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mping-off (Pythium ultimum)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23초

Rhizoctonia 및 Pythium 모잘록병에 대한 Serenade 제제의 방제효과 (Control Efficacy of Serenade Formulation against Rhizoctonia and Pythium Damping-off Diseases)

  • 조은주;강범관;장경수;최용호;김진철;최경자
    • 식물병연구
    • /
    • 제20권3호
    • /
    • pp.201-205
    • /
    • 2014
  • Rhizoctonia solani와 Pythium ultimum에 의한 모잘록병은 대부분의 작물에서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여 종자와 유묘에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Serenade 제제(1.34%, SC)의 Rhizoctonia 및 Pythium 모잘록병 방제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병원균 접종 토양에 파종된 고추와 오이에 Serenade 제형 9배, 19배 및 39배 희석액을 관주 처리하였다. Serenade 제제를 9배 및 19배 희석액으로 처리하였을 때, 고추의 Rhizoctonia 모잘록병에 대한 Serenade 제제의 방제효과는 각각 58%와 29%이었다. 그리고 오이에서도 고추의 Rhizoctonia 모잘록병과 유사한 각각 54%와 28%의 방제효과를 보였다. 반면에 오이 Pythium 모잘록병에 대한 Serenade 제형의 방제효과는 Rhizoctonia 모잘록병에 비하여 아주 낮은 방제효과를 나타내었고, Serenade 9배 희석액으로 처리한 고추의 Pythium 모잘록병에 대해서만 무처리구와 유의성 있는 발병도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Serenade 제형은 Rhizoctonia 및 Pythium 모잘록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N-phenylbenzenesulfonamide 유도체들에 의한 모잘록병균 (Pythium ultimum)의 살균활성에 관한 CoMFA 및 CoMSIA분석 (CoMFA and CoMSIA Analysis on the Fungicidal Activity against Damping-off (Pythium ultimum) with N-phenylbenzenesulfonamide Analogues)

  • 장석찬;강규영;성낙도
    • 농약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17
    • /
    • 2007
  • N-phenylbenzenesulfonamide 및 N-phenyl-2-thienylsulfonamide 유도체(1-34)들의 phenyl 및 theinyl 고리상치환기(R1-R5) 변화에 따른 모잘록병균(Pythium ultimum)의 살균활성에 관한 3차원적인 정량적 구조와 활성과의 관계(3D-QSARs)들을 비교 분자장 분석(CoMFA)과 비교분자 유사성 지수분석(CoMSIA) 방법으로 각각 검토하였다. 전반적으로 CoMSIA 모델들의 통계값은 atom based fit 정렬보다는 field fit 정렬시에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CoMFA모델의 경우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CoMSIA (FF1) 모델($r_{cv.}^2\;(q^2)=0.674$$r_{ncv.}^2=0.964$)이 CoMFA (AF5) 모델($r_{cv.}^2\;(q^2)=0.616$$r_{ncv.}^2=0.930$)보다 상관성과 예측성이 양호하였다. CoMSIA (FF1) 모델의 정보에 따라 살균활성은 분자의 정전기장과 소수성장에 의존적이었다. 또한, CoMSIA (FF3) 모델의 등고도 분석 결과로부터 N-phenyl 고리상 R4-치환기의 친수성과 수소결합 받게로서의 성질인 모잘록병균의 살균활성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완두종자분필물과 Pythium에 의한 묘립고병에 대한 감수성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usceptibility to Pythium Seedling Blight and Pea Seed Exudates)

  • 오승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93-197
    • /
    • 1977
  • Pythium ultimum에 의한 묘립고병에 감수성인 완두품종의 종자는 저항성품종의 종자보다 다량의 환원당이 종자분필물내에 포함되었으며 분필속도도 감수성인 완두품종의 종자에서 더 빨랐다. 묘립고병에 저항성인 완두품종의 종자와 감수성인 품종의 종자분필물에서 모두 Raffinose, Meilbiose, Sucrose, Glucose 및 Fructose가 확인되었으나 Glucose와 Sucrose는 감수성 품종의 종자분필물에서 더 많이 검출되었다. Pythium ultimum균은 감수성인 종자 및 종자분필물에서 더 잘 자랐다.

  • PDF

토양병원균(土壤病原菌) Pythium ultimum 방제(防除)를 위한 항균성(抗菌性) 약용식물(藥用植物)의 탐색 (Screening for Antifungal Medicinal Plants Controlling the Soil Borne Pathogen, Pythium ultimum)

  • 백수봉;오연선
    • 한국균학회지
    • /
    • 18권2호
    • /
    • pp.102-108
    • /
    • 1990
  • 16과(科) 28종(種)의 작물추출액(植物抽出液)을 공시(供試)하여 Pythium ultimum에 대한 항균성(抗菌性)을 검정(檢定)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목단, 자리공, 대황 등 9개의 작물추출액(植物抽出液)에서 유주자낭(遊走子囊) 발아억제효과(發芽抑制效果)가 큰 것으로 나타난다. 목단, 대황, 자리공에서 균사생장(菌絲生長)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컸으며 그 중 목단이 가장 효과가 컸다. 참깨에서 목단 추출액(油出液)이 가장 강한 발병억제효과(發炳抑制效果)를 나타냈고, 오이에서는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없었다. 자리공추출액(抽出液)에서 종자발아(種子發芽)에 약간의 약해가 나타났고 목단과 대황의 추출액(抽出液)에서는 약해가 없었다.

  • PDF

유기물 첨가가 오이 모잘록병에 대한 미생물 제제의 생물학적 방제 효과 증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ganic Amendments on Efficacy of Biological Control of Seedling Damping-off of Cucumber with Several Microbial Products)

  • 이종문;도은수;백수봉;천세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4-49
    • /
    • 2003
  • Pythium ultimum에 의하여 발생하는 오이 모잘록병의 생물학적 방제의 효율을 연구하기 위하여 여러 미생물 제제인 Trichoderma harzianum, Streptomyces sp., Bacillus sp.,(그린바이오텍, 경기도 파주)에 톱밥, 쌀겨 등이 첨가되었다. 감자한천배지에 첨가한 톱밥 자체만으로도 P. ultimum 균사의 생육이 저해되었다. Green-all T(Trichoderma harzianum), Green-all S(Streptomyces), Green-all G(Bacillus)제제들은 오이 모잘록병의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그러나, 종자를 파종하고 병원균을 접종한 실험에 있어서 톱밥, 쌀겨 등을 Green-all T, Green-all S 제제에 첨가한 것은 입모율에 있어서 미생물 제제 단독처리에 비하여 생물학적 방제의 효과가 현저히 증가하지는 못하였다. 대조적으로, Green-all G 제제는 아미노닥터를 첨가하여 주면, 단독 처리시의 42% 이병율에서 2% 이병율로 크게 감소하여, 오이모잘록병에 대한 오이묘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효과 실험에서 Green-all T 제제에 톱밥을 첨가하면, 발병도(disease index)가 56으로 5로 감소하여, P. ultimum의 생물학적 방제 효과가 톱밥이 첨가되지 않는 것에 비하여 더욱 증가되었다. 이는 유기물 첨가에 의하여 생물하걱 방제 효과가 증진될 수 있음을 가르쳐 주는 것이라 하겠다.

벼 모 마름병(病)을 일으키는 Pythium속(屬) 균(菌)과 병원성(病原性) (Identification and Pathogenicity of Pythium spp. Associated with Seedling Damping Off of Rice)

  • 성재모;진경식;이승찬;박종성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7-32
    • /
    • 1983
  • Five species of the genus Pythium were identified from 91 isolates which were collected from rice seedlings in machine transplanting nursery boxes and paddy fields in Korea. They included P. graminicola complex, P. monospermum complex, P. rostratum complex, and P. ultimum complex. The most frequently found species of the genus Pythium was P. graminicola complex followed by P. monospermum complex. Rice seed germinability was greatly decreased by being infested with P. graminicola complex at nursery box. P. graminicola complex was the most virulent in terms of prohibiting germinations and stunting plants in nursery boxes.

  • PDF

채소류 모잘록병균에 길항하는 Bacillus ehimensis YJ-37의 선발과 항진균성 (Isolation and Antifungar Activity of Bacillus ehimensis YJ-37 as Antagonistic against Vegetables Damping-off Fungi)

  • 주길재;김진호;강상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00-207
    • /
    • 2002
  • 채소류 모잘록병균인 Pythium ultimun에 길항하는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해 체소류 뿌리를 균원시료로 하여 약600여종의 근권미생물을 분리하였고, 그중 5종의 근권미생물이 길항력을 나타내어 가장 높은 길항력 높은 Yl-37 균주를 최종 선별하였다. 분리한 길항균 YJ-37을 Bergey's Man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의 방법에 준하여 미생물의 형태학적, 배양학적, 생리·생화학적 특성을 조사 하였으며, 미생물의 세포벽의 지방산의 조성으로 자동 동정하는 Sherlock system을 이용하는 방법과 16S rDNA의 부분염기서열을 결정하여 동정하는 방법 등 3가지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근권 길항미생물인 YJ-37 균주는 Bacillus ehimensis로 동정되었다. 채소류 모잘록병균 Pythium ultimun과 Rhizoctonia solani AG-4 이외에도 B. ehimensis YJ-37에 의한 병원성 진균의 길항력을 조사한 결과, Alternaria altrata, Collectotrichum gloeosporioides, Didymella bryoniae, Fu-sarium moniliforme, F oxysporum, F. oxysporum cucumerinum, F. oxysporum niveum, Gloeosporium sp., Glomerella sp., G. cingulata, G. lagenaria, Penicillium digitatum, P. itazicum, Phytophthora capsici, Sclerotinia sclerotiorum, Stemprhyzium solani등 대부분의 병원균에 대해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Screening of an antagonist of Pythium ultimum :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 antibiotic effective to the oomycetes fungi

  • Yang, Jin-Ok;Park, Sang-Ho;Park, Dong-Jin;Kim, Chang-Jin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8년도 Proceedings of UNESCO-internetwork Cooperative Regional Seminar and Workshop on Bioassay Guided Isolation of Bioactive Substances from Natural Products and Microbial Products
    • /
    • pp.135-135
    • /
    • 1998
  • To find an antagonist of Pythium ultimum, the causal agent of damping-off, numerous actinomycete strains were screened for in vitro inhibiting mycelial growth of the target fungus and producing bioactive metabolites. A strain identified as Streptomyces sp. G60655 was isolated and used for further antagonistic efficacy. The degree of antagonism between the fungus and G60655 was affected by the medium used. Furthermore, the preinoculation of the antagonist was found to be necessary to exhibit the maximum efficacy of antagonsim against the fungus. From the culture broth, a bioactive metabolite was detected and purified by solvent extraction, silica gel chromatography and preparative HPLC. The FAB-MS spectrum of the active compound showed a molecular ion peak at m/z 1101 (M + H)$\^$+/, suggesting the molecular weight of 1100. The UV absorptions at 242 and 323 nm indicated the presence of aromatic functions. The structure of this compound was identified as echinomycin, a depsipeptide antibiotic by spectroscopic studies including various NMR measurements. Echinomycin was inactive against several soil born fungi, but inhibited the mycelial growth of P. ultimum and its related oomycetous fungi.

  • PDF

Bacillus ehimensis YJ-37에 의한 채소류 모잘록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control of Vegetables Damping-off by Bacillis ehimensis YJ-37)

  • 김진호;최용화;강상재;이인구;주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16-422
    • /
    • 2002
  • B. ehimensis YJ-37은 생육촉진미생물이면서 모잘록병의 생물학적 방제균으로서 관찰되었다 길항균 B. ehimensis YJ-37의 무와 수박의 근권정착밀도는 인공용토에 존재하는 길항균의 평균밀도 $10^4$(cfu/g) 보다 주근과 측근에서 약 1.2~2배 이상의 증가하였다. 길항균 배양액으로 만든 토양미생물제제에 의한 무의 생육촉진은 토양미생물제제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잎면적은 85% 자엽의 길이는 33% 뿌리의 길이는 23% 건조중량은 89% 촉진되었고, 수박의 경우도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잎면적은 63% 자엽의 길이는 27% 뿌리의 길이는 25% 건조중량은 69% 촉진되었다. 토양미생물제제는 채소류 모잘록병균 R. solani AG-4와 P. ultimum 등의 생육을 억제하여 모잘록병을 유발시키지 못하게 하였으며, 생육촉진현상도 동시에 가져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