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ticle layer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35초

대하(Penaeus chinensis) 아가미의 형태 및 미세구조 (Morphology and Ultrastructure on the Gill of the Fleshy Shrimp, Penaeus chinensis (Decapoda: Penaeidae))

  • 이정식;강주찬;정선영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3호
    • /
    • pp.311-319
    • /
    • 2000
  • 대하 아가미의 형태와 미세구조를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대하는 수지형 아가미를 가진 다. 아가미는 출새관과 입새관을 구분하는 세로 격벽을 가진다. 각각의 새판은 전자밀도가 다른 다층구조의 큐터클로 싸여 있다. 새판 기저세포들은 편평형이며, 전자밀도가 높은 세포질을 가진다. 상피세포층은 단층으로 큰 핵을 가진 편평상피로 구성된다. 새판의 기둥구조는 세로방향의 미세소관들과 측면 membrane interdigitation을 가진다. AB-PAS음성 분비세포들은 다세포선의 형태이다. 활성화된 선에서 각 세포의 경계부는 뚜렷하지 않으며, 세포질에는 활면소포체, 미토콘드리아, 전자밀도가 낮으며 막을 가진 분비소포들과 granular rosettes를 가진다. 비 활성화된 선에서는 세포 경계가 뚜렷하며, 세포질에서는 전자밀도가 높은 다수의 작은 과립들이 산재한다. 그리고 alcian blue에 양성인 단세포 분비세포들은 세포질에 발달된 다수의 골지체와 조면소포체들을 함유한다.

  • PDF

탄저병균 Colletotrichum dematium f. sp. capsicum에 감염된 고추의 병태조직학적 관찰 (Histopathology of Red Pepper Plant Infected with Colletotrichum dematium f. sp. capsicum)

  • 이상범;정봉구;심재섭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85-192
    • /
    • 1986
  • 분생포자는 발아관의 수에 따라 포자내에 격막이 형성된다. 저항성 품종(금장 2호, 홍일품)과 감수성 품종(하늘초, 새고추) 간의 부착기 형성율은 큰 차이가 없었고 부착기의 모양은 엔형, 타엔형 및 성장체 등 다양하며 접종 12시간에서 그 형성율은 최고에 달했다. 접종 24시간에 저항성 품종의 잎과 열매에서는 과민성인 작은 갈색병반이 관찰되면서 표피하 조직세포내에 심한 원형질분리가 일어났으나 감수성 품종에서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큰 병반으로 급속히 진전 확대되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균사가 하부조직으로 확산되었고 분생자시 및 강모의 출현은 접종 96시간 후에 관찰되었다. 감염종자의 종피는 심하게 붕괴되었을 뿐만 아니라 침입균사도 관찰되었고 배유와 배는 심한 원형질분리를 일으켰다.

  • PDF

자외선에 의한 벼 엽 세포 소기관의 형태적 변화 (Morphological Alteration of Cell Organelles Affected by UV-B Radiation in Rice Leaf Tissues)

  • 성좌경;송범헌;김홍식;이철원;김태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31-35
    • /
    • 2004
  • 자외선 처리에 의한 세포 내 소기관의 구조적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광학현미경을 통한 인산기를 가진 광합성산물은 자외선 처리시간의 증가와 함께 급격히 감소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한 엽 표면의 큐티클층은 자외선 처리 6시간 이후부터 파괴되기 시작하였다. 자외선에 의한 세포 수분압의 변화는 엽록체의 틸라코이드막을 파괴하였으며, 표피세포의 두께를 증가시켰는데 특히 1차 세포벽은 파괴되었으며 2차 세포벽은 리그닌의 합성 및 축적으로 인해 무처리에 비해 약 2배정도 두꺼워졌다.

A Case of Human Pulmonary Dirofilariasis in a 48-Year-Old Korean Man

  • Kang, Hyo Jae;Park, Young Sik;Lee, Chang-Hoon;Lee, Sang-Min;Yim, Jae-Joon;Yoo, Chul-Gyu;Kim, Young Whan;Han, Sung Koo;Chai, Jong-Yil;Lee, Jinwo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1권5호
    • /
    • pp.569-572
    • /
    • 2013
  • Dirofilariasis is a rare disease in humans. We report here a case of a 48-year-old male who was diagnosed with pulmonary dirofilariasis in Korea. On chest radiographs, a coin lesion of 1 cm in diameter was shown. Although it looked like a benign inflammatory nodule, malignancy could not be excluded. So, the nodule was resected by video-assisted thoracic surgery. Pathologically, chronic granulomatous inflammation composed of coagulation necrosis with rim of fibrous tissues and granulations was seen. In the center of the necrotic nodules, a degenerating parasitic organism was found. The parasite had prominent internal cuticular ridges and thick cuticle, a well-developed muscle layer, an intestinal tube, and uterine tubules. The parasite was diagnosed as an immature female worm of Dirofilaria immitis. This is the second reported case of human pulmonary dirofilariasis in Korea.

Serratia marcescens의 곤충 병원성 관련형질 탐색을 위한 분자생물학적 연구 (Molecular Approaches to Determine the Character of Serratia marcescens Associated with the Insect Pathogenicity to Brown Planthopper)

  • 김희규;배동원;박진희;윤한대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30-337
    • /
    • 1993
  • 벼멸구에 강한 병원성이 있는 Serratia marcescens, biotype A2a를 분리, 동정하였다. 벼 유묘에 분무한 후 성충-계절풍을 따라 비래하는 형태-을 공시하고 병원성을 조사하여 3~5일 만에 강한 살충력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세균의 곤충병원성 관련 형질 탐색을 하기 위하여 Tn5로써 돌연변이를 시도한 후, Chitinase, Protease, DNase indicator media에서 돌연변이 계통을 분리하였다. 이들을 공시충에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Pro-Strain중에서 병원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공시충을 전자현미경(SEM, TEM)으로 관찰하여, abdomen의 전장부위와 표피사이에 다수의 세균이 증식하였음을 발견하였다. 곤충복부표피조직 중 cuticle층은 intact한 상태였다. 따라서, 이에 관련된 유전자를 분리하기 위해 genomic library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 PDF

신생아 모발 표면을 둘러싸고 있는 비늘에 관한 주사전자현미경적 연구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Study of Scales Surrounding the Surface of Newborn Hair)

  • 정희중;진현숙;장아영;장은주;장병수;김경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16-223
    • /
    • 2020
  • 본 연구는 신생아 두피 모발의 기저부에서부터 말단부위까지의 외부형태와 모발 가로 직경 대비 모발 표면에 노출된 비늘의 장축 직경 비율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신생아 모발은 두피에 인접한 부위에서 부터 모발의 끝부분으로 갈수록 완만하게 가늘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모발의 두께가 커질수록 노출된 비늘의 장축 직경 비율은 상대적으로 작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모발 표면의 노출된 비늘 장축 직경은 모발의 굵기에 관계없이 비슷한 길이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는 모발이나 굵은 모발 표면에 노출된 비늘의 장축 직경은 크게 변화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초고압동결장치를 이용한 초파리 레티나 세포의 향상된 미세구조 (Improved Ultrastructural Preservation of Retinal Cells in Drosophila melanogaster)

  • 문지영;박세진;한성식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3호
    • /
    • pp.175-183
    • /
    • 2007
  • 정확한 세포의 구조 분석을 위해서는 조직을 가능한 한 자연 상태 그대로 보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용되고 있는 화학적인 고정방법은 조직의 변형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그 해결방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 연구의 결과로 현재 급속 동결법이 제시되었고, 그 중 초고압동결법(high-pressure freezing method)는 가용 두께가 $200{\mu}m$로서 $10{\sim}15{\mu}m$정도인 침윤동결법(plunging method) 혹은 접촉동결법 (slamming method)보다 우수한 방법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팀에는 노랑초파리(Drosophila melanogaster)의 레티나를 화학고정법과 고압동결법으로 고정하여 미세구조를 비교하였다. 먼저 120kV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각 세포 소기관을 비교하였고, 그 중 미토콘드리아의 형태변화를 좀 더 자세히 비교하기 위하여 초고압전자현미경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급속동결 세포의 세포막과 미토콘드리아의 고정에서 특히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주로 탈수에 의한 구조변형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수확후 Ethyelene Scrubber 및 과실피막제 Prolong 처리가 저장과 모형유통 과정에서 '신고'과실의 상품성에 미치는 영향 (Postharvest Application of Ethylene Scrubber and Prolong on the Fruit Quality of 'Niitaka' Pears during Storage and Simulated Marketing)

  • 이재창;황용수;서정학
    • 농업과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1-8
    • /
    • 1993
  • 동양배 과실의 수확후 처리 중 polyethylene film 포장은 저장중 수분상실에 의한 감량 방지에 매우 효과적이었으나 과피흑변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장기간 저장시에는 오히려 상품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Ethylene 제거제는 장기저장시 과피면의 생리적 장해의 발생을 다소간 억제시킨 결과를 나타내였으나 심부현상에는 뚜렷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따라서 ethylene 제거제의 활용은 polyethylene film 포장내에 삽입하여 적용하는 것보다는 저장고내의 ethylene을 직접적으로 제거하는데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확인되었다. 피막제 Prolong 처리는 과피변을 과습하게 하여 저장중 심한 흑변을 일으킬 수 있고 또한 감량방지 효과가 인정되지 않아 저장전 처리방법으로는 부적합하였다.

  • PDF

Water Deficit of Pitch Pines Caused by Superficial Rooting and Air Pollutants in Seoul and Its Vicinity

  • Joon-Ho kim;Rhyu, Tae-Cheol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7권3호
    • /
    • pp.309-316
    • /
    • 1994
  • To make regional comparisons of water status of pitch pine, the temporal changes of water status in pitch pine were investigated at different areas; urban Seoul (heavily polluted area), surburb of Seoul (lightly polluted area), and rural area (control). The effects of air pollutants, acid rain and chemical properties of soil on water deficit in pitch pine were also investiaged. Water content of needles growing at polluted areas were usually lower than that at unpolluted area. Water saturation deficit of needles growing at polluted areas were usually higher than that at unpolluted area especially in dry seas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water in needles growing at polluted areas were usually more deficient than that at unpolluted area, and were more deficient in April than other months. At polluted areas, the older the needles were, the more quickly transpirated the water in the needle was. At unpolluted areas, however, water in old needles was not so quickly transpirated as those at polluted areas. Water potential of needles of pitch pine seedlings treated with simulated acid rain (SAR) of pH 3.5 decreased more quickly than that of needles treated with SAR of pH 5.6. Loss of water through epicuticular layer was greater in the following order: magnesium deficiency+100 $\mu$M aluminium>100$\mu$M aluminium>magnesium deficiency>control. In addition to Mg deficiency and Al toxicity, growth decline of pitch pine widely occurring in polluated Seoul could to a large extent be due to cuticle degredation and abnormal vertical distribution of fine roots, which lead to water stress, particularly in dry seasons.

  • PDF

A Technique for the Prevention of Greenhouse Whitefly (Trialeurodes vaporariorum) Using the Entomopathogenic Fungus Beauveria bassiana M130

  • Kim, Chang-Su;Lee, Jung-Bok;Kim, Beam-Soo;Nam, Young-Ho;Shin, Kee-Sun;Kim, Jin-Won;Kim, Jang-Eok;Kwon, Gi-Seo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4권1호
    • /
    • pp.1-7
    • /
    • 2014
  • The possibility of using hyphomycete fungi as suitable biocontrol agents against greenhouse whitefly has led to the isolation of various insect pathogenic fungi. Among them is Beauveria bassiana, one of the most studied entomopathogenic fungi.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se B. bassiana M130 as an insecticidal agent against the greenhouse whitefly. M130 isolated from infected insects is known to be a biocontrol agent against greenhouse whitefly. Phylogenetic classification of M130 was determined according to its morphological features and 18S rRNA sequence analysis. M130 was identified as B. bassiana M130 and showed chitinase (342.28 units/ml) and protease (461.70 units/ml) activities, which were involved in the invasion of the host through the outer cuticle layer, thus killing them. The insecticidal activity was 55.2% in petri-dish test, 84.6% in pot test, and 45.3% in field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B. bassiana has potential as a biological agent for the control of greenhouse whitefly to replace chemical pesticid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