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ycle count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2초

Frequency of anemia and micronutrient deficiency among children with cleft lip and palate: a single-center cross-sectional study from Uttarakhand, India

  • Chattopadhyay, Debarati;Vathulya, Madhubari;Naithani, Manisha;Jayaprakash, Praveen A;Palepu, Sarika;Bandyopadhyay, Arkapal;Kapoor, Akshay;Nath, Uttam Kumar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33-37
    • /
    • 2021
  • Background: Children with cleft lip and/or palate can be undernourished due to feeding difficulties after birth. A vicious cycle ensues where malnutrition and low body weight precludes the child from having the corrective surgery, in the absence of which the child fails to gain weight.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roportion of malnutrition, including the deficiency of major micronutrients, namely iron, folate and vitamin B12, in children with cleft lip and/or palate and thus help in finding out what nutritional interventions can improve the scenario for these children. Methods: All children less than 5 years with cleft lip and/or cleft palate attending our institute were included. On their first visit, following were recorded: demographic data, assessment of malnutrition, investigations: complete blood count and peripheral blood film examination; serum albumin, ferritin, iron, folate, and vitamin B12 levels. Results: Eighty-one children with cleft lip and/or palate were included. Mean age was 25.37±21.49 months (range, 3-60 months). In 53% of children suffered from moderate to severe wasting, according to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lassification. Iron deficiency state was found in 91.6% of children. In 35.80% of children had vitamin B12 deficiency and 23.45% had folate deficiency.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iron deficiency and the type of deformity. Conclusion: Iron deficiency state is almost universally present in children with cleft lip and palate. Thus, iron and folic acid supplementation should be given at first contact to improve iron reserve and hematological parameters for optimum and safe surgery.

The effect of methyltestosterone on in vitro fertilization outcomes: A randomized clinical trial on patients with low ovarian response

  • Venus Haj Aliakbar;Fatemeh Davari Tanha;Firouzeh Akbari Asbagh;Mahbod Ebrahimi;Zahra Shahraki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51권2호
    • /
    • pp.158-162
    • /
    • 2024
  •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outcomes of in vitro fertilization (IVF) in patients with a poor ovarian response who used methyltestosterone, versus those using a placebo, in an infertility clinic setting. Methods: This clinical trial included 120 women who had undergone IVF with 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due to poor ovarian reserve and infertility. The study took place at the Yas Infertility Center in Tehran, Iran, between January 1, 2018 and January 1, 2019. In the intervention group, 25 mg of methyltestosterone was administered daily for 2 months prior to the initiation of assisted reproductive treatment. The control group was given placebo tablets for the same duration before starting their cycle. Each group was randomly assigned 60 patients. Al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ver. 23 (IBM Corp.). Results: The endometrial thickness in the intervention group was 7.57±1.22 mm, whereas in the control group, it was 7.11±1.02 (p=0.028). The gonadotropin numb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rol group (64.7±13.48 vs. 57.9±9.25, p=0.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antral follicular count. The chemical and clinical pregnancy rates in the intervention group were 18.33% and 15% respectively, compared to 8.33% and 6.67% in the control group. The rate of definitive pregnancy was marginally higher in the intervention group (13.3% vs. 3.3%, p=0.05).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pretreatment with methyltestosterone significantly increases endometrium thickness and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the definitive pregnancy rate.

오미자 추출액 첨가 요구르트의 식중독균 증식 억제 효과 (Effect of Omija(Schizandra chinensis) Extract on the Growth Inhibition of Food Borne Pathogens in Yoghurt)

  • 홍경현;남은숙;박신인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42-349
    • /
    • 2003
  • Escherichia coli O157:H7, Staphylococcus aureus와 Salmonella enteritidis는 식품에 의해 전염되는 식품질환성 병원균으로서 세계적으로 알려진 식중독 미생물이다. 오미자 물 추출액 첨가 drink yoghurt에 오염된 식중독 유발균인 Esc. coli O157:H7, Sta. aureus와 Sal. enteritidis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오미자 물 추출액이 식중독 유발균에 대한생육 저해 활성을 검토하였고, 시험 균주의 최종 균체 농도가 $10^{5}$ CFU/mL 수준이 되도록 오미자 물 추출액 첨가 drink yoghurt에 Esc. coli O157:H7, Sta. aureus와 Sal. enteritidis를 각각 접종하여 37$^{\circ}C$에 배양하면서 시간별로 시험 균주들의 생존 균수를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 시험에 사용된 오미자 물 추출액의 첨가 농도가 증가할수록 모든 시험 균주에서 강한 증식 억제력이 나타났다. 대조구에 비해 오미자 물 추출액 0.4 ,0.6, 0.8과 1.0% 첨가구에서 Esc. coli O157:H7은 각각 0.13, 0.89, 1.99와 2.55의 log cycle 감소 현상을 보였고, Sta. aureus는 각각 0.45, 3.74, 4.13과 5.24의 log cycle이 감소되었으며, Sal. enteritidis는 각각 0.22, 3.44, 4.02와 4.07의 log cycle 감소가 나타나 모든 시험 균주에서 뚜렷한 성장 억제 효과가 관찰되었다. 오미자 물 추출액의 식중독 유발균에 대한 성장 저해 효과는 Sta. aureus, Sal. enteritidis, 그리고 Esc. coli O157:H7의 순으로 강하게 나타났다. 오미자 물 추출액을 0.4, 0.6, 0.8과 1.0% 첨가한 drink yoghurt 내에서 3.55${\times}$$10^{5}$ CFU/mL 수준으로 접종한 Esc. coli O157:H7은 24시간 배양시 1.00${\times}$$10^1$∼3.00${\times}$$10^1$ CFU/mL로 감소되었으며, 48시간 배양하였을 때에는 생육이 완전히 억제되었다. 그리고 1.24${\times}$$10^{5}$ CFU/mL 수준의 Sta. aureus를 접종한 경우 24시간 배양 후 아주 미약한 생존 균수의 감소를 보였으나 48시간 배양시 4.00${\times}$$10^2$∼8.50${\times}$$10^2$ CFU/mL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Sal. enteritidis를 1.81${\times}$$10^{5}$ CFU/mL 수준으로 접종한 경우 24시간 배양 후부터 전연 증식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와 같이 오미자 물 추출액 첨가에 의해 drink yoghurt 내에서 식중독 유발균들의 증균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할 수 있었다.

방사능비 $^{l44}Ce /^{l37}Cs$ 검출에 의한 사용후핵연료 냉각기간 결정 (Cooling Time Determination of Spent Nuclear Fuel by Detection of Activity Ratio $^{l44}Ce /^{l37}Cs$)

  • Lee, Young-Gil;Eom, Sung-Ho;Ro, Seung-Gy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5권2호
    • /
    • pp.237-247
    • /
    • 1993
  • 반감기가 서로 크게 다른 두 종류의 방사성 직접핵분열생성물의 방사능비(activity ratio)를 핵연료의 냉각기간 및 연소이력의 함수로 표현하였으며 연소이력에는 사용후핵연료의 평균연소도, 연소기간, 연소주기간의 간격 그리고 주 핵분열물질등이 포함되었다. 고리 1호기에서 연소된 6개의 사용후 가압경수로(PWR) 핵연료 집합체로 부터 36개의 시료를 제작하여 이들 시료에 대한 감마선 스펙트럼을 고순도(HP) Ge 검출기를 사용하여 수집한 후, 각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얻은 방사능비 $^{l44}$Ce $^{l37}$ Cs를 이용하여 냉각기간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l44}$Ce 감마선 검출계수율이 $10^{-3}$ cps(count per second) 정도로 아주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검출된 방사능비 $^{l44}$Ce $^{l37}$ Cs를 사용하여 구한 냉각기간은 원자로 운전기록에 의한 냉각기간 (operator declared cooling time)과 상대적인 차이가 $\pm$5% 이내로 잘 일치한 것으로 부터 핵 분열 생성물 $^{l44}$Ce 및 $^{l37}$ Cs은 냉각기간 결정을 위한 좋은 모니터가 됨을 확인하였다. 여러가지의 연소 이력을 갖는 핵연료를 대상으로 한 본 실험의 경우, 단순하게 모델화한 연소이력을 대입하여 얻은 냉각기간은 실제 연소이력을 대입하여 얻은 냉각기간과 시간차이가 $\pm$0.5년 이내에서 잘 맞았으며 이로부터 연소이력에 대한 정확한 정보 없이도 신뢰할 수 있는 정도의 냉각기간을 추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아울러 냉각기간 결정을 위한 본 기술을 활용한 사용후 핵연료의 증명 및/또는 분류에 대한 타당성 연구를 한 결과 감마선 분광분석 방법으로 검출한 방사능비 $^{l44}$Ce $^{l37}$ Cs에 의해서 결정된 냉각기간은, 조사후시험시설 (post irradiation examination facility)등과 같이 사용후핵연료 집합체를 해체 또는 절단하여 만든 시료를 취급하는 시설등에서,사용후핵연료에 대한 안전관리 및 계량관리를 위하여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상백피, 곰피 및 강황 추출물 첨가에 의한 카스텔라의 저장성 및 품질증진 효과 (Effect of Morus alba Root Bark, Ecklonia stolonifera, and Curcuma aromatica Extracts on Shelf-life and Quality of Castella)

  • 윤소영;최정수;이소영;김꽃봉우리;송유진;김서진;이소정;이청조;김태완;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444-1451
    • /
    • 2009
  • 상백피, 곰피 및 강황 혼합 추출물 첨가가 카스텔라의 저장성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15일간 저장하여 일반세균수와 곰팡이수를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 전반에 걸쳐 무처리구에 비하여 첨가구의 미생물 생육이 억제되었으며, 첨가구의 산화보호지수가 높아 산화방지에도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색도의 경우 무처리구에 비하여 첨가구의 명도와 적색도는 감소하였으며, 황색도는 증가하였다. 관능평가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상백피 0.25%, 곰피 0.25% 및 강황 0.125%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상백피 0.75%, 곰피 0.75% 및 강황 0.5% 처리구가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상백피, 곰피 및 강황 혼합 추출물을 각각 0.25%, 0.25% 및 0.125%의 농도로 첨가할 경우 카스텔라의 저장성, 품질 증진 및 관능 개선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n Analysis of Local Quantity of Carbon Absorption, Fixation and Emission by Using GIS

  • 김현태;문병은;최은규;김치호;유영선;김종구
    • 유기물자원화
    • /
    • 제22권1호
    • /
    • pp.40-48
    • /
    • 2014
  • 지구온난화와 이상기후현상으로 인해 온실가스가 증가함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국가 단위의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이 중요해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실가스 배출 산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임의의 지역을 선정하고 임야, 초지, 논, 밭(작물), 시설원예(작물), 축사(소, 돼지), 세대(인구, 농기계), 차량 등 기본 구성단위를 설정, 탄소량 원단위와 기초 통계자료를 토대로 지역별 탄소 발생량을 실험과 문헌을 통해 산정하였다. 그 결과, 김제시의 탄소 흡수량은 772,960 ton C/year, 고정량은 487,477 ton C/year, 배출량은 1,112,607 ton C/year 로 나타났으며, 공덕면의 탄소 흡수량 55,559 ton C/year, 고정량 25,864 ton C/year, 배출량은 58,355 ton C/year로 나타났다. 황산리의 탄소 흡수량은 25,107 ton C/year, 고정량은 4,301 ton C/year, 배출량은 20,330 ton C/year 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각 단위마을별 특성에 따른 탄소량 산정이 가능하고, 대단위로 확대, 비교 분석하면 국가단위의 탄소 흡수 고정 배출량에 관한 기초자료를 확보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유두체를 떼어버린 개의 접근-회피반응,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 및 체온 변동 (Approach-avoidance, Stress Response, and Body Temperature of Dogs Following Removal of the Mamillary Bodies)

  • 김철;박로순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권1호
    • /
    • pp.1-8
    • /
    • 1968
  • 유두체의 기능을 탐색하기 위하여 외과 수술에 의하여 유두체를 떼어버린 개를 마련하고 수술전에서부터 수술후에 걸쳐 다음의 세가지 실험을 실시하여 그 성적을 비교하였다. 첫째 실험에서는 먹이 먹는 개의 혀에 전기 충격을 가한다음 이어서 동물이 다시 먹이 그릇에 접근하기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동물이 무서움을 타는정도를 짐작하였으며, 둘째 실험에서는 높은 소리 (12,000 cps, 100 db)를 한 시간 동안 동물에게 들려 스트레스로 삼고 혈액 호산구 수의 변동을 추적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의 지표로 삼았다. 셋째 실험에서는 아침과 저녁 일정한 시간에 항문 온도를 반복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두체 제거후의 동물이 유두체 제거전 보다 무서움을 더 혹은 덜 탄다는 증거는 없었다(제 1 표). 2. 유두체가 제거된 후에도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은 유두체 제거전과 같은 정도로 현저히 나타나나 스트레스에서의 회복과정은 유두체 제거전에 비하여 유두체 제거후에 유의하게 지연되었다(제 1 도). 3. 유두체가 제거된 동물의 체온은 유두체 제거전에 비하여 떨어지는데 그 정도는 미약하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제 2 표).

  • PDF

사물간의 효율적인 연결을 위한 사물인터넷 미들웨어 실험 평가 및 성능 향상 방법 (Experimental Evaluation and Flexible Performance Improvement of IoT Middleware for Efficient Connectivity)

  • 전수빈;이충산;한영탁;정인범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6권9호
    • /
    • pp.385-396
    • /
    • 2017
  • IoT 환경에서 제한적인 디바이스들의 운영을 위한 많은 IoT 미들웨어들이 연구되었다. 우리는 센싱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의 통합적인 운영을 위한 IoT 미들웨어인 MinT를 제안하였다. MinT는 센싱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센서 추상화 계층, 완성도 높은 시스템 및 통신 계층을 지원한다. 또한 이를 통해 사물들은 이기종 네트워크간의 유연한 연결 및 효율적인 정보 공유를 할 수 있다. MinT의 시스템 계층은 신속한 정보처리를 위해 스레드 풀을 사용한다. 하지만 고정 스레드 크기를 사용하는 방법은 네트워크 지연 및 비효율적인 베터리 소비를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가변적으로 스레드 개수를 조정할 수 있는 향상된 스레드 풀 관리 방법을 제안 한다. 특히 수신되는 패킷 분석 및 처리, 재송신을 담당하는 Interaction Thread Pool그룹의 성능 향상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통해 평균 요청 처리율이 평균 25% 증가한 것을 입증하였다. 결국 제안하는 방법을 통해 MinT는 IoT 환경에서 전송 지연 및 디바이스의 에너지 소비를 더 감소시킬 수 있다.

Ovarian Features after 2 Weeks, 3 Weeks and 4 Weeks Transdermal Testosterone Gel Treatment and Their Associated Effect on IVF Outcomes in Poor Responders

  • Kim, Chung-Hoon;Ahn, Jun-Woo;Moon, Jei-Won;Kim, Sung-Hoon;Chae, Hee-Dong;Kang, Byung-Moon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8권3호
    • /
    • pp.145-152
    • /
    • 201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f transdermal testosterone gel (TTG) on controlled ovarian stimulation (COS) and IVF outcomes and ovarian morphology according to pretreatment duration in poor responders. A total of 120 women were recruited for this pilot study. They were randomized into control, 2 weeks, 3 weeks or 4 weeks TTG treatment groups. For three TTG treatment groups, 12.5 mg TTG was applied daily for 2 weeks, 3 weeks or 4 weeks in preceding period of study stimulation cycle. After 3 weeks of TTG pretreatment, significant increase of antral follicle count (AFC) and significant decreases of mean follicular diameter (MFD) and resistance index (RI) value of ovarian stromal artery were observed (p=0.026, p<0.001, p<0.01, respectively). The total dose of rhFSH administered for CO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3 and 4 weeks TTG treatment both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0.001, p<0.001). The numbers of oocytes retrieved and mature oocytes were significanty higher in 3 and 4 weeks TTG treatment groups than control group (p<0.001, p<0.001 in the number of oocytes retrieved; p<0.001, p<0.001 in the number of mature oocytes). The clinical pregnancy rate and live birth rate were increased only in 4 weeks TTG treatment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p=0.030 and p=0.042, respectively). These data demonstrated that TTG pretreatment for 3 to 4 weeks increases AFC and ovarian stromal blood flow, thereby potentially improving the ovarian response to COS and IVF outcome in poor responders undergoing IVF/ICSI.

스마트 차량내(內) 네트워크 기술가치 모델 및 평가 (Technical Value Model and Evaluation for Smart In-vehicle Network)

  • 김병운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368-38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초연결 산업분야 자율주행차, 커넥티드카의 핵심기술인 차량內 이더넷 네트워크 기술을 대상으로 수익접근법과 IITP 실무가이드 기반 기술가치 모델을 제시하고 제품의 시장규모, 기술의 시장규모 및 시장가치를 평가하는 것이다. 기술평가를 위한 차량內 네트워크, 이더넷 기술, 이더넷 포트 수, 포트 가격,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는 글로벌 시장조사기관들이 출처이다. 기업의 매출원가, 판관비, 운전자금 소요율, 자본적지출 등 산정을 위한 재무상태표 및 손익계산서 데이터는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보고서를 활용한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기술의 경제적 수명주기 7년 동안 제품시장 규모는 4,703억불, 기술시장 규모는 521억불로 산정되었다. 시장진입 가능성을 반영한 기술시장 가치는 2.6억불로 평가되었고, 기업경영분석보고서를 반영한 경우에는 한국은행 전체평균 및 IITP 하위 25% 수준에서 각각 -27.8백만불, -73.6백만불, IITP 전체평균 및 상위 25%에서는 각각 0.7백만불, 40.2백만불로 평가되었다. 이는 매출대비 원가 비중이 높은 기업 R&D 수행시 정부의 정책지원 뒷받침이 필요함을 함의한다. 본 연구결과는 4차 산업혁명 시대 산업인터넷 분야 시장수요 기반 ICT R&D 기술평가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