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sanbyeo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3초

Comparison of Yield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Korean High Yielding Cultivars and IRRI's New Plant Type Rice Line

  • Lee, Byun-Woo;Ha, Jong-Ryu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59-63
    • /
    • 1999
  • Yield and growth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for five rice cultivars; a new Tongil-type, so called "super-rice", Dasanbyeo, an old Tongil-type Milyang 23, two japonicas Dongjinbyeo and Ilpumbyeo, and a new plant type (NPT)line IR65600-27-1-2. The objective of this stusy was to clarify the high yielding capacity of Dasanbyeo in terms of growth characteristics. The average grain yield (9 t/ha) of Dasanbyeo was higher than that of Milyang 23 by ca. 9% that of japonicas by 20 to 30%, and that of NPT line by ca. 100%. The higher grain yield of Dasanbyeo was attributable not only to the greater dry matter production but also to the higher harvest index (HI). Dasanbyeo showed the greatest dry matter at harvest owing not only to the rapid leaf expan-sion at early growth stage and the resulting high LAI through the entire growth stage but also to the high NAR despite the high LAI. The rapid leaf expansion of Dasanbyeo at early growth stage seemed to be related in part to the profuse tillering capacity. HI was 0.53 in Dasanbyeo, 0,51 in Milyang 23, 0.41 in japonicas, and 0.35 in NPT line. Dasanbyeo was indebted for its higher HI to the relatively high grain filling ratio in spite of a much greater sink size than the other cultivars. Dasan had a greater source to sink ratio during grain ripening as measured by LAD/spikelet and dry matter production/spikelet which showed positove correlations with the grain ripening ratio. New plant type (NPT) line showed the lowest grain yield owing to the small sink size and the low grain filling ratio which seemed to have resulted from the abundant occurrence of weak-strength spikelets. The weak sink strength, in turn, seemed to have suppressed photosynthesis during the grain ripening stage.

  • PDF

Absorption and Partition of $^{15}N-labeled$ Fertilizer in Rice under Different Nitrogen Application Time and Rate Conditions

  • Chun, Areum;Lee, Ho-Jin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32-40
    • /
    • 2006
  • The nitrogen (N) absorption and partition of the rice plants are important indicators that can be used to improve the N use efficiency (NUE) of the plants. Improving the plant NUE can help to avoid nutrient waste that may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To investigate the N absorption and partition of the rice plants, Hwaseongbyeo (Japonica) and Dasanbyeo (indica/japonica) were applied with N fertilizers at the rates of 60, 120, and 180 kg N per ha in paddy field. Also micro plots of $0.81m^2$ were established inside each plot for application of $^{15}N-labeled$ fertilizer. The differences in N utilization of the rice plants were associated with the total N absorption and partitioning after the heading stage. In the grain filling period, the increase of nitrogen content in the total and leaf blades of Dasanbyeo was higher than that of Hwaseongbyeo. Soil N was the main contributor for the increase of total N of Dasanbyeo during the grain filling period. The N fertilizer uptake rate of Hwaseongbyeo rapidly increased with the increment of N fertilization rate. In Dasanbyeo, N fertilizer uptakes were similar under all rates and times of N application. From heading stage to harvest, Dasanbyeo continued accumulating nitrogen, whereas Hwaseongbyeo had small changes. In conclusion, the difference in nitrogen absorption and partition after heading of the two cultivars was caused by the ability of Dasanbyeo to accumulate and remobilize soil nitrogen to the grains during the grain filling period.

육성연대가 다른 벼 품종들의 수량형질 연차간 변이와 안정성 (Yearly Variation and Stability of Yield Characters in Rice Varieties Released in Different fears)

  • 이점호;정국현;김홍열;양세준;최해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361-365
    • /
    • 2000
  • 20세기에 재배되었던 우리나라 벼 품종 중에서 육성년대별로 비교적 널리 보급되었던 15개 품종에 대하여 수량구성요소를 분석하고 수량의 연차간 안정성을 검정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량구성요소 가운데 연차간 변이가 가장 작은 품종은 주당수수에서 다산벼, 수당립수에서 조동지, 등숙비율에서 용문벼, 천립중에서 낙동벼, 수량에서 다산벼였다. 2. Stroike and Johnson의 모델을 이용한 분석결과 자포니카에서 일품벼, 화성벼, 동진벼 통일형에서 안다벼, 다산벼가 평균 이상의 연차간 안정성을 보였다. 3. Grafius의 모델을 이용한 분석에서 universal variety의 만족조건을 충족시키는 품종으로는 자포니카에서 일품벼, 동진벼, 화성벼, 낙동벼, 조동지 등이었고, 통일형에서 다산벼와 삼강벼 등이었다. 4. Finlay and Wilkinson의 모델을 이용하여 안정성을 검정한 결과 자포니카에서 다마금. 동진벼, 화성벼, 일품벼 통일형에서 다산벼와 용문벼가 연차간 환경변이에 대하여 적응성이 높았다. 5. 이상의 3가지 검정방법으로 연차간 수량과 안정성을 추정하여 볼 때 공시품종 중에 최근 육성 품종들이 높은 안정성과 수량성을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

광도 변화에 따른 다산벼의 분얼경 발생 특성 (Characteristics of Tillering as Affected by Light intensity in Dasanbyeo, an Indica/Japonica High Yielding Rice Cultivar)

  • 김덕수;양원하;신진철;김제규;류점호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151-158
    • /
    • 2002
  •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다수성 벼인 다산벼는 단위면적당 수수가 자포니카 품종에 비해 적어서 수량에 제한요인이 되고 있어 다수성 벼의 분얼특성을 구명 하고자 1999년 작물시험장 인공기상연구동에서 Indica$\times$Japonica 인 다산벼와 자포니카 품종인 화성벼를 공시하고, 광 강도를 220$\mu$㏖/s/$m^2$, 600$\mu$㏖/s/$m^2$, 1220 $\mu$㏖/s/$m^2$로 처리하여 다수성 벼의 수량 향상을 위한 품종 육성 및 재배 기술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광도에 따른 경수 증가는 220$\mu$㏖/s/$m^2$에서는 다산벼가 화성벼보다 빨랐으며, 600$\mu$㏖/s/$m^2$에서는 비슷하였고, 1220$\mu$㏖/s/$m^2$에서는 다산벼가 화성벼보다 경수 증가 속도가 늦어, 다산벼가 약광하에서 광합성량 및 광 이용효율이 높을 것이라는 것을 시사하였다. 2. 분얼경 발생은 220$\mu$㏖/s/$m^2$~1220$\mu$㏖/s/$m^2$에서 1차 분얼경이 다산벼는 5~7개, 화성벼는 2~7개로 다산벼가 화성벼보다 변이가 적었고, 2차 분얼경은 다산벼가 2~13개, 화성벼가 2~12개로 두 품종의 변이 정도가 비슷하였다. 3. 광도에 따른 분얼경 최초 발생시기는 다산벼, 화성벼가 1220$\mu$㏖/s/$m^2$에서는 10, 7일, 600$\mu$㏖/s/$m^2$에서는 6, 4일, 220$\mu$㏖/s/$m^2$에서는 이앙후 각각 18일로 두 품종 모두 늦어, 약광은 유묘기에 분화되었던 분얼아를 휴면으로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4. 유효경비율은 1220~220 $\mu$㏖/s/$m^2$에서 다산벼는 47~55%, 화성벼는 100~72%로 다산벼가 화성벼보다 낮았다. 이것은 다산벼는 무효분얼이 많다는 것을 시사하는 것으로 품종 육성시 유효경비율을 높여야 할 것이다.

Occurrence of Off-type Plants in japonica/indica Hybrid Rice Cultivars

  • Lee, Jeom-Ho;Jeon, Yong-Hee;Hwang, Hung-Goo
    • Plant Resources
    • /
    • 제7권2호
    • /
    • pp.141-146
    • /
    • 2004
  • Frequent occurrence of off-type plants in a given cultivar has been a serious problem in both breeder's and farmer's fields. An experiment was designe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rate of occurrence of off-type plants among Tongil-type cultivars (high yielding cultivars derived from indica/japonica hybridization) from which the possible cause of higher occurrence of off-type plant in a specific cultivar was deduced. Among five Tongil-type cultivars examined for morphological variant in the field, only one cultivar, Dasanbyeo, had off-type plants. When analyzed with SSR markers, off-type plants showed different band patterns from original cultivar, having several extra bands in addition to cultivar-specific band, suggesting that off-type plants were originated from Dasanbyeo, rather than originated from mixing or mishandling of seed materials with other cultivars. The possible cause of off-type occurrence seems to be natural pollination with other cuItivars adjacent to the original cultivar during seed multiplication. This was supported from the observation that self-crossed progeny of the off type plants showed a wide range of variation of agronomic traits which could not be observed when there was a smaller introduction of genes to the fixed germplasm as happened in the case of cultivar mutation. Another evidence supported this idea that Dasanbyeo showed much of difference in floral organ and behavior to other cultivar to be subjected to higher out-crossing than other cultivars examined.

  • PDF

온도 수준에 따른 다수성 벼 품종 ″다산벼″의 분얼 특성 (Characteristics of Tillering as Affected by Temperature Variation in Dasanbyeo, a Indica/Japonica High Yielding Rice Cultivar)

  • 김덕수;양원하;신진철;류점호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2-29
    • /
    • 2001
  • 벼 다수성 품종인 다산벼는 포장조건에서 단위면적 당 수수가 자포니카 품종보다 적어서 수량에 제한요인이 되고 있어 다수성 벼의 분얼특명을 구명 하고자 1999년 작물시험장 인공기상연구동에서 indica$\times$japonica 교잡종인 다산벼와 자포니카 품종인 화성벼를 공시하여 다수성 벼의 수량 향상을 위한 품종 육성 및 재배 기술의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분얼과 출엽 관계는 다산벼가 y=0.8638x+3.4901 ($R^2$=0.9529$^{**}$ ), 화성벼는 y=0.8844x+3.2832($R^2$=0.9084$^{**}$ )으로 비슷하여, 분얼경 1개가 발생 할 때 엽 발생은 다산벼가 0.86엽, 화성벼가 0.88엽이 발생하여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2. 온도별 분얼발생 및 종료시기는 두 품종 모두 26$^{\circ}C$까지 온도가 높을수록 일렀고, 분얼경 증가 속도는 26, 24$^{\circ}C$에서는 다산벼가 빠르고 22$^{\circ}C$~17$^{\circ}C$에서는 화성벼가 빨랐다. 3. 온도에 따른 1차 분얼경 최초 발생 시기는 다산벼는 7~9일, 화성벼는 8~10일이었으며, 2차 분얼경은 다산벼가 26$^{\circ}C$, 24$^{\circ}C$에서는 이앙 후 16, 17일, 22$^{\circ}C$에서 23일, 19$^{\circ}C$에서 27일, 17$^{\circ}C$에서 38일이었으며, 화성벼는 26~19$^{\circ}C$ 처리에서 이앙 후 19~22일, 17$^{\circ}C$에서는 26일이었다. 4. 유교분얼경 최종 출현일은 다산벼가 17~26$^{\circ}C$에서 1차 분얼경은 이앙 후 27~33일, 2차 분얼경은 20~41일이었으며, 화성벼는 1차 분얼경은 23~40일, 2차 분얼경은 24~40일이었다.

  • PDF

품종별 쌀의 이화학적 특성과 증편제조 적성과의 관계 (Interrelation betwee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ifferent Rice Cultivars and Adaptability of Jeung-pyun Preparation)

  • 우경자;이은아;황홍구;이건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69-480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cessing adaptability of Jeung-pyun. We used rice materals that were developed domestically for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rice. Six cultivars (Ilpoombyeo, Hwasungbyeo, Dasanbyeo, Daeribbyeo 1, Hyangmibyeo 1, Hyangmibyeo 2) of rice were used for making Jeung-pyun.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Hwasungbyeo had the highest amylose content (20.4%) and Hyangmibyeo 2 had the lowest one(14.9%). Lipid content was 0.23%(Daeribbyeo 1)-0.43%(Ilpoombyeo), protein content was 7.94%(Ilpoombyeo) -8.43%(Dasanbyeo), and ash content was 0.15%(Hyangmibyeo 2)-1.24% (Daeribbyeo 1). In volume and specific volume of the 3 hour fermented Jeung-pyuns, Ilpoombyeo, Hwasungbyeo, Hyangmibyeo 2 were higher, but in the 7 hour fermented Jeung-pyuns, Dasanbyeo, Daeribbyeo 1, Hyangmibyeo 1 were higher,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the test Jeung-pyuns, the overall quality of the 3 hour fermented Jeung-pyun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rice cultivars, whereas in the 7 hour fermented Jeung-pyuns Hyangmibyeo 2 had the lowest values. When the 7 hour fermented Jeung-pyuns were stored at 2$0^{\circ}C$, the hardness and brittleness of Jeung-pyuns were respectively increased, the cohesiveness was respectively decreased. The elastic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rice cultivars with storage days, and the gummin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rice cultivars, respectively increasing during storage, but Hyangmibyeo 2 was the lowest, not increased. In insturmental characteristics of Jeung-pyuns, the hardness was correlated with amylose content and the brittleness and gummines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hardness.

  • PDF

입형이 다른 벼 품종의 도정특성 및 쌀품위 (Milling Characteristics and Milled Rice Quality of Rice Varieties with Different Grain Size Shape)

  • 홍하철;정영평;김태영;손종록;황홍구;최해춘;민용규;김기종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6권1호
    • /
    • pp.46-49
    • /
    • 2003
  • 벼의 품종 및 입형별 최적도정조건을 구명하여 손실량을 최소화하고 고품질 양질쌀을 가공하기 위하여 2000년산 다산벼, 안산벼, 화성벼, 일품벼 및 동안벼의 원료품위, 제품품위, 도정특성, 도정시 소요전력 등을 조사하였다. 수확한 벼의 수분을 15%까지 건조한 후의 천립중은 다산벼가 가장 높은 28.55 g 이었고, 안산벼는 22.92 g으로 가장 낮았다. 벼의 장폭비는 다산벼, 안산벼, 동안벼, 화성벼 및 일품벼가 각각 3.03, 2.36, 2.23, 2.12 및 2.10이었다. 현미 가공시 현미기 고무롤러의 간격을 벼 품종별 두께의 20%, 30%, 40%로 다르게 조절하여 가공한 결과 현미기 고무롤러 간격을 30%로 하여 현미 가공하였을 때가 제현율이 가장 높았다. 실험실용 정미기를 이용하여 현미를 2회 도정시 다산벼는 전체 미강중 91.38%, 화성벼는 88.46%, 동안벼는 74.62%, 일품벼는 73.03%, 안산벼는 70.93%의 미강이 제거되었고, 백미가공이 끝난 후 전품종 평균 백미완전립률은 92.87%이었다.

쌀의 알칼리붕괴도와 아밀로펙틴 미세구조 및 호화 물성과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Alkali Digestive Value, Amylopectin Fine Structure and Physical Properties of Cooked Rice)

  • 송진;이춘기;윤종탁;김선림;김덕수;김재현;정응기;서세정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320-325
    • /
    • 2008
  • 본 연구는 알카리붕괴도가 다른 황금누리벼, 일품벼, 상주벼, 태봉벼, 남평벼, 다산벼의 일반미 6품종의 아밀로펙틴 구조와 밥의 호화물성을 조사 하여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이다. 1. 6품종 쌀의 알칼리붕괴도는 황금누리벼의 7.0부터 다산벼의 5.0까지 고르게 분포하였다. 아밀로펙틴 구조 분석결과 시료는 모두 중합도 12에서 최고 분포를 갖는 등 비슷한 유형을 나타냈으며 알칼리붕괴도가 높은 품종은 중합도 15까지 짧은 사슬의 함량이 다른 품종에 비해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호화된 밥의 표면 경도는 다산벼, 일품벼, 황금누리벼의 순으로 컸으며 끈기는 일품벼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밥의 전체 경도는 다산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황금누리벼, 일품벼의 순으로 경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온변리에 따른 다수성 품종 '다산벼'의 생육특성 분석 (Analysis of Growth Characteristics as Affected by Air Temperature Variation in Dasanbyeo, a Indica/Japonica High Yielding Rice Cultivar)

  • 김덕수;신진철;류점호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41-46
    • /
    • 2000
  • 본 시험은 다산벼를 공시하여 작물시험장 수도재배 포장에서 1998~1999년에 단위면적당 수수화보를 위하여 5월10일부터 10일 간격으로 6월 19일까지 5회 이앙을 하여 생육환경 변화에 따른 경수증가와 재식본수를 1, 3, 5본 및 7본으로 하였을 때 출수기의 변화를 구명하고 재배 기술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험하여 몇 가지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한다. 1. 다산벼는 초기 생육기온이 높을수록 분얼에 유리하여 이앙 후 30일 경수가 5월 10일 이앙 9.7개 보다 6월 19일 이앙이 18.3개로 8.6개가 많았다. 2. 재식묘수에 따른 경수는 7묘까지 많을수록 많았으며, 수수는 분얼 경수가 많을수록 많은 경향이었다. 3. 출수기는 이앙기가 늦어질수록 6월 9일 까지는 출수일수가 단축되었으나 6월 19일 이앙은 늦어졌다. 주당묘수에 따른 변화는 y = 2.65$x^2$-31.36x+1957.5 ($R^2$=0.9795)관계로 변화하였다. 4. 경당 건물중은 평균기온의 변화에 따라 y = -0.1285$x^2$+6.6717x-83.423($R^2$=0.9223$^{**}$ ) 관계가 있고, 경당 건물중이 가장 높은 최적 기온은 26$^{\circ}C$이었다. 5. 수수와 수량과의 관계는 수수가 증가하면 수량은 증가하였고, 그 관계는 y=1.6292x+11.701($R^2$=0.6342$^{**}$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