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ep ecology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18초

Non-deep physiological dormancy in seeds of Euphorbia jolkinii Boiss. native to Korea

  • Oh, Hye Jin;Shin, Un Seop;Lee, Seung Youn;Kim, Sang Yong;Jeong, Mi Ji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5권4호
    • /
    • pp.174-181
    • /
    • 2021
  • Background: Euphorbia jolkinii Boiss. is a perennial species native to Jeju Island and the southern coastal area of Korea. Particularly on Jeju Island, the yellow flowers of E. jolkinii Boiss. have a high ornamental value because of their contrast with basal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temperatures (5, 15, 20, and 25 ℃) and gibberellic acid (GA3) concentrations (0, 10, 100, or 1000 mg/L) on seed dormancy and germination of E. jolkinii. In addition, we classified the seed dormancy type and compared types with those of other species in the same genus. Results: The number of seeds with viable embryos and endosperms was approximately 66%. The final germination percentages at 5, 15, 20, and 25 ℃ were 51.7%, 83.5%, 2.6%, and 0.0%, respectively. In GA3 concentration experiments, the final germination percentages of 0, 10, 100, and 1000 mg/L were 83.5%, 91.7%, 79.1%, and 83.4%, respectively, at 15 ℃ conditions, and 0.0%, 6.9%, 13.2%, and 27.3%, respectively, at 25 ℃. Conclusions: Germination improved at temperatures of 15 ℃ or lower. Furthermore, GA3 treatment effectively reduced germination times. Thus, the seeds of E. jolkinni were classified as having non-deep physiological dormancy.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하논화산의 화구호 복원 (Reconstruction of the Volcanic Lake in Hanon Volcano Using the Spatial Statistical Techniques)

  • 최광희;윤광성;김종욱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91-403
    • /
    • 2006
  • 제주도 남쪽에 위치한 하논화산은 분화구에 경작지로 이용되고 있는 습지가 있다. 이 습지퇴적층을 조사한 선행 연구자들은 과거에는 이 퇴적층이 마르호였을 것이라 추정하였다. 습지 퇴적층의 심도는 굴절법 탄성파 탐사를 통해 $5{\sim}14m$로 추정 되었으며, 이는 선행 연구결과와 대체로 일치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료들은 특정구간에 대한 정보일 뿐으로, 분화 구내 퇴적층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는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탄성파 탐사를 통해 확보한 습지퇴적층의 심도를 바탕으로,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하여 화구호를 가상적으로 복원하였다. 화구호의 복원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선행 연구자료와 본 연구의 탐사자료를 바탕으로 기본 데 이 터를 구축하고, 이를 IDW와 크리깅을 이용하여 내삽하였다. 이렇게 내삽된 자료를 다시 현재의 지형면과 연산하여 고지형면을 복원하였으며, 여기에 시추자료에 근거한 수면의 고도를 이용하여 화구호의 경계를 추출하였다. 복원된 화구호는 중앙 분석구의 북쪽에 반달 형태로 존재하였으며, 평균 수심은 약 5m, 최대 수심은 약 13m에 이르렀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아울러, 내삽기법에 따라 미세한 차이는 있으나, 화구호의 면적은 $184,000{\sim}190,000m^2$, 부피는 약 $869,760m^3$로 추정되 었다. 분화구 생성직후부터 지속적인 퇴적작용이 있었기 때문에, 복원된 화구호가 특정 시기의 호수를 직접 가리키지는 않지만, 분화구의 내부 형태와 마르호의 퇴적 및 변화과정을 밝히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

무인기 영상 기반 옥수수 재배필지 추출을 위한 Attention U-NET 적용 및 평가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Attention U-Net Using UAV Imagery for Corn Cultivation Field Extraction)

  • 신형섭;송석호;이동호;박종화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8권4호
    • /
    • pp.253-26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촬영 한계를 극복하고 재배 필지 현황 파악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자 무인기 영상 및 딥러닝 모형을 이용하여 옥수수 재배 필지 추출 방법을 제안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충북 괴산군 감물면 이담리 일대로 설정하고, 무인기 촬영을 통해 해당지역의 정사영상을 취득하였다. 모형에 필요한 학습자료는 현장조사 자료와 팜맵을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한 딥러닝 모형은 의미론적 분할 모형인 Attention U-Net을 이용하였다. 모형의 성능 평가는 학습과정을 거친 후 비학습 자료를 이용하여 옥수수 재배 필지 추출에 대해서 실시 하였다. 모형 성능평가 결과 정밀도는 0.94, 재현율은 0.96 및 F1-Score는 0.92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적용한 Attention U-Net방법은 옥수수 재배 필지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 방법은 옥수수는 물론 다른 작물에 대한 재배 필지 구분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담수 유해남조 세포수·대사물질 농도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과 딥러닝 모델링 연구동향: 알고리즘, 입력변수 및 학습 데이터 수 비교 (Machine- and Deep Learning Modelling Trends for Predicting Harmful Cyanobacterial Cells and Associated Metabolites Concentration in Inland Freshwaters: Comparison of Algorithms, Input Variables, and Learning Data Number)

  • 박용은;김진휘;이한규;변서현;황순진;신재기
    • 생태와환경
    • /
    • 제56권3호
    • /
    • pp.268-279
    • /
    • 2023
  • 근래에 들어, 머신러닝과 딥러닝 모델은 다양한 수체 내 수질변화를 예측하기 위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담수호의 물 이용과 수생태계 건강성에 위협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유해남조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이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까지 유해남조의 발생을 예측하기 위해 적용된 인공지능 모델링의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였고, 딥러닝을 포함하여 머신러닝 모델을 이용한 이 분야 연구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Elsevier의 초록 인용 데이터베이스인 Scopus를 활용하여 체계적인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다. 주요 키워드를 이용하여 탐색 및 정리된 문헌들을 리뷰한 결과, 딥러닝 모델은 주로 남조 세포수 예측에만 사용되었고, 머신러닝 모델은 남조 세포수 이외에 microcystin, geosmin, 2-MIB와 같은 대사물질 예측에도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또한, 남조 세포수와 대사물질의 예측을 위해 활용된 입력변수들은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남조의 대사물질을 예측하기 위해 딥러닝 모델이 적용된 바가 없었는데, 향후 빅데이터 구축을 통한 대사물질을 예측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탁아기관 급식을 위한 식단작성 전산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Computer-based Menu Planning Program for Day-Care Centers)

  • 곽동경;이혜상;김숙영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45-252
    • /
    • 1992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computer-based menu planning program for day-care centers maximizing food preference score among children and satisfying such constraints as expense, nutrients, and season. Children's preference about 142 menu items was surveyed among 382 children of day-care centers. A 16-bit personal computer compatible with IBM-PC/AT was used. The data base files were created by dBASE III Plus, and processing programs were created by using FORTRAN language. Children preferred bread or a la carte menu items to cooked rice in main dish category. Deep fat fried or stir-fried menu items were more preferred than kimchi or cooked vegetables in side dish category. Preference scores for menu items were influenced by cooking methods or main ingredients. The contents of the computerized system show that when the program runs, the user should type inputs of cycle, season, and menu pattern, then the computer lists a series of menu satisfying the criteria of constraints. The user can examine and select a set of menu from the menu lists. Menus are generated seasonally. Menu lists are generated weekly and monthly basis with the contents of menu items, preference scores and price. Nutrient reports are also generated on a weekly and monthly basis with the contents of calories, 12 nutrients and price. Recipes for each menu items are also generated.

  • PDF

돌상어 Gobiobotia brevibarba (Cyprinidae)의 산란 생태 (Reproductive Ecology of Gobiobotia brevibarba (Cyprinidae))

  • 최재석;변화근;권오길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3-128
    • /
    • 2001
  • 강원도 홍천군 서면 반곡리에서 1999년 3월부터 2000년 2월까지 Gobiobotia brevibarva를 대상으로 산란생태를 조사 연구하였다. 본 종의 서식지는 유속이 빠르며 하상이 작은돌, 자갈로 이루어진 여울역이었다. 산란장은 수심 20~50 cm, 유속 0.6~1.3 m/sec 그리고 하상구조는 cobble과 boulder로 이루어진 곳이었다. 암 수 성비는 1 : 0.86이었으며 산란성기는 수온이 $18{\sim}20^{\circ}C$가 되는 5월이었으며 생식활동의 시작은 암컷 체장 50 mm, 수컷 체장 40 mm 이상이 되어야만 성적으로 성숙하였다. 평균포란수는 평균 $2,040{\pm}400.57$개, 난의 직경은 $1.98{\pm}0.06\;mm$였다. 성숙란은 밝은 노란색을 띤 완전한 구형으로 침성란이었다.

  • PDF

수림가장자리의 경관생태적 특성분석 (A Character Analysis of the Woodland Edge in point of Landscape Ecology)

  • 조현주;나정화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5권
    • /
    • pp.13-18
    • /
    • 2007
  •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set improvement guidance a character analysis of woodland edge to cope with the ecological dysfunction of woodland which was caused by massive development project and thoughtless development in country areas. The summary of research result are as follows. 1) From the result of landscape ecology characteristic analysis of woodland in all seven research sites, to begin with, in proportion of appearance by vegetation layer and condition of composition, site 5 showed to be most satisfactory. 2) A width of woodland edge was revealed 7.5m as a minimum, 17.0m as a maximum, and 11.4m as a average and minimum edge was set as 10m according to integrated analysis on each example place. 3) As a result of flexibility analysis, site 1, 2 and 5 was shown high value 3, and it is thought that curve rather than linearity should be maintained in order to increase the ecological function. Also, a phenomenon of straight was prominent, and as a woodland edge, green network and buffering system showed to be somewhat unsatisfactory. 4) Based on the result of character analysis of landscape ecology, main guidelines for improvement of woodland edge were categorized into five in parallel structure and three in vertical structure respectively. The guidelines for improvement of woodland edge suggested by the research has a deep meaning in that it is used as a basic material to induce for controling more systematically or landscape-friendly the defamed forest problems caused by road construction, various development projects, and enlargement of agricultural lands.

  • PDF

백화점 판매원의 정서성과 성과압력에 따른 감정노동 연구 (The Effect of a Salesperson's Affectivity and the Performance Stressor on Emotional Labor at the Department Stores)

  • 추호정;김현숙;전대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11-423
    • /
    • 2010
  • Retail stores with a primary competitive advantage in satisfying customers with high quality differentiated services depend heavily on a sales force to produce and deliver services in a consistent manner. Salespersons in a high service retail context are required to act to express certain types of emotion in compliance with the emotional rules of the organization that is conceptualized as "emotional labor" in the literature. This study adopts the dyadic model of emotional labor originally proposed by Hochschild. A survey method is implemented to collect data to test the hypotheses among the variables such as positive and negative affectivity, performance stressor, emotional labor,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One hundred and twelve responses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with SPSS12.0 and Amos 6.0. The factor analysis confirms that emotional labor is composed of deep acting and surface acting. Eleven hypotheses were tested by path analysis and seven were accepted. The major findings are that deep acting was affected by positive affectivity, negative affectivity, and a performance stressor. The surface acting was affected only by negative affectivity. Surface acting had an indirect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via emotional burnout while deep directly acting influenced job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ositive affectivity and a performance stressor on surface acting was significant. The implications for retail firms a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with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북천에 서식하는 종개 Barbatula toni(Pisces: Namacheilidae)의 서식지 특징 및 섭식생태 (Habitat Characteristics and Feeding Ecology of the Siberian Stone Loach Barbatula toni (Pisces: Namacheilidae) in the Bukcheon (Stream))

  • 전용락;고명훈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78-286
    • /
    • 2021
  • 북천에 서식하는 종개 Barbatula toni의 서식지 특징 및 섭식생태를 밝히기 위해 2013년 1월부터 12월까지 강원도 고성군 간성읍의 북천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다. 종개는 최상류부터 최하류까지의 여울 또는 느린 여울의 돌과 자갈 바닥에 서식하였는데, 채집개체수는 중·하류부가 가장 많았다. 연령별로 서식지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당년생(0+)과 1년생(1+)~3년생이상(≥3+)은 구별되었는데, 당년생은 유속이 빠르고(37.6±26.79 cm/sec) 수심이 낮으며(13.3±9.47 cm) 자갈 바닥(하상크기 9.5±6.66 cm)에 주로 서식하였지만, 1년생~3년생 이상은 유속이 비교적 느리고(13.3±17.33 cm/sec) 수심은 비교적 깊으며(25.9±10.31 cm) 작은돌과 큰돌 바닥(하상크기 18.0±7.63 cm)에 주로 서식하여 차이를 보였다. 종개는 주로 5℃ 이상 되는 3월부터 12월까지 섭식을 하였고, 평균섭식량은 6월과 10월에 정점을 보였다. 소화관 내용물을 상대중요성지수(IRI)로 분석한 결과, 파리목(Diptera, 57.0%), 하루살이목(Ephemeroptera, 29.3%), 날도래목(Trichoptera, 13.5%)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당년생 치어는 크기가 작은 파리목과 날도래목을 주로 섭식하였으나 성장하면서 크기가 큰 하루살이목을 주로 섭식하여 먹이전환을 보였다. 이러한 종개의 먹이습성 및 성장에 따른 먹이변화는 자매종 대륙종개 B. nuda와 매우 유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