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stomer satisfaction-public library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19초

공공도서관 서비스 고객만족도 평가체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stomer Satisfaction Framework for Public Library Services)

  • 김선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93-208
    • /
    • 2006
  • 고객만족도는 고객의 충성도 이탈율, 재구매율 신규고객창출 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어서 기업의 성과측 정의 평가관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처럼 중요한 의미를 갖는 고객만족도 측정은 민간부분에서 이미 일반화되었으며, 다양한 평가모형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기존의 일반적인 평가모형은 업종별 차별성이 없고, 새롭게 등장한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공공도서관의 e-서비스 환경을 반영한 고객만족도 평가를 수행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도서관 서비스 관련 연구와 고객만족도 평가관련연구들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서비스 분류체계와 공공도서관 서비스에 특화된 고객만족도 평가체계를 제시한다.

  • PDF

LCSI(Library Customer Satisfaction Index) Lite 공공도서관용의 개발 (Developing LCSI(Library Customer Satisfaction Index) Lite for Public Library)

  • 오동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35-361
    • /
    • 2013
  • 이 연구는 도서관의 서비스품질과 고객만족도에 대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현장에서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는 간략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첫 번째 작업으로, 공공도서관 고객만족도지수 간략판인 LCSI(Library Customer Satisfaction Index) Lite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20명의 전문가에 대한 설문과 800명 이상의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결과를 분석하여, 도서관서비스품질을 측정하기 위한 8항목(직원차원 2항목, 자원 및 서비스 차원 4항목, 시설 및 환경 2항목), 도서관고객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3항목, 도서관고객충성도를 측정하기 위한 2항목 등 총 15개 설문항목을 제시하고, 도서관서비스품질 차원 50%, 도서관고객만족도 차원 40%, 도서관고객충성도 차원 10%의 가중치를 부여한 값으로 이를 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 척도들에 대해 전문가와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델파이식 조사법을 활용하여 계층적 분석 방식(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각 차원별 중요도에 대한 가중치 및 각 차원별 핵심구성요소의 상대적 가중치를 산출해내고, 이용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입수한 통계데이터를 분석하여 LCSI의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공공도서관 고객만족도(LCSI) 모형개발 및 측정 (Development and Measurement of the Public Library Customer Satisfaction Index(LCSI) Model)

  • 오동근;여지숙;최성열;임영규;김광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67-286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에 적용할 수 있는 LCSI(Library Customer Satisfaction Index) 모형을 구축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지역 9개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4,54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모형은 독립변인인 서비스품질을 직원의 상호작용, 정보자원 및 프로그램, 물리적 환경 및 시설의 세 가지 상위차원으로 구성하였으며, 전반적 만족도와 불평행동을 각각 매개변인으로, 충성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였다. 공공도서관 고객만족도 점수는 부문별 서비스품질 만족도 40%, 전반적인 만족도 40%, 충성도 20%를 각 영역별 구성비로 하고 100점을 만점으로 산출하였다.

  • PDF

공공도서관의 서비스스케이프가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Public Library Service Scape on Customer Loyalty)

  • 김영희;조동혁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9-36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ublic library service-scape, flow, us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for adults who use public libraries for academic purposes in a changing public library environment. To this end, this study reviewed the concepts of public library service-scape, immersion, us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with existing literature, proposed a research model based on this, and empirically verified them. Methods: This study collected and statistically analyzed data for adults using public libraries for the purpose of reading books or studying. The collected data were checked using SPSS 24.0 and AMOS 24.0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by analyzing the results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patiality, aesthetics, and amenity of service-scapes have a positive effect on flow. Second, spatiality and amenity of service-scapes have a positive effect on user satisfaction. Third, Flow has a positive effect on user satisfaction. Fourth, Flow and user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loyalty.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strategic direction to enhance the service competitiveness of public libraries by strengthening the service-scape.

고객 만족을 위한 공공도서관 평가지표에 관한 고찰 (A Study of the Public Library Evaluation Index for Customer Satisfaction)

  • 유병장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21-339
    • /
    • 2004
  • 서비스 기관인 공공도서관의 존립근거는 고객들의 도서관에 대한 요구와 기대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도서관과 유사한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단체와 인터넷의 발달로 공공도서관의 존립에 대한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이 지속적으로 지역사회와 고객들로부터 필요성을 얻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본 소고에서는 고객지향적인 행정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정된 행정서비스헌장제를 공공도서관과 연계하여 살펴보고, 문화관광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문화기반시설 관리운영평가와 경기도의 경기도 공공도서관 평가의 분석, 서울시의 시민만족도 조사 등 최근에 공공도서관 평가에서 제시된 지표를 분석하여 향후 공공도서관 평가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다.

  • PDF

공공도서관 서비스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의 상관관계분석 및 매개변수 (Correlation Between Public Library Service User Satisfaction and Loyalty and Moderator Variables)

  • 이성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83-103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우선, 고객만족도와 충성도사이의 상관관계가 알려진 것처럼 높지 않다는 일부 경영학분야의 연구결과가 공공도서관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와 충성도를 나타내는 다양한 지표들 사이의 상관관계분석에도 의미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하는데 있다. 공공도서관 서비스이용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도서관 서비스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사이의 상관관계는 존재하나 그 정도는 높지 않다, 2) 도서관 서비스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를 나타내는 다양한 지표들 중 '새로운 도서관 서비스 이용의사'라는 변수사이의 상관관계가 가장 낮다, 3) 도서관 서비스이용자 만족도와 충성도를 나타내는 지표들 중 '타인에게 사용을 권할 의사'라는 지표와 이용자만족도와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다. 다음으로 공공도서관 서비스이용자의 만족도와 충성도간의 상관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의 존재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두 번째 연구목적이다. 데이터의 질적분석을 통해 발견된 매개변수는 다음과 같다. 1) 지리적 접근성, 2) 서비스의 다양성 부족, 3) 주차문제, 4) 도서관 자료의 부족 및 최신성과 다양성 부족, 5) 도서관내의 편의시설 부족.

공공도서관의 이용자만족도에 관한 한.미간 비교사례연구 (An Analysis Research on User Satisfaction of Public Library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USA)

  • 박재용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1-169
    • /
    • 2012
  •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공공도서관 이용만족도를 국가별로 조사, 비교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각국의 공공도서관 이용자들의 일반현황과 요구사항을 기본적으로 살펴보고, 전반적인 도서관 이용자만족도를 4개요인(직원, 시설, 온라인서비스, 장서)으로 나누어 영향변수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전반적 이용자만족도는 미국평균값(m=3.91)이 한국평균값(m=3.08)에 비하여 도서관이용만족도가 m=0.83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한국의 경우 4개요인 모두가 이용자만족도와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미국의 경우는 시설과 온라인서비스 요인만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의 경우 4개요인 중 직원(${\beta}$=.838)과 온라인서비스(${\beta}$=.496) 요인만 이용자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고, 미국의 경우는 시설(${\beta}$=.441)과 온라인서비스(${\beta}$=.471) 요인이 이용자만족도에 유의적인 영향요인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 온라인서비스 확대와 사서의 서비스 교육 등에 소프트웨어적 분야에 운영정책 수립시에 우선적인 관심과 투자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공공기관 고객만족지수(PCSI) 모형을 적용한 도서관 고객만족도 측정 (Measuring Library User Satisfaction using the Public-service Customer Satisfaction Index (PCSI))

  • 권나현;표순희;이정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313-340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기관 고객만족 조사에 보편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공공기관 고객만족지수(Public-service Customer Satisfaction Index, PCSI)모형"을 도서관에 적용하여 측정함으로써 고객만족 결과를 조직의 성과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회도서관을 대상으로 하여 PCSI 기반의 고객만족도 조사 모형을 설계하고 국회도서관 이용자 341명으로부터 수집한 설문조사를 통해 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국회도서관이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의 품질은 고객만족의 원인이 되고, 고객만족은 또 조직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서비스의 환경품질과 사회품질요인이 고객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선행요인모형, 만족모형, 성과모형 모든 영역에서 외부이용자가 내부이용자에 비해 높은 점수를 보였고 PCSI의 고객만족모형을 통해 산출된 고객만족 점수는 80.4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객만족을 통해 조직의 성과를 측정하는 이론적 체계를 확보하는 동시에, 이용자 관점에서 성과목표 달성 정도를 측정하는 성과관리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

공공도서관의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에 대한 비판적 분석 - 서울시 당국의 시민만족도 조사를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Results of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 Surveys Regarding Customer Satisfaction of Public Libraries)

  • 이용남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9-43
    • /
    • 2002
  • 민간부문에서 시작된 고객만족 평가제는 오늘날 공공부문으로 확산되어, 서울특별시가 수년 전부터 실시하기 시작한 행정서비스기관에 대한 시민만족도 조사에 2001년부터는 공공도서관까지 포함시켜 평가하고 있다. 이 연구는 2년간에 걸친 서울시내 공공도서관의 시민만족도 조사결과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추출하였다. 분석결과, 시설과 설비 등 물리적 환경요인 부문에 치우친 설문구성, 만족도에 미치는 공부방 이용자의 지나친 영향, 조사대상자선정시의 오류, 설문 응답시의 심리적 오류 등이 문제점으로 발견되었으므로, 앞으로 이에 대한 보완작업이 조속히 필요하다.

  • PDF

공공도서관의 서비스품질이 이용자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Public Library Service Quality on User Satisfaction and Loyalty)

  • 오동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2권4호통권58호
    • /
    • pp.61-78
    • /
    • 2005
  • 이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서비스품질(인쇄형태 출판물과 인터넷 및 전자자원, 문화프로그램 및 서비스, 도서관시설 및 환경, 직원)이 공공도서관의 이용에 따른 전반적인 만족도 및 불평의도, 충성도(재이용의도포함)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대구지역 8개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4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제시한 인과적 모델을 설문데이터를 바탕으로 경로분석(path analysis)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인쇄형태 출판물과 문화프로그램 및 서비스, 도서관시설 및 환경, 직원은 각각 이용자의 전반적인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시설 및 환경의 품질은 공공도서관 이용자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