    • 2010
  • 본 연구는 멥쌀가루에 고단백 저지방 식품인 탈지 대두 분말의 첨가량을 0%인 대조군과 2.5, 5, 7.5, 10% 첨가군으로 하여 설기떡을 제조한 후 수분 함량, 색도, 기계적인 texture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탈지 대두 분말 설기떡의 수분 함량은 탈지 대두 분말을 첨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색도는 탈지대두 분말의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증가하여 탈지 대두 분말 설기떡의 명도가 높을수록 적색도와 황색도는 낮게 나타났다. Texture analyzer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대조군이 대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탈지 대두 분말을 첨가함에 따라 견고성과 점착성은 증가하였으나 부착성과 탄력성, 응집성, 점착성은 감소하였고, 씹힘성은 탈지 대두 분말 10%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견고성과 부착성을 제외한 측정 항목에서 실험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관능검사 결과는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5% 첨가할 때까지는 유의적인 변화가 없었으며, 부드러운 정도와 씹힘성은 2.5% 첨가할 때까지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탈지 대두 설기떡의 맛과 기능적 특성에 기대를 걸어보며, 앞으로 후속 연구가 더 많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 PDF

대두 탈지 처리가 식물조직단백 조직화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y defatting on texturization of texturized vegetable proteins)

  • 박찬순;서미숙;정선영;박보람;박신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75-884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탈지대두분말로 제조한 식물조직단백(texturized vegetable protein)과 분리대두단백, 탈지하지 않은 대두분말로 제조한 식물조직단백의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원료의 배합은 대두단백 50%, 글루텐 30%, 옥수수전분 20%를 기본배합으로 하였다. 냉각 다이가 장착된 압출성형기를 이용하여 배럴온도 190℃, 스크루 회전속도 250 rpm으로 하였다. 분리대두단백 대비 경도는 대두분말이 22.4%, 탈지대두분말이 68.8% 수준이며, 검성은 대두분말이 17.6%, 탈지대두분말이 44.3% 수준으로 나타났고, 탈지를 통하여 씹힘성, 절단강도, 탄력성이 증가하였다. 대두분말과 탈지대두분말의 수분함량은 대두분말 처리구가 높았으며, 수분흡수력과 탁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pH는 대두분말 처리구가 탈지대두분말보다 높았으며 색도는 L값과 b값은 대두분말 처리구가, a값은 탈지대두분말 처리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대두를 탈지하여 사용할 경우 식물조직단백 품질의 개선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분리대두단백과의 품질 차이를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탈지 대두분 첨가가 제빵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fatted Soy flour on the Bread Making Properties of Wheat flour)

  • 유양자;장학길;최영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01-31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빵의 재료로 열량이 낮고 단백질이 우수하고 지방이 적은 탈지 대두분의 이용 효과를 극대화시켜 이를 이용한 기능성 제빵을 제조하기 위해 탈지 대두분을 첨가하여 제빵을 제조하여 제빵 적성 및 품질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입도 분포는 전반적으로 밀가루와 탈지 대두분이 $45\~75{\mu}m$에 속하였다. 일반성분 분석은 밀가루는 수분함량 $13.12\%$, 조지방 $2.24\%$, 조단백 $12.91\%$, 회분 $0.49\%$이었고 탈지 대두분은 수분 $8.68\%$, 조지방 $0.75\%$, 조단백 $47.7\%$, 회분 $7.08\%$이었다. Pelshenke test는 대조구가 113.4분이고 탈지 대두분 $12\%$ 첨가구가 105.9분이었고 sedimentation value는 대조구가 66mL, 탈지 대두분 $12\%$가 42mL로 탈지 대두분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Water holding capacity와 alkaline water holding capacity는 대조구에 비해 탈지 대두분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되고 flour swelling volume는 감소되었다 Mixograph는 탈지 대두분 첨가에 따라 midline peak time은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고 midline peak height는 탈지 대두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작은 값을 나타내고 첨가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Right of peak slope는 첨가량이 증가됨에 따라 점점 낮게 나타났으며 width at peak와 함께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width at 8 min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탈지 대두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비체적은 감소하였으며 빵 표피의 색도는 탈지 대두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 값과 b값은 감소되고 a값과 AE값은 증가하였다. 빵 속의 색도는 L 값과 ${\Delta}E$값은 감소하고 a값과 b값은 증가하였다. 탈지 대두분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springiness, cohesiveness은 증가하고 gumminess, chewiness은 감소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탈지 대두분으로 제조한 빵의 저장기간에 따른 hardness는 $2.5^{\circ}C$의 저장보다 $5^{\circ}C$의 저장이 빠르게 증가함을 보여 $25^{\circ}C$에서 저장하는 것이 노화 지연 효과가 있었다. 관능 검사에서는 부피와 맛은 탈지 대두분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그 외의 평가 항목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부피, 빵 표피 색, 기공, 조직감, 빵 속의 색, 향, 맛은 대조구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12\%$ 첨가구의 경우가 가장 낮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선호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에서 살펴본 봐와 같이 빵의 주원료인 밀가루 대신 탈지 대두분을 사용할 때 빵의 품질평가에 중요한 요인인 부피와 관능적 특성에 의해 탈지 대두분을 $4\%$까지 첨가한 것이 기능성 식품으로의 이용 가능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두부의 생산량 및 수응력에 미치는 지방의 영향 (Effect of Fat on the Yield and Acceptability of Soybean Curd)

  • 윤영미;손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7
    • /
    • 198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t on gain percent, yield and sensory properties of soybean curd by partial or whole replacement of soybean with defatted soy flour,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1. Gain percent and yield of soybean curds were decreased as the fat content of materials decreased. 2. In sensory evaluation, the mean scores for appearance (color and smoothness), texture and acceptability significantly decreased as the ratio of defatted soy flour to soybean increased. However, when the defatted soy flour replaced 20 and 30% of the soybean, the mean acceptability scor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with whole soybean curd. From the above data, if defatted soy flour will be used for making soybean curds with the aspect of sensory and economic reasons, 25% level of replacement can be recommended.

  • PDF

옥수수가루, 탈지 콩가루 및 오징어를 이용한 스낵제품의 물리화학적 특성연구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Cornmeal Extrudates by Addition of Defatted Soy Flour and Squid)

  • 정복미;김은실;이기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92-298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ates combining 4 levels of squid (0, 3, 5 and 7%) with 3 levels of defatted soy flour (0, 5, and 10%). Blends were adjusted to moisture content of 27% and then extruded in a single-screw laboratory extruder at 170rpm screw speed and 16$0^{\circ}C$ barrel temperature. The extruded materials were dried at 6$0^{\circ}C$ for 8hr to a moisture content of 3~4% and refrigerated at 4$^{\circ}C$ for 12 hour before examination for textural properties, expansion ratio, bulk density, shear force and Hunter color. Expansion ratio of extrudates decreased as squid content increased whereas bulk density and shear force increased. Expansion ratio of extrudat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defatted soyflour level. Bulk density of products decreased as defatted soyflour content increased but shear force of products increased as defatted soyflour content increased. In scores of sensory hedonic evaluation of snacks, appearance, flavor,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values had lowered as squid level increased. Therefore, according to materials contents on extrudates increased, nutritional contents of this products increased and also shear force and bulk density in physical properties increased whereas expansion ratio decreased.

  • PDF

국산원료(國産原料)를 활용(活用)한 복합분(複合粉) 및 제품개발(製品開發)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 2 보 복합분(複合粉)을 이용(利用)한 제빵시험(試驗) - (Development of Composite Flours and Their Products Utilizing Domestic Raw Materials - II. Bread-making Test with Composite Flours -)

  • 김형수;김용휘;우창명;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6-24
    • /
    • 1973
  • 국산원료(國産原料)를 활용(活用)한 복합분(複合粉)으로 빵을 만들고 그들의 품질(品質)을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보리빵의 제조(製造)에 있어서, 표준 밀가루빵(speciffic loaf volume, SLV : 3.3)과 동일(同一)한 formula로 제조(製造) 할 때, 그 SLV 는 1.3(물 100%)으로 아주 낮았으나 탈지대두분(脫脂大豆粉)을 10% 혼합(混合)하면 1.7(물 100%)로 증가하였다. 한편 분질개량(粉質改良)을 위한 여러 가지 첨가제중(添加劑中)에서 1.5% GMS + 0.5% CSL 의 경우가 가장 우수하였다. (SLV : 2.0, 물 100%) 이에 다시 밀가루를 혼합(混合)하면 가장 효과적(效果的)이었는 바, 보리가루의 25%를 밀가루로 대체하면 그 SLV 는 2.8(물 90%)로, 50%의 경우는 3.2(물 90%)로 증가하여 표준빵과 비슷하였으며, 빵색깔도 우수하였다. 2) 고구마빵은 baking이 끝나면 흑갈색으로 되는것이 특징(特徵)이고 탈지대두분(脫脂大豆粉) 20%를 혼합(混合)하면 그 loaf volume이 증가하며 결착제(結着劑)로서 GMS + CSL의 첨가(添加)는 효과적(效果的)이었다. (SLV : 1.9, 물 100%) 고구마가루 복합분에 밀가루를 25%와 50%수준(水準)으로 혼합(混合)하면 그 SLV는 각각(各各) 2.3, 2.6(물 90%)으로 증가하고 빵색깔이 연해지며 빵조직(組織)이 개선되었다. 3) 감자가루를 주원료(主原料)로 한 제빵은 그 분질(粉質)이 고구마가루와는 다르고 GMS + CSL의 첨가(添加) 효과가 낮았다. 옥수수가루에 의한 제빵은 쌀보리가루와는 상이한 경향이었으며, 탈지(脫脂)쌀겨가루는 제빵 원료(原料)로서 부적당하였다. 4) 원료(原料) 공급(供給)면에서 전망(展望)이 보이는 쌀보리가루와 고구마가루를 주원료(主原料)로 한 5종(種)의 복합분(複合粉), 즉 (1) 쌀보리가루+탈지대두분+밀가루 (45 : 10 : 45) (2) 쌀보리가루+탈지대두분+밀가루 (67.5:10:22.5) (3) 쌀보리가루+탈지대두분 (90 : 10) (4) 고구마가루+탈지대두분+밀가루 (40 : 20 : 40) (5) 고구마가루+탈지대두분+밀가루 (60 : 20 : 20) 으로 첨가제를 넣고 제빵한 후, 밀가루빵을 표준(So)으로 하여 관능시험(官能試驗)한 결과(結果), 평균점(平均點)의 서열은 So>(1)>(2)>(3)>(5)>(4) 이었고,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의 결과 (1)의 빵, 즉 보리가루와 밀가루를 동량(同量)섞고 여기에 탈지대두분(脫脂大豆粉)을 10% 혼합한 복합분(複合粉)을 주원료(主原料)로 한 빵은 그 색깔, 조직(組織), 및, 향기(香氣)등의 종합평가(綜合評價)에 있어서 밀가루빵과 유의차(有意差)가 없었다.

  • PDF

대두분 품질에 미치는 가열처리조건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 of heating conditions on the quality of soybean flours)

  • 이성갑;김준평
    • 기술사
    • /
    • 제17권4호
    • /
    • pp.28-39
    • /
    • 1984
  •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for the development of a processing method of soybean into full-fat or defatted flour, using two varieties of soybean (kwangkyo produced in Korea and Bragg produced in India) Samples were subjected to dry dehulling, size reduction and wet heat treatment processes to make soybean flours. The quality of soybean flours were evaluated,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Crude fiber content of dehulled soybean was under 3.0% which indicated satisfactory dehulling,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ude fibre content between two varieties. 2. When dehulled soybean was cracked into soy grits by a hammer mill, 98.71∼98.86% of the soy grit was in the range of 10∼18 mesh which was the optimum size of particle for quick and uniform penetration of heat into the intra-particle air spaces. 3. Moisture content of soy flour after steam treatment at 15 psig for 5 to 30 min was only 0.29∼1.68% which did not hinder the next milling operation. 4. From the color analysis of soy flours, it was observed that the dominant wavelength for all the samples are in a very narrow range from 575 to 581 nm and the color variation was from yellow to yellowish orange. Twenty to twenty five % higher reflectance was observed in the defatted flours than full fat flours. The % chroma of the defatted flour slightly increased as the duration of steaming of soy grits increased, whereas that of the full-fat flour did not. 5. The protein extractability in the defatted flour at pH 7.6 showed progressive decrease in solubility from 48.40% (Bragg), 75.20% (kwangkyo) for untreated flours to 9.75% (Bragg), 26.27% (kwangkyo) for 30 min steaming. But Kwangkyo variety showed twice higher protein extractability than Bragg varie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