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daily average temperature

검색결과 467건 처리시간 0.03초

양돈농가에서 퇴비화시설별 수분변화량 분석에 관한 연구 (Investigation on the Amount of Water Evaporation from Composting Facilities Operated in Swine Farms)

  • 곽정훈;최동윤;박치호;정장화;김재환;유용희;전병수;라창식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93-200
    • /
    • 2008
  • 양돈농가에서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퇴비화시설에 대한 수분 증발량에 대한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돼지사육 두수는 단순 퇴비사 1,433두/호, 기계교반 퇴비화 시설 설치농가는 3,500두/호 이었다. 2. 퇴비화시설의 용적은 단순 퇴비사 $0.33m^3$/두, 기계교반 퇴비화시설 설치농가는 $0.25m^3$/두로 퇴비화시설 용적이 약 24.2% 정도 적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조사농가의 수거돈분의 평균 수분 함량은 단순퇴비사 86.8%, 기계교반 85.7%로 기계교반 퇴비화시설 설치농가의 돈분의 수분 함량이 약 1.3% 정도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4. 1일 투입되는 수분량은 단순 퇴비사 $4.1kg/m^3$/일, 기계교반 퇴비화시설 설치농가는 $6.5kg/m^3$/일로 기계교반 설치농가에서 약 36.9% 정도 단위면적당 수분량이 높게 투입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5. 퇴비화기간동안의 발효온도는 단순퇴비화 시설에서 최고온도가 $45^{\circ}C$ 정도 상승하였으나, 기계교반 퇴비화시설 설치농가에서의 최고 발효온도는 $70^{\circ}C$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6. 수분 감소량은 퇴비화 시설 $1m^3$당 단순퇴비사 3.7 kg, 기계교반 5.2 kg으로 기계교반 퇴비화 시설이 약 28.8%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는 퇴비더미내 발효온도 차이에 의한 원인인 것으로 판단되어졌다. 7. 퇴비화후 비료성분 함량은 질소 함량은 각각 0.84% 및 0.86%로 비슷한 경향으로 조사되었으며, ${P_2}{O_5}$(%) 성분도 0.78% 및 0.74%로 단순퇴비화시설에서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OM 및 OM/N은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8. 따라서 양돈농가에서의 기계교반 및 단순퇴비화 시설을 이용하여 돈분뇨를 퇴비화하는 경우 돈분의 수분함량과 발효온도 및 수분 증발가능량 등을 고려하여 퇴비화 효율을 향상시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ffect of Different Seasons on the Performance of Grey Giant Rabbits under Sub-Temperate Himalayan Conditions

  • Bhatt, R.S.;Sharma, S.R.;Singh, Umesh;Kumar, Davendra;Bhasin, V.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6호
    • /
    • pp.812-820
    • /
    • 2002
  •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190 progeny (winter -74; summer -59; rainy -57) of 12 Grey Giant rabbits (10 female +2 males), to assess the effect of different seasons in a year, on their reproductive, growth and productive performances along with feed efficiency, under sub-temperate Himalayan conditions. The daily meteorological attributes recorded during winter (October to March), summer (April to June) and rainy (July to September) seasons, and analysed were minimum and maximum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rainfall. Various biological parameters recorded were doe weights at mating and kindling, litter size at birth, litter weight at birth, kit mortality, litter size at weaning, litter weight at weaning, weekly body weight up to 98 d and weaner mortality. Individual weight gains, dressing percentages, meat weights, liver weights, raw-pelt weights, processed pelt weights and processed pelt areas at slaughter on d 84 and 98, respectively were also recorded. The feed and fodder compositions and their nutritive values during different seasons were also analysed. Average ambient temperature during winter, summer and rainy seasons were $13.2{\pm}2.8$, $22.4{\pm}3.7$ and $24.8{\pm}2.3^{\circ}C$, respectively. The average relative humidity and total rainfall for winter, summer and rainy seasons were $68.9{\pm}1.5$% and $48{\pm}26.6$mm, $66.3{\pm}4.8$% and $125.6{\pm}56.8$ mm, and $77.3{\pm}1.3$% and $116.3{\pm}90.4$ mm, respectively. The weight of doe at mating and kindling, litter size at birth, litter weight at birth and litter size at weaning were comparatively higher whereas litter weight at weaning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during winter as compared to summer and rainy seasons. The kit mortality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during winter while the weaner mortality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during rainy season. At 84 d, the live weight per doe, slaughter weight, dressing percentage and liver weight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during winter than summer and rainy. Similarly, the gain in weight and meat weight at 84 and 98 d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during winter. The weight of raw pelt and processed pelt were recorded significantly (p<0.05) higher during winter while no difference in the area of processed pelts during different seasons could be observed. No difference in the biological performance could be observed between sexes in any of the seasons. Roughage analysis revealed comparatively higher crude protein percent and lower crude fibre percent during summer and rainy seasons than in winter. The roughage dry matter intake was comparatively higher during summer and rainy seasons vis-a-vis constant amount of concentrate supplied during all the three seasons. The digestibilities of dry matter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whereas that of crude fiber, acid detergent fibre and cellulose were negative during winter. Interestingly, the feed:gain was exceedingly well during winter than in other seasons and it is concluded that it was the best season for production of rabbits under sub-temperate Himalayan conditions.

Effects of Supplemental Level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entation Product on Lactation Performance in Dairy Cows under Heat Stress

  • Zhu, W.;Zhang, B.X.;Yao, K.Y.;Yoon, I.;Chung, Y.H.;Wang, J.K.;Liu, J.X.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6호
    • /
    • pp.801-806
    • /
    • 201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fferent supplemental level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fermentation product (SCFP; Original XP; Diamond V) on lactation performance in Holstein dairy cows under heat stress. Eighty-one multiparous Holstein dairy cows were divided into 27 blocks of 3 cows each based on milk yield ($23.6{\pm}0.20kg/d$), parity ($2.88{\pm}0.91$) and day in milk ($204{\pm}46d$). The cows were randomly assigned within blocks to one of three treatments: 0 (control), 120, or 240 g/d of SCFP mixed with 240, 120, or 0 g of corn meal, respectively.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during the summer season of 2014, starting from 14 July 2014 and lasting for 9 weeks with the first week as adaption perio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average daily temperature-humidity index (measured at 08:00, 14:00, and 20:00) was above 68, indicating that cows were exposed to heat stress throughout the study. Rectal temperatures tended to decrease linearly (p = 0.07) for cows supplemented with SCFP compared to the control cows at 14:30, but were not different at 06:30 (p>0.10). Dry matter intake was not affected by SCFP supplementation (p>0.10). Milk yield increased linearly (p<0.05) with increasing levels of SCFP. Feed efficiency (milk yield/ dry matter intake) was highest (p<0.05) for cows fed 240 g/d SCFP. Cows supplemented with SCFP gained (p<0.01) body weight, while cows in the control lost body weight. Net energy balance also increased linearly (p<0.01) with increasing levels of SCFP. Concentrations of milk urea nitrogen (p<0.01) decreased linearly with increasing levels of SCFP, while no difference (p>0.10) was observed among the treatments in conversion of dietary crude protein to milk protein yield. In summary, supplementation of SCFP alleviated the negative effect of heat stress in lactating Holstein dairy cows and allowed cows to maintain higher milk production, feed efficiency and net energy balance. Effects of SCFP were dose-dependent and greater effects were observed from higher doses.

Effects of Vitamin C or E on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Heat Shock Protein 70 and Antioxidant Status in Broiler Chicks under Summer Conditions

  • Jang, In-Surk;Ko, Young-Hyun;Moon, Yang-Soo;Sohn, Sea-Hwa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5호
    • /
    • pp.749-756
    • /
    • 2014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antioxidants on pro-inflammatory cytokines, heat shock protein (HSP) and antioxidant status in broiler chicks under summer conditions. A total of 162, 3-d-old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to a basal diet (CON) and the basal diet supplemented with vitamin C (200 mg/kg diet, VCD) or vitamin E (100 mg/kg, VED) until 35 day of age. All birds were exposed to summer diurnal heat stress at average daily fluctuations of temperature between $32^{\circ}C$ to $34^{\circ}C$ at day to $27^{\circ}C$ to $29^{\circ}C$ at night for the entire feeding period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weight, feed to gain ratio and the relative organ weight except the thymus in response to dietary vitamin C or E supplementation. However, the mRNA expression of interleukin (IL)-$1{\beta}$, IL-6, interferon (IFN)-${\gamma}$, Toll like receptor (TLR)-4 and HSP70 in the liver of birds fed diet containing vitamin C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in birds fed basal diet. Dietary vitamin E also showed a significant (p<0.05) decrease in the mRNA expression of IL-6 and HSP70 compared with a basal diet. Total antioxidant status (TAS) in serum of birds fed vitamin C supplemented diet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with than that in birds a basal diet. Lipid peroxidation in serum and liver resulted in a significant (p<0.05) decrease in response to dietary vitamin C or E supplementation. In conclusion,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antioxidant vitamins, especially vitamin C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mRNA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and HSP70, and higher antioxidant parameters than that of birds on the basal diet under summer conditions.

벼 파종기에 따른 출수기 및 최종 엽수 변화와 출엽 모델에 의한 출수기 예측 (Heading date and final Leaf Number as Affected by Sowing Date and Prediction of Heading Date Based on Leaf Appearance Model in Rice)

  • 이충근;이변우;신진철;윤영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95-201
    • /
    • 2001
  • 본 연구는 광안벼를 공시하여 지연일장의 인공기상실(21$^{\circ}C$ 및 24$^{\circ}C$)과 포장 조건에서 파종기(최초 파종 일 4월25일, 최종 파종일 6월 5일) 이동에 따른 온도와 일장 변화가 출엽 및 출수기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일장에 따른 최종엽수 추정모델을 설정하였으며, 이 모델과 온도에 따른 출엽속도 모델을 결합하여 출수기 예측모델을 설정하여 모델의 출수기 추정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1. 포장에서는 4월 25일 이후 파종기가 늦을수록 생육기간 중 평균기온은 높아진 반면, 포장과 인공기상실 양 조건에서 일장감응기간(6엽기부터 유수분화기)중의 평균일장은 짧아졌다. 이에 따라 일장만 관여한 인공기상실에 비해 온도와 일장이 함께 관여한 포장에서 파종시기에 따른 출수소요일수 단축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2. 일장감응기간의 일장이 길어짐에 따라 최종엽수(FNL)가 증가하였으며, 이 관계는 다음과 같은 Rational 함수로 잘 표현이 되었고($R^2$=0.98),이를 광안벼의 최종엽수 추정모델로 설정하였다. 여기서 D는 일장이며, a,b,c는 상수로서 각각 14.694, -0.992, -0.068로 추정되었다. 3.온도에 따른 출엽속도 모델과 일장에 따른 최종엽수 모델로 구성된 출수기 예측 모델을 구성하였으며, 모델 설정에 이용되지 않은 포장실험 자료를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추정된 출수기는 예측오차가 1-2일로 추정 정확도가 높았다.

  • PDF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의 2014년 벼 이삭도열병 대발생 (Outbreak of Rice Panicle Blast in Southern Provinces of Korea in 2014)

  • 강위수;서명철;홍성준;이경재;이용환
    • 식물병연구
    • /
    • 제25권4호
    • /
    • pp.196-204
    • /
    • 2019
  • 지난 2014년에 전남의 나주, 해남, 영암, 고흥, 장흥 등과, 경남의 밀양, 진주, 고성 등에서 이삭도열병이 심하게 발생하여 벼의 재배면적 대비 발생면적 비율이 전남은 11.0%, 경남은 14.6%에 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남부지방의 주된 발생지역들에 대하여 2014년 8월의 기상 환경, 품종별 재배 면적 차이, 식물체 질소함량에 따른 이삭도열병 발생 정도에 대하여 분석함으로써, 2014년 남부지방 이삭도열병 대발생의 원인을 구명하였다. 2014년에 각 시도 안에서 10,000 ha 이상 재배된 품종으로는 새누리, 일미벼, 황금누리, 운광, 동진1호, 남평벼 등이 있었다. 2014년의 8월 한 달 동안의 평균기온은 해남과 밀양에서 2018년보다 각각 3.2℃, 3.1℃ 낮고 평년보다 1.5℃, 1.3℃ 낮았다. 강수량은 해남과 밀양에서 2018년보다 각각 70.0%, 42.0% 많고 평년보다 40.1%, 125.7% 많았다. 도열병 감염 위험 예측모형에 의한 8월의 감염 경보 발생일수는 2014년이 2018년보다 많았고, 2014년은 전국적으로 발생일수가 많았다. 식물체의 질소함량은 병 발생이 심한 포장(병든이삭률 60% 이상)이 적은 포장(10% 이하)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2014년에 특정 지역에서 이삭도열병이 대발생한 것은 감수성 품종이 재배되고 저온과 잦은 강우도 있었지만, 특히 질소질 비료가 다량으로 시용된 점이 특정 필지를 중심으로 다 발생하게 한 주요 원인이었다.

고온 환경 조건에서 액상 라스베라트롤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육질 및 회장 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Liquid Resveratrol on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Traits, and Ileum Morphology of Broiler Chickens under Moderate Heat Stress)

  • 이영주;유재홍;사미루;김은주;구본진;허정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1-29
    • /
    • 2016
  • A total of 144 one-day-old male broilers (ROSS ${\times}$ Ross 308) ($42{\pm}0.1g$) were us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and allotted to one of three dietary treatments to give 6 replicates per treatment (8 birds per cage). The three watery dietary treatments were 1) a corn-soybean meal-based relation [Negative control (NC); no antimicrobial compounds added] with tab water, 2) 8 ppm liquid-alpha-lipoic acid [Positive control (PC)] or 3) 100 ppm liquid-resveratrol. All dietary treatments were continuously provided as a liquid form. Birds were housed in a battery cage (n=48), and were offered liquid dietary treatments at all times. The ambient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32{\pm}1^{\circ}C$ for the first 3 weeks and decreased gradually to $28{\pm}1^{\circ}C$ by the end of the experiment (d 35) to induce moderate heat stress. One bird per pen (n=6) was euthanized via cervical dislocation at day 21 to obtain terminal ileum to measure villous height and crypt depth, while another bird per pen (n=6) was similarly euthanized at day 35 and used to harvest breast meat and drumsticks to evaluate meat quality traits. Birds fed liquid-resveratrol did not improve (P>0.05) body weight and average daily gain compared with those fed other dietary treatments from day 1 to day 35. Birds fed liquid-resveratrol had no effect (P>0.05) on villous height compared with birds were in other dietary treatments at day 21. Liquid-resveratrol had no effect (P>0.05) on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TBARS) in drumsticks compared with other dietary treatments at day 35. Furthermore, birds fed liquid-resveratrol had no effect (P>0.05) o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oth in breast meat and drumsticks compared with those fed other dietary treatments at day 35. Morphological changes of ileum were not observed by immunofluorescence, and the level of occludin protein from ileum extracts also did not differ among groups. Our results suggested that liquid form of antioxidant compounds used in the current study such as alpha-lipoic acid (8 ppm) or resveratrol (100 ppm) did not improve growth performance, meat quality traits and histology of terminal ileum compared with those fed negative control in broiler chickens under moderate heat stress for 35 days.

염전 저수지에서의 진주담치 (Mytilus edulis) 생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ROWTH OF THE MUSSEL, Mytilus edulis, IN A SALT-FIELD RESERVOIR)

  • 이춘구;고용순;이종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71-75
    • /
    • 1972
  • 1970년 6월부터 10월까지 경남 창원군 진동면 이명리 산 진주담치(Mytilus edulis)를 충남 당진의 염전저수지로 이식하여 그의 생장을 연구하였다. 1. 6월 20일 부터 7월 19일 까지의 기간 중 염전저수지 내의 수온은 $22.5-27.5^{\circ}C$, 염도는 $28.6-34.8\%$, 해수비중은 $1.019\~1.024$, 그리고 pH는 7.6이었다. 2. 3종의 복족류와 7종의 부족류가 채집되었다. 3. 염전저수지에서 최고빈도의 진주담치군의 각고가 6월 15일에는 20mm ($15\~25mm$)이던 것이 9월 26일에는 40mm ($20\~50mm$)로 증가하였다. 한편 그들의 평균 각고는 각 각 19.80mm(6월15일)와 35.10mm (9월26일)이었다. 4. 7월 10일 부터 8월 12일 까지의 기간 중 진주담치의 1일 생장은 각고 0.22mm이었고 이는 시험 기간 중 최고치인 것이었다. 5. 진주담치 치패의 각장(L)과 각고(H) 사이, 그리고 각장(L)과 각폭(B) 사이의 생장관계식은 각 각각 1.26776L+5.07978과 B=0.3S041L+3.05502이다. 6.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염전저수지에서의 진주담치 양식치 가능한 것으로 시사된다.

  • PDF

한우 송아지의 분만계절이 성장, 사료섭취량 및 질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lving Season on Growth Performance, Feed Intake and Disease Occurrence of Hanwoo Calves)

  • 권응기;조영무;박병기;최창원;김영근;백봉현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59-66
    • /
    • 2007
  • 본 연구는 분만계절이 포유기 및 이유후 한우 송아지의 음수량, 영양소 섭취능력, 발육 및 질병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시험축은 송아지 67두를 공시하여 분만계절에 따라 봄 분만 송아지 27두와 가을 분만 송아지 40두를 배치하였다. 포유기 건물섭취량은 가을분만 송아지의 경우 생후 3~4개월령에는 동절기 저온 환경의 영향으로 봄 분만 송아지에 비해 감소하였다. 가을 분만 송아지의 생시~2개월령에서, 봄 분만 송아지의 경우 생후 2~4개월령에서 음수량이 증가하였다. 봄 분만 송아지와 가을 분만 송아지의 체중 차이는 없었으나, 생후 2개월령 이후 봄 분만 송아지의 일당증체량이 가을 분만 송아지에 비해 많았다. 생후 60일 이전에 설사 발생이 많았는데, 분만계절별로는 생후 30일 이전에 가을 분만 송아지에서 설사 발생이 많았다. 따라서 한우 포유우사의 분만계절별 사육환경 온도는 송아지의 음수량, 보조사료 섭취량 및 성장발육에 영향을 미치므로 육성률 향상을 위해 포유기 송아지 관리의 차별화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사과나무에서 가지검은마름병 억제를 위한 효율적 가지치기 (Controlling by Effective Pruning of Twigs Showing Black Shoot Blight Disease Symptoms in Apple Trees)

  • 한규석;유지강;이한별;오창식;예미지;이종호;박덕환
    • 식물병연구
    • /
    • 제22권4호
    • /
    • pp.269-275
    • /
    • 2016
  • E. pyrifoliae에 의한 과수 가지검은마름병은 국내에서 1995년 최초 발생이래 2016년까지 꾸준히 발생하여 과수농가에 피해를 주고 있는 세균병해이다. 가지검은마름병 발생 농가의 폐원조치 및 공적방제로 인한 경제적 피해 감소를 위하여, 병징이 관찰되는 이병조직 및 건전조직 내의 병원 세균을 검출하여 효율적 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가지검은마름병원세균의 검출은 genomic DNA 추출과정을 생략한 순수 균총만을 이용하는 colony-PCR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ERIC 지역에서 제작된 가지검은마름병원세균 특이 프라이머 EpSPF/EpSPR 프라이머쌍을 선발하였다. 특이 프라이머를 활용한 colony-PCR 방법으로 2014-2015년 4-10월까지 사과나무 생육기간 동안 가지검은마름병 발생상황을 모니터링한 결과, $25^{\circ}C$ 일 평균 온도 기간인 5월 중순부터 7월 초순까지 발병이 가장 빈번하였다. 발병가지 내 병원세균의 존재유무 검정 결과 병징 부위와 이로부터 20 cm 내 건전조직에서만 병원세균이 지속적으로 검출되었다. 따라서 이미 발생한 가지검은마름병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이병조직과 건전조직 경계 부위로부터 20 cm 이상에서 가지치기를 하는 것이 매우 적절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