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m storage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3초

소규모 댐의 효과적 운영을 위한 저수관리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Storage Management Method for Effective Operation of Small Dams)

  • 김필식;김선주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8권2호
    • /
    • pp.27-35
    • /
    • 2006
  • Large dams are managed with operation standard and flood forecasting systems, while small dams do not have management method generally. Shortage of water resources and natural disasters due to drought and flood raised public concerns for management of small dams. Most of small dams are irrigation dams, which need diversified water uses. However, the lack of systematic management of small dams have caused serious water wastage and increased natural disasters. Storag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were developed to solve these problems in small dams. The system was applied to Seongju dam for effective management. The storage management method was established considering hydrology simulation and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system. This method can bring additional available water, even in the same conditions of the water demand and the supply conditions of watershed. It can improve the flood control capacity and water utilization efficiency by' the flexible operation of storage space.

가뭄 극복을 위한 댐의 비활용용량 활용 방안 연구 (On Utilization of Inactive Storage in Dam during Drought Period)

  • 주홍준;김덕환;김정욱;배영혜;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53-362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가뭄 극복을 위하여 댐의 비활용용량 구간에 있는 저수량의 활용을 제고할 수 있는 구조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댐에서의 비활용용량(inactive storage)은 비상용량(emergency storage)과 사수용량(dead storag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상용량은 가뭄과 같은 비상시에 활용가능 하도록 하고 있지만 사수용량은 퇴사가 진행되는 구간으로 가정하여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이용이 불가능한 용량으로 정해져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극심한 가뭄시에 비상용량과 더불어 사수용량 일부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비상용량과 퇴사위(Sediment Level, SL) 위의 사수용량을 추가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고, 이 구간을 '댐의 갈수용량'이라고 새롭게 명명하였다. 갈수용량의 산정을 위해서는 정확한 퇴사위 분석이 선행되어야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SMS의 RMA-2 및 SED-2D 모형을 이용하여 현재와 미래의 댐 저수지의 퇴사위를 산정하였으며, 추가 이용 가능한 용량을 고려한 뒤 최종적으로 갈수용량을 산정하였다. RMA-2 및 SED-2D 모형 구축을 위해 현재는 과거 관측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미래는 대표농도경로(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RCP) 8.5 시나리오에 의해 미래 기후 인자를 예측하고 TANK 모형을 이용하여 댐 유입량을 결정한 뒤 미래 기간별 퇴사위를 예측하였다. 현재와 미래의 퇴사위를 바탕으로 갈수용량을 제시한 결과, 활용할 수 있는 갈수용량은 현재에 비해 감소되었으며 특히, 미래 기간이 진행될수록 활용할 수 있는 양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는, 기후 변화의 변동성이 증가하는 것에 기인하며, 미래에 활용할 수 있는 갈수용량의 증대를 위해 기후 적응 대책 및 퇴사량을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연구가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댐과 하천유역을 연계한 홍수 대응 방안 - 2020년 섬진강 홍수사상을 대상으로 - (Plan for Flood Control Linked with Dam and River Basin)

  • 백경오;이동열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81-86
    • /
    • 2023
  • In this study, a one-dimensional numerical model was constructed to propose a flood control plan linked with the dam and river basin for the flood events of the Seomjin River in 2020. The flood level reduction of the downstream river was tested based on a scenario operation of the Seomjingang Dam and was also analyzed when a storage pocket was newly constructed as one of the river basin measures. It was confirmed that Seomjingang Dam's flood control capacity would be increased if the flood limit level was drastically lowered from the current EL. 196.5 m to EL. 188.0 m. In addition, if the upper area of the (old) Geumgok Bridge (which suffered great damage due to the loss of the levee) is used as a storage pocket, it would be effective in preventing floods in the lower area of it. In the era of the climate crisis, more integrated flood management is needed and basic river management must be observed.

댐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 연구(1) - HGM을 이용한 기능평가 : 보령댐을 대상으로 - (Study on Assessment of Value and Functions of Dam-wetland(1) - Assessment of Functions by HGM : Focussing on Boryung Dam -)

  • 신한규;김덕길;김재근;김형수;안재현;유병국;안경수;박두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15-132
    • /
    • 2009
  • 댐의 습지로서의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댐도 하나의 습지로 정의하고, HGM 습지 평가 방법에 따라 보령댐을 우포늪의 습지 기능을 비교 평가하였다. 보령댐의 습지로서 수문학적 기능은 단기적이고 작은 흐름들에 대해서는 취약성을 가지지만, 반면 장기적이고 큰 흐름들에 대해서는 강점을 가진다. 생지화학적 기능은 우포의 약 50%정도를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 서식처로서의 기능도 식물 군집의 유지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 서식처로서의 기능은 우포늪에 준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다만 조류의 서식처로서의 기능이 다소 부족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보령댐의 장점과 단점을 명확히 하여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강 할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

Effect of the Peace-Dam Construction on the Flood Discharge and the Flood Stage of the Hwachun-Dam

  • Jun, Byoung-Ho;Shin, Hyun-Suk;Yoon, Jae-Young
    • Korean Journal of Hydrosciences
    • /
    • 제5권
    • /
    • pp.17-31
    • /
    • 1994
  • Because of the Keumkangsan-Dam and the Peace-Dam constructed in recent years, it is expected that the peak flood discharge and the peak flood stage at the Hwachun-Dam site have been changed. In this study, two methods were used to simulate and compare the effects of the upstream dam construction on the change of the discharge and the stage. One is the storage function method widely used for the hydrological routing in the country. The other is the DWOPER(Dynamic Wave Operational Model) package conducted on four different scenarios: (1)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Keumkangsan-Dam and the Peace-Dam; (2) the exclusion of the Keumkangsan-Dam watershed (before the construction of the Peace-Dam); (3) the exclusion of the Keumkangsan-Dam watershed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Peace-Dam) ; (4) the exclusion of the Peace-Dam watershed. The results of the four test cases from the two methods show that the peak flood discharge and the peak flood stage at the Hwachun-Dam site are reduced due to the construction of the Peace-Dam. From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the operational criteria for the optimal dam-operation of the Hwachun-Dam need to be modified.

  • PDF

가뭄 시 평림댐과 수양제 연계 운영 평가 (Evaluation of the linked operation of Pyeongrim Dam and Suyangje (dam) during period of drought)

  • 박진용;이석준;김선기;최세광;전근일;김민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7권4호
    • /
    • pp.301-310
    • /
    • 2024
  • 강수의 공간적·시간적 불균형이 물관리를 어렵게 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해 강수의 불균형이 심화되고, 가뭄과 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가뭄과 홍수의 강도가 심화되어 기존의 물관리 시스템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2022년 6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영섬유역의 주요 수자원시설 저수율이 대부분 30% 이하였으며 유역 내 가장 용수 의존도가 높은 주암댐의 경우에 역대 최저 저수율인 20.3%까지 하락하였고 평림댐은 2023년 5월 4일 최저 저수율 27.3%를 기록하였다. 평림댐은 2022년 봄부터 강수량 부족으로 2022년 6월 19일 가뭄 관심 단계가 발령되었고 연이어 7월 2일 가뭄 주의 단계, 8월 21일 가뭄 심각 단계에 진입하였다. 수양제와 연계 운영이 가능한 평림댐은 관리기관이 다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뭄 상황에서 유기적 연계 운영을 통해 평림댐에서 저수위에 도달하지 않고 3개군 급수인구 63,000명에게 안정적으로 용수를 공급할 수 있었다. 한정된 수자원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유역간, 수원간 물이동을 원활하게 이동 가능 방안을 검토하여 수요자 중심의 물공급 시스템을 갖추어 기후변화로 인한 물부족 상황에 대비해야 한다.

소규모 댐의 저수관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Storage Management System for Small Dams)

  • 김필식;김선주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7권3호
    • /
    • pp.15-25
    • /
    • 2005
  • Ninety tow percent of over 1,800 gate controlled dams in Korea are classified as small dams. The primary purpose of these small dams is to supply irrigation water. Therefore, while large dams can store as much as 80 percent of precipitation and thus are efficient to control flood, small dams are often lack of flood control function resulting in increased susceptibility drought and flood ev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a storage management model for irrigation dams occupying the largest portion of small dams. The proposed Storage Management Model (STMM) can be applied to the Seongju dam for efficient management. Besides, the operation standard is capable of analyzing additional available water, considering water demand and supply conditions of watershed realistically. And the model can improve the flood control capacity and water utilization efficiency by the flexible operation of storage space. Consequently, if the small dams are managed by the proposed Storage management model, it is possible to maximize water resources securance and minimize drought and flood damages.

배사비 효율곡선 및 댐 운영기법을 이용한 퇴사량 장기 예측 (Long-term Prediction of Dam Sedimentation Using Sluicing Efficiency Curve and Dam Operation Technique)

  • 이광만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1호
    • /
    • pp.95-103
    • /
    • 1998
  • 댐 퇴사량 예측방법은 수리학적 메커니즘을 이용하는 방법과 실측자료를 설계치로 적용하는 경험적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는 물리적 해석방법으로 단기간에 이루어지는 현상을 규명하는데 적용할 수 있으며, 후자는 댐사수량 결정등 장기적인 설계변수 추정에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중 경험적 자료인 배사비 곡선식을 이용하면 월단위의 저수지 운영이 가능하며, 저류량에 대응하는 퇴사량을 정보변수로 추적하면 퇴사관리의 최적운영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접근방법은 퇴사량에 의하여 시간적으로 변하는 댐 유효저수용량을 최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운영방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배사비 곡선을 이용한 장기 댐 퇴사량 예측방법을 제시하고 잇다. 개발된 방법을 중국 황하유역에 위치한 분하댐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댐 운영을 모의하여 예상되는 퇴사량과 용수공급능력 분석에 적용하였다.

  • PDF

농업용 저수지 둑 높이기에 따른 홍수조절효과 분석 (Effects of Agricultural Reservoir Rehabilitation on their Flood Control Capacities)

  • 전상민;강문성;송인홍;황순호;김계웅;박지훈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5권6호
    • /
    • pp.57-68
    • /
    • 2013
  • About 74 % of reservoirs in Korea are older than 40 years and their storage capacities have been decreased substantially. As part of reservoir reinforcement, the dam heightening project has been ongoing for about 110 reservoirs. The main purpose of the dam heightening project is to secure additional environmental water, while improving flood control capacity by gaining additional storage volum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reservoir flood control capacity changes of dam heightening reservoirs for effective management of additional storage volume. In this study, 13 reservoirs were selected for reservoir simulation of 200 year return period floods. Rainfall data of 1981-2100 were collected and divided into 4 periods (1981-2010; 1995s, 2011-2040; 2025s, 2041-2070; 2055s, 2071-2100; 2085s). Probability rainfalls and 200yr design floods of each period were calculated using FARD2006 and HEC-HMS. Design floods were used as inputs of each reservoir simulation using HEC-5. Overall, future probability rainfalls and design floods tend to increase above the past 1995s. Control ratios were calculated to evaluate flood control capacities of reservoirs. As a result, average flood control ratios were increased from 32.6 % to 44.2 % after dam heightening. Control ratios were increased by 12.7 % (1995s), 12.4 % (2025s), 10.3 % (2055s) and 10.9 % (2085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the reservoir management structure in the future.

Fly Ash를 이용한 댐 콘크리트의 기본 물성에 관한 연구 (Basic Properties of Dam Concrete using Fly Ash)

  • 송영철;우상균;방기성;정원섭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I)
    • /
    • pp.619-624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optimum mix design of fly ash concrete to be placed at the concrete face rockfill dam for pumped storage power plats. The basic performance tests including compressive strength, modulus of elasticity, unit weight,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shrinkage, adiabatic temperature rise and analysis of thermal stress were conducted for fly ash concrete. From this study, the fly ash concrete represented the better results in the aspects of basic performance and economy than ordinary portland cement concrete. Especially the concrete mix design containing 15% of fly ash is recommended to be appli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concrete face rockfill dam for pumped storage power pla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