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ad

검색결과 3,312건 처리시간 0.027초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mount of postoperative drainage after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and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 Kim, Hyunyoung;Chung, Seung-Won;Jung, Hwi-Dong;Park, Hyung-Sik;Jung, Young-S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0권4호
    • /
    • pp.169-172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compare the amount of postoperative drainage via closed suction drainage system after intraoral vertical ramus osteotomy (IVRO) and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SSRO). Materials and Methods: We planned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of 40 patients selected from a larger group who underwent orthognathic surgery from 2007 to 2013. Mean age (range) was 23.95 (16 to 35) years. Patients who underwent bilateral IVRO or SSRO were categorized into group I or group II, respectively, and each group consisted of 20 patients. Closed suction drainage system was inserted in mandibular osteotomy sites to decrease swelling and dead space, and records of drainage amount were collected. The data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independent t-test. Results: The closed suction drainage system was removed at 32 hours postoperatively, and the amount of drainage was recorded every 8 hours. In group I, the mean amount of drainage was 79.42 mL in total, with 31.20 mL, 19.90 mL, 13.90 mL, 9.47 mL, and 4.95 mL measured at 0, 8, 16, 24, and 32 hours postoperatively, respectively. In group II, the mean total amount of drainage was 90.11 mL, with 30.25 mL, 25.75 mL, 19.70 mL, 8.50 mL, and 5.91 mL measured at 0, 8, 16, 24, and 32 hours postoperatively, respectively. Total amount of drainage from group I was less than group II,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338).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rainage between group I and group II only at 16 hours postoperatively (P=0.029). Conclusion: IVRO and SSRO have different osteotomy design and different extent of medullary exposure; however, our results reveal that there is no remarkable difference in postoperative drainage of blood and exudate.

Pancreatic Carcinoma, Thrombosis and Mean Platelet Volume: Single Center Experience from the Southeast Region of Turkey

  • Afsar, Cigdem Usul;Gunaldi, Meral;Kum, Pinar;Sahin, Berksoy;Erkisi, Melek;Kara, Ismail Oguz;Paydas, Semra;Duman, Berna Bozkurt;Ercolak, Vehbi;Karaca, Feryal;Uyeturk, Ummugul;Guner, Sebnem Izmir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1호
    • /
    • pp.9143-9146
    • /
    • 2014
  • Backgroun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deep vein thrombosis (DVT) and pancreatic cancer as well as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ean platelet volume (MPV), DVT and survival. Materials and Methods: Seventy-seven patients with pancreatic cancer, who were admitted to Cukurova University Medical Faculty, Department of Medical Oncology, were enrolled in the study Results: The mean age was $59{\pm}20$. Forty-nine (63.6%) were men and 28 women (36.4%). Sixty-eight (88.3%) patients had adenocarcinoma and 9 (11.7%) had a malignant epithelial tumor. Thirty-six (46.7%) had liver metastasis at diagnosis. Twenty-six (33.8%) patients were alive, 20 (26%) were dead and in 31 (40.2%) the status was unknown. Only 14 (18.1%) patients had DVT. In 42 (54.5%) patients MPV values were normal, in 28 (36.4%) patients they were above normal, and in 7 (9.1%) patients they were below normal.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ender, tumour localization, chemotherapy and survival rates (p:0.56, p:0.11, p:0.2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VT, gender, localisation, histological subtype, the presence of metastasis, stage and if the patient had been treated with chemotherapy (p:0.5, p:0.6, p:0.2, p:0.32, p:0.1, p:0.84).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PV and DVT (p:0.57)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iver metastasis and DVT (p:0.02). Age, stage, the presence of metastasis and DVT were prognostic in pancreatic cancer patients. Conclusions: Cases of pancreatic cancer with liver metastasis should be studied more carefully as thrombosis is more common in these patients.

국내 개가시나무 개체군의 분포 및 동태 (Dynamics and Distribution of Quercus gilva Blume Population in Korea)

  • 현화자;송국만;최형순;김찬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85-392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 멸종위기식물인 개가시나무의 분포 범위와 국내 자생지 내에서의 생육 특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개가시나무는 참나무과에 속하는 상록활엽 교목으로서 일본, 대만, 중국, 한국 등의 따뜻한 지방에 자라는 난대성 수종이다. 국내에서는 제주도의 해발 80~350 m 내에 분포하였으며, 대부분 제주도 서남부지역의 해발 100~200m에 집중 분포하였다. 개가시나무의 수고는 평균 $9.8{\pm}1.9m$로 9~12 m 사이의 개체가 가장 많았으며, 흉고직경은 평균 $22.6{\pm}6.8$로 20~30cm의 개체가 가장 많았다. 또한 맹아지의 발생으로 다수의 분지가 형성 되었으며, 평균 $3.8{\pm}2.1$개의 맹아로 이루어졌다. 자생지 내에 분포하는 개가시나무의 96.2%에 덩굴식물이 부착되어있으며, 덩굴식물은 15과 18종으로 상록성 덩굴식물인 마삭줄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덩굴식물이 개가시나무의 수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분석한 결과, 9~12 m의 개가시나무에서 수관형성에 영향을 주어 고사된 가지가 확인된 개체가 가장 많았으며, 부착된 덩굴식물의 종 수가 많을수록 높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자생지 내에서 개가시나무의 보존을 위해서는 이들 덩굴식물의 생육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호박꽃과실파리의 트랩형 수컷박멸제 기반 기술 개발 (Technologies Required for Development of Trap-based MAT Control Against the Striped Fruit Fly, Bactrocera scutellata)

  • 김규순;김민현;권기면;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51-60
    • /
    • 2017
  • 호박꽃과실파리(Bactrocera scutellata)는 호박꽃을 가해하는 해충이다. 이들 수컷은 식물체 유래물질인 raspberry ketone (RK)에 유인되어 섭식하는 습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이 해충의 방제를 위해 수컷박멸기술(male annihilation technique: MAT)을 개발하는 데 목표를 두고 이를 위한 기반 기술을 탐색하였다. 효과적 유인 물질이 실내 및 실외 실험을 통해 비교되었다. 일반적으로 과실파리류에 유인효과가 높은 methyl eugenol에 호박꽃과실파리 암수는 모두 반응하였으나 야외에서는 전혀 유인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RK의 합성 유도체인 cuelure(CL)에 호박꽃과실파리 수컷은 실내 및 야외조건에서 모두 높은 유인효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지향하는 왁스형 방출기 조건에서 RK가 CL에 비해 동등하거나 우수한 유인효과를 보였다. MAT를 구성하는 데 유인 물질과 함께 포함될 살충제를 피레스로이드 살충제로 선발하였다. 또한 MAT 처리 후 치사된 개체의 확인과 계수를 위해 깔때기형 트랩을 선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는 호박꽃과실파리의 MAT 기술은 RK과 비펜스린을 담은 왁스형 방출기로 결정하고 이를 깔때기트랩에 설치하도록 구성하였다. 이러한 기본 조건은 추후 현장 적용할 MAT 기술 개발에 기반 정보로 이용될 수 있다.

72.5kV GIS 전력 장비의 KEPCO 기준 내진 및 응력 해석 (Seismic and Stress Analysis of 72.5kV GIS for Technical Specification of KEPCO)

  • 이재환;김영중;김소울;방명석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3호
    • /
    • pp.207-214
    • /
    • 2017
  • 국내의 72.5kV 이상, 주파수 60Hz의 송배전설비인 옥내 및 옥외용 가스절연개폐장치(GIS)는 내진 안전성에 대해 국가에서 정한 한전표준규격(ES-6110-0002)을 만족해야 한다. 이 규격에서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IEC 62271-203, 62271-207 등의 관련 기기 규격에 준한다. 한전표준규격에서 기기는 정상사용상태와 특수사용상태에서 건전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안전성 판단을 위해 ASME BPVC SEC.VIII 내압용기 설계 기준에 의해 A6061-T6 재질의 GIS에 대한 정상사용상태 기준과 국내 한전표준규격과 국외 IEC 62271-207에 의한 특수사용상태 기준(지진)에 대한 총체적 응력상태를 판단하였다. 한전표준규격 기준(0.22g) 적용시, 최종응력이 알루미늄인 Part A는 78.2MPa, Part D2의 경우 102.3MPa로, ASME 허용응력 값 181.5MPa를 만족하고 있다. IEC 62271-207 High 0.5g의 경우에도 최종응력은 Part A는 90.5MPa, Part D2는 103.8MPa이다. 본 연구 결과, 72.5kV GIS는 한전표준규격의 구조안전성과 내진성능을 충분히 만족함을 보이고 있다. 내진해석으로 내진시험을 수행할 수 없는 대형 전력기기의 내진성능 실증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잔디의 잎마름증상(Yellow patch)을 일으키는 2핵성 Rhizoctonia의 동정 및 병원성 (Identification and Pathogenicity of Binucleate Rhizoctonia Isolates Causing Leaf Blight(Yellow Patch) in Turfgrass)

  • 김진원;심규열;김호준;이두형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9-111
    • /
    • 1992
  • 국내 골프장에 식재된 bentgrass (Agrostis palustris Huds), zoysiagrass (Zoysia japonica Steud) 및 Kentucky bluegrass (Poa pratensis L.)에 잎마름증상(yellow patch)을 나타내는 병반 부위에서 병원균을 분리ㆍ동정한 결과 2핵성인 Rhizoctonia cerealis로 동정되었다. 병원균은 잔디의 관부와 엽조직을 침해하였으며, 병징은 bentgrass의 경우 1m 내외의 둥근 고리모양의 병반을 형성하고, 병반 가장자리의 잔디잎은 초기에는 붉은색을 띠며 병이 진전됨에 따라 갈변하였다. Zoysiagrass에는 직경 30~40cm의 근사원형의 병반이 봄철 맹아시기에 발생하고, 병반 부위에서는 잔디가 맹아되지 않았다. 맹아된 잔디에는 부정형의 볏짚색 반점이 생기면서 고사되었다. Rhizoctonia cerealis의 균사직경은 2.5~6.3$mu extrm{m}$(평균 3.8$\mu\textrm{m}$)이었으며, 균사는 담황색을 띠고, 균총의 색은 밝은 갈색을 나타냈다. Monilioid cell 크기는 5.8~12.5$\times$l3.8~37.5$\mu\textrm{m}$였으며, 배지상에서 형성된 균핵의 크기는 0.2~2.0mm, 균핵의 색은 처음에는 흰색을 띠다가 성숙해가면서 갈색을 나타냈다. 온도에 따른 균사의 생장은 23$^{\circ}C$에서 가장 양호했다. 병원성 검정 결과 분리균간에 병원성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 PDF

프랑스 사회적 미니멈(Minima sociaux)의 구조 및 급여 체계 : 유럽 공공 부조 제도의 한 연구 (French 'Minima Sociaux's Scheme, Benefit Determination Rule and its Appreciation : A Study on Social Assistance in Europe)

  • 심창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9권3호
    • /
    • pp.75-97
    • /
    • 2007
  • 본 연구는 유럽 공공 부조 및 최저 소득 보장 체계 연구의 하나로서 프랑스의 사회적 미니멈에 대해서 이의 구조 및 급여 체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 측면에서 프랑스 사회적 미니멈은 여덟 종류의 선별적 급여와 하나의 보편 급여를 가진 다원적 구조 체계를 보이고 있다. 이는 사회보험의 사각지대에 있는 사람들에 대해서 최저 소득을 보장하려는 의지의 표출임과 동시에 각각 다른 시기, 다른 논리에 의한 제급여의 도입 및 실시 결과의 부산물이기도 하다. 둘째, 급여 결정 기준을 바탕으로 아홉 종류의 급여 체계를 살펴본 결과, 근로 능력이 없는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급여가 근로 능력이 있는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 급여보다 그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빈곤 집단의 소득 보장에 대한 국가 및 사회 개입에 있어서 근로 능력의 유무에 따른 프랑스의 양분된 시각을 반영하고 있다. 셋째, 사회적 미니멈 급여 수준과 상대적 빈곤선과의 비교 결과, 대부분의 급여수준이 상대적 빈곤선 수준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사회적 미니멈 수급자들에게는 연계 부조 프로그램이나 부가적 권리까지 부여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사회적 미니멈은 빈곤 극복을 위한 유일한 대안이 아니라 기본 대안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넷째, 최저 임금 수준과의 비교 결과, 최저편입(RMI)급여 수준은 50%이하임이 드러났다. 이는 수급자의 소득보장에 대한 국가의 제한적 역할 수행, 지위 논리 개입 등 복합적인 요인의 결과이다.

  • PDF

이동물체의 기하학적 위치정보를 이용한 자율이동로봇의 위치추정 (Position Estimation of Autonomous Mobile Robot Using Geometric Information of a Moving Object)

  • 진태석;이장명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38-444
    • /
    • 2004
  • 가까운 미래에 필요로 하게 될 지능형 로봇은 인간과 공존하고 효과적으로 인간을 도울 수 있는 인간 친화적인 로봇이다. 이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로봇은 주어진 환경에서만 아니라 미지의 환경에서도 주행중인 자신의 위치와 자세를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더욱이, 자신의 위치가 자연스럽게 인식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래서 이동로봇의 주행에서 발생되는 불확실을 해결함으로써 로봇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물체의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이동로봇의 자기위치추정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것은 엔코더의 관측 위치정보와 이동로봇의 위치정보를 추정하기 위한 카메라영상에서의 추정된 위치정보를 결합하는 방법이다. 기준좌표계상에 이동물체의 사전 경로정보와 투영된 카메라 모델, 기하학적 구속식을 이용함으로써 이동물체에 대한 영상 좌표와 추정된 이동로봇의 위치 정보간의 관계를 표현 할 수 있다. 제시된 식은 추정된 위치에 근거하기 때문에 측정오차를 항상 가지게 된다. 제안된 방법은 관측되고 추정된 영상좌표간의 오차정보를 이용하여 이동로봇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었다. 이러한 추정을 위해서 칼만필터를 적용하였으며 제안된 방법의 성능은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하여 제시하고 있다.

고산지대(高山地帶) 산화적지(山火跡地)의 식물생태(植物生態)에 관한 연구(硏究) - 지리산(智異山)의 제석봉(1,806m) 지역(地域)을 중심(中心)으로 - (Plant Ecological Studies of Burned Field at the High Mountain Region - Especially at Cheisuk-bong (1,806m) Area in Mt. Chiri -)

  • 박광우;정성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1호
    • /
    • pp.33-41
    • /
    • 1990
  • 지리산(智異山) 제석봉(1,806m)의 산화적지(山火跡地)에서 고사입목(枯死立木)을 조사(調査)하여 산화발생(山火發生) 전(前) 임분(林分)의 구조(構造)를 추정(推定)하였고, 식생(植生)을 조사(調査)하여 종조성(種組成), 생활형(生活型) 조성(組成) 등(等)을 분석(分析)하였으며, 고산지대(高山地帶)에서 산화(山火) 발생(發生) 후(後) 일어나는 식물군락(植物群落)의 이차천이(二次遷移) 과정(過程)을 밝혔다. 산화(山火) 발생(發生) 전(前)의 임분(林分)은 잣나무 75%, 구상나무 15%, 가문비나무 %로 구성(構成)된 극성상림(極盛相林)의 상태인 고산성(高山性) 침엽수(針葉樹) 임분(林分)으로 추정(推定)되었으며, 산화(山火) 발생(發生) 후(後) 유일하게 생존(生存)한 종(種)은 거제수나무 1본(本) 뿐 이었다. 산화적지(山火跡地) 내(內) 식물(植物)은 13과(科) 23종(種)이 출현(出現)하였으며, 식물군락(植物群落)의 조성(組成)은 우점종(優占種)이 김의털(66.5%)이었고, 개나래새(38.9%), 산거울(24.6%), 곰취(21.4%) 등(等) 순(順)이었다. 식물(植物)의 생활형(生活型)은 직립형(直立型)이 47.8%, 속생형(束生型)이 30.4%, 분지형(分枝型)과 2차(次) Rosette형(型)이 각 각 8.7% 등(等) 이었다. 고산지대(高山地帶)에서 이차천이(二次遷移)가 진행(進行)되면서 우점종(優占種)의 변화(變化)는 화본과(禾本科) 식물(植物)(김의털, 개나래새), 산거울${\rightarrow}$마가목, 철쭉꽃, 딱총나무, 미역줄나무${\rightarrow}$좁은단풍, 거제수나무, 신갈나무${\rightarrow}$소나무과(科) 식물(植物)(잣나무, 구상나무, 가문비나무)림(林)으로 천이(遷移)가 진행(進行)될 것으로 예상(豫想)되었다.

  • PDF

노인요양시설 활동공간의 구성유형과 형태별 위계적 특성 연구 (A Study of Hierarchical Characteristics by the Spatial Compositions and the Forms of Activity Areas in Nurs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 이민아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5호
    • /
    • pp.195-209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design guidelines of activity areas in elderly nursing facilities. For the study, the activity areas of 44 facilities in Korea were investigated to categorize their spatial compositions and forms, and then a case study about 19 facilities was conducted to analyse their hierarchic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type of spatial composition among 44 research facilities was concentration, but compartment type was the main among unit-care facilities. By the year, all the types of spatial composition were evenly distributed during recent five years, while concentration type was about 40% before 2003. Second, the major form of activity areas was hall or corridor extension for large group. But there was more alcove or separation form among small group spaces. Third, in the case analysis about hierarchical characteristics, hall and corridor extension form met the requirements of accessibility and openness of public and semi-public areas. On the other hand, separation form had a problem in satisfying both requirements. The semi-private areas, which were around the elderly bedrooms and the elderly were able to watch activities in, were not sufficient in many facilities. Fourth, the division of public and semi-public area was mainly by furniture, and the individuality of semi-private area was defined by dead-end place and corner seats of the window or the corridor. The diversity of semi-private area was likely to be appeared in connection or distribution typ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 basic design guidelines for activity areas in elderly nursing facilities could be suggested as follows: On the whole, connection or distribution type in spatial composition is more efficient for hierarchical flow than concentration or compartment type is, especially in Korean facilities having many elderly residents per floor. In detail, the design of public and semi-public area should be focused on their openness and accessibility. The recommended forms of activity areas were hall or corridor extension in public area, and living room, corridor extension, or large corridor in semi-public area to effectively function as large or small group spaces. In semi-private areas, the spatial diversity and individuality should be conside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