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e-politicization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6초

중국 현대 복식의 (탈)정치적 특성 -선전 포스터에 나타난 사례를 중심으로- ((De-)politicization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Dress Represented in Propaganda Posters)

  • 오단;임은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77-491
    • /
    • 2015
  • This study analyzes Chinese dresses featured in propaganda posters since the mid-$20^{th}$ century as well as explores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dress. This study used an in-depth interview method to investigate information from 10 Chinese familiar with public awareness and donning practices of the Chinese from 1949 to present. Interviews and analysis provid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Zhongshan-zhuang, Liening-Zhuang and Bulaji were widely worn in the Reconstruction because of the revolutionary spirit; in addition, Huayishang also became simultaneously popular as a means to reflect the new aspects of socialism. Second, Jufu/Junbianfu were the most common dresses during the period of Cultural Revolution because the government used various mechanisms to control public opinion. Third, Western fashion began to enter the Chinese market and suit wearing by the Chinese became a symbol of the Reformation and Open-door policy. Traditional dress is no longer a symbol of Feudalism and is a part of Chinese culture that has been reaccepted in the Reformation and Open-door times. Finally, during these 60 years, Chinese dress has obvious political characteristics, but began to change. The changes of political characteristics were, de-politicization expressed by the introduction of Western ready-made, permissions for traditional dress and diversification/ individualization.

20세기 중반 이후 중국 일상 복식의 변화 (Changes in Everyday Wear in China Since the Mid-20th Century)

  • 오단;임은혁;김순영
    • 복식
    • /
    • 제64권1호
    • /
    • pp.89-105
    • /
    • 2014
  • This study researched the changes in everyday wear in China since the mid-20th century. The study was conducted by interviewing 13 Chinese persons who were familiar with the public awareness and donning practices of the Chinese from 1949 to now,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through categorical analysis and subject analysis. First of all, due to the influences of Zhongshan-zhuang, Liening-zhuang and Bulaji, political characteristics were represented the most during the reconstruction time, and during this time, Jieyueling also became famous. Second, during the period of the Cultural Revolution, the government used many mechanisms to control people's thought, so Junfu/Junbianfu and sailor shirt were the most common clothing. Third, information from the West began to enter the Chinese market and it started to influence and change the Chinese thinking. Suit, bat wing sleeves, colorful skirt, flares and jeans became more and more popular in the reform and open times. Fourth, during the personality expression time, people not only copied fashion icons' styles, but also created new styles like sexy, cute, ethnic, K-pop, street, and DIY style, in order to show their personality. Finally, during these 60 years, the changes of Chinese everyday wear were characterized by de-politicization, ready-made, diversification and individualization.

신구(新舊) 관념의 교차와 전통 지식 체계의 변용 (The Conceptual Intersection between the Old and the New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 이행훈
    • 한국철학논집
    • /
    • 제32호
    • /
    • pp.215-249
    • /
    • 2011
  • 본고는 서양 근대 문명 수용 초기(1890~1910)에 발생한 신구 관념의 대립과 충돌을 중심으로 전통 지식 체계의 변용을 역사의미론적으로 탐색함으로써 한국의 근대를 성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에서 신구 관념을 놓고 벌어진 주체 간의 투쟁은 전통개신론자들과 문명개화론자들의 주장에서 첨예하게 드러났다. 서양의 충격에서 비롯된 신구 관념의 대립과 충돌은 우주 자연으로부터 사회 정치체제, 학술?문화 등 모든 부문에서 인식의 전환을 요구하였지만, 전통 지식 체계를 이해하는 시각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신구 관념에 따른 전통 지식 체계의 구축과 변용과정에서 문명개화론자들에게 '구(舊)'는 단순히 과거의 '지나간', '오래된' 것이 아니라 파괴하고 제거하지 않으면 새로운 문명 건설을 방해하는 장애물이었다. 그러나 전통개신론자들에게 '구(舊)'는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이념 속에서 다시 '신(新)'으로 거듭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함하고 있는 '개신(改新)'의 대상이었다. 박은식의 "유교구신론(儒敎求新論)"이나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은 전통 지식 체계를 '신학(新學)'으로 재편하려한 대표적인 시도였다. 보편성과 객관성, 합리성을 추구하는 과학적 방법을 수용함으로써 전통 지식 체계는 근대적인 학문으로 변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신학(新學)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성학(聖學)으로서의 위상은 탈각되었고, 신앙과 종교적 전통 또한 약화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전통 지식 체계의 변용과 '구학의 신학화' 과정에서 신구 관념의 교차가 발생하였다. 여기서 특히 신구 관념의 교차를 가능하게 한 '실(實)(학(學))' 개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세기 전후 발간된 다종의 근대 매체는 신구 관념의 다층적 전개 양상을 여실히 보여주는데, 전통 지식 체계가 신학(新學)으로 변용될 수 있었던 계기로서 '실학'이라는 개념적 준거틀이 작동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 시기 실학이 지칭하는 대상은 대체로 서양의 학문인 '신학(新學)'을 표상하고 심지어 등치되기도 했지만, 전통개신론자들은 문명개화론자들이 점유하였던 '실학' 개념과 그 의미를 재해석함으로써 전통 지식 체계를 신학으로 바꿀 수 있었다. 이들은 과학 기술에 압도되어 점차로 거세되어가던 전통적 가치를 '신학' 수용의 토대로 인식하고, '실학(實學)'을 개념을 준거로 하여 '신학(新學)'을 재전유(再專有)(re-appropriation)하였다. 일제의 강점이 구체화 되어 전통 지식 체계의 주체적 변용 시도는 일정한 한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었지만 '구학의 신학화'는 '동도서기(東道西器)' 논리가 지닌 모순과 문명개화론의 탈주체성을 넘어서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도덕 원리와 경쟁 원리가 충돌하고 '진화'와 '진보'가 대세인 현실에 대응하려했던 '동도서기(東道西器)' 논리는 이미 분리될 수 없는 도(道)와 기(器)를 분리 가능한 것으로 상정해야만 성립되는 모순을 안고 있었고, 문명개화론은 서양을 내면화하여 자기 비하와 멸시로 주체의 균열을 야기하고 전통 지식 체계로부터 단절됐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