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uriosity about animal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생물에 대한 흥미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군집 유형별 성격 5요인 차이 (The Differences of the Big Five Personality among Clusters of Children according to Interests to Living Things)

  • 김흥태;전민정;김재근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4호
    • /
    • pp.646-654
    • /
    • 2014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atterns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erests to animals and plants based on affinity toward animals and plants, and curiosity about animals and plants by using a cluster analysis. In addition, the differences of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by the identified clusters was examined. A total number of 411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students were clustered into four distinct interest groups with respect to the level of interests to animals and plants. Cluster 1 'Developed Interest to Organisms group' showed high levels in the interest to both animals and plants. Cluster 2 'Developed Interest to Animals group' showed high interest to animals and relatively low interest to plants whereas cluster 3 'Developed Interest to Plants group' showed high interest to plants and relatively low interest to animals. Lastly, cluster 4 were identified as 'Lack of Interest to Organisms group' by showing low levels of interest to both animals and plants. The four identified groups also showed different distributions of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and school year. These results support gender difference in the interest to animals and plants and suggest the decreased and specialized interest with school year. Th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excluding neuroticism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interest to organisms and the identified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rai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greeableness,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nd openness can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interests to animals and plants.

현대(現代) 패션에 나타난 Animality의 조형성(造形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Formation of Animality Represented in Modern Fashion)

  • 이병화;허갑섬
    • 패션비즈니스
    • /
    • 제4권1호
    • /
    • pp.113-12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ly to have the grasp of the tendency of animality represented in modern fashion. The second purpose is to analyze the form modeling of animality represented in modern fashion and the third one is to examine into an aesthetic character of animality represented in modern fashion. The method we adopt for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signers' work which shows the fashion animalit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follows. The tendency of animality represented in modern fashion presented in a printed form which patterned the animals' cuticle, a shape of animals, a symbolic image, and a future suggestive expression. The form modeling of animality is a reality and the aesthetic character is the vigorous beauty and the gorgeousness of original colors. So, animality represented in modern fashion is to offer the various ideas as well as to lead the curiosity about the fashion in the future and the coexistence into the fashion.

  • PDF

유신진화론: 창조론과 진화론 사이에서 (Theistic Evolution: between Creationism and Evolutionism)

  • 제해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445-455
    • /
    • 2021
  • 우주와 인간의 기원에 대한 관심은 역사적으로 인간 탐구의 중심 주제 중 하나였다. 기원에 관한 문제는 단순한 지적 호기심의 문제가 아닌 인간 정체성에 관한 것이자 인간의 운명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이다. 인간의 기원과 관련하여 제시된 전통적인 모델은 크게 만물이 창조주에게서 기인하였다는 기독교의 창조론과 모든 것이 우연히 발생하여 하등에서 점점 고등동물로 진화하였다는 진화론, 그리고 기원에 관하여 우리는 아무것도 알 수 없다는 불가지론이 있다. 본 연구는 창조론과 진화론의 결합인 유신진화론을 다루고 있다. 유신진화론이란 만물이 하나님에게서 기원하긴 했지만 즉각적 창조가 아닌, 오랜 세월 진화의 과정을 통한 창조를 통한 것이었다고 주장한다. 기원에 관한 두 상충하는 이론을 기독교적으로 결합하여 제시한 것이 유신진화론인데, 이는 여러 가지 본질적 문제점을 안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를 지적하였다. 첫째, 성경의 하나님이 전능한 창조주가 아닌 자연의 법칙에 국한된 모습으로 축소된다. 둘째, 성경의 사건을 상징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역사성을 거부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유신진화론보다는 오히려 진화론이나 창조론 둘 중 하나를 택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텃밭 가꾸기에서 나타나는 유아 놀이 탐구 (Exploring Children's Play in Gardening)

  • 김민정;이수정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76권
    • /
    • pp.281-302
    • /
    • 2023
  • 연구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텃밭 가꾸기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놀이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텃밭 가꾸기에서 유아의 놀이 지원 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의의를 갖고자 하였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2022년 8월부터 10월까지 경기도 시립 J어린이집의 만4-5세 유아13명(만 4세 9명, 만 5세 4명)을 대상으로 총 15회 참여관찰과 면담을 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전사하여 범주화한 후,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 텃밭 가꾸기에서 나타난 유아의 놀이 양상은 '교감적 놀이', '직관적 놀이', '상상적 놀이'로 나타났다. 자연을 쉽게 만날 수 있는 텃밭에서 유아는 또래 관계 속에서 자연과 정서적 교류와 감정을 공유하였다. 유아는 텃밭에서 자연과 만나며 감각적으로 직관적 놀이를 경험하였다. 유아는 텃밭과 관련된 식물과 동물, 텃밭과 관련된 사물을 가작화하고 상상력을 발휘하였다. 텃밭 가꾸기에서 유아의 놀이성이 발현되었고, 자연과 상호호혜적인 관계를 이해하여 자연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통해 자연의 변화에 대한 민감성과 호기심이 나타났다. 텃밭 가꾸기를 체험식 또는 일회적 경험으로 이루어지기보다 장기적·지속적 경험으로 접근해야 한다.